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 Survey of Generative Categories and Techniques in Multimodal Large Language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Longzhen Han, Awes Mubarak, Almas Baimagambetov, Nikolaos Polatidis, Thar Baker

개요

본 논문은 다중 모달 대규모 언어 모델(MLLM)의 최근 발전을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텍스트 생성을 넘어 이미지, 음악, 비디오, 인간의 움직임, 3D 객체 등 다양한 출력 모달리티를 생성하는 MLLM의 능력을 다루며, 여러 감각 모달리티를 통합하는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언어와 다른 감각 정보의 통합을 분석한다. 주요 생성 모달리티 여섯 가지를 분류하고, 자기 지도 학습(SSL), 전문가 혼합(MoE), 인간 피드백 강화 학습(RLHF), 사고 연쇄(CoT) 프롬프팅 등 기본적인 기법이 어떻게 크로스-모달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조사한다. 주요 모델, 아키텍처 동향, 새로운 크로스-모달 시너지를 분석하고, 전이 가능한 기법과 해결되지 않은 과제를 강조한다. 트랜스포머와 확산 모델과 같은 아키텍처 혁신이 크로스-모달 전이와 모듈식 특수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된다는 점을 언급하며, 시너지의 새로운 패턴을 강조하고, 평가, 모듈성, 구조화된 추론 분야의 미해결 과제를 제시한다. 궁극적으로 MLLM 개발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더욱 범용적이고, 적응적이며, 해석 가능한 다중 모달 시스템을 향한 중요한 경로를 제시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다양한 모달리티를 통합하는 MLLM 아키텍처의 발전과 그 가능성을 제시한다.
SSL, MoE, RLHF, CoT 프롬프팅 등의 기법이 크로스-모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MLLM의 아키텍처 동향, 크로스-모달 시너지, 전이 가능한 기법을 제시한다.
향후 MLLM 연구 방향을 제시하며, 더욱 범용적이고, 적응적이며, 해석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한계점:
평가, 모듈성, 구조화된 추론 분야의 미해결 과제를 명확히 제시하지만, 구체적인 해결 방안은 제시하지 않는다.
특정 MLLM 모델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보다는 전반적인 개요에 집중되어 있어, 특정 모델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부족하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MLLM 분야의 특성상, 논문 발표 시점 이후 새로운 연구 결과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논문의 내용을 일부 구식으로 만들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