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What Is the Point of Equality in Machine Learning Fairness? Beyond Equality of Opportunity

Created by
  • Haebom

저자

Youjin Kong

개요

본 논문은 기계 학습(ML)의 공정성에 대한 기존 연구가 주로 분배적 평등(distributive equality)에 초점을 맞춰 불공정성을 다루는 데 한계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기존 연구는 ML 모델이 기회와 같은 이점을 불평등하게 분배하는 것을 문제 삼지만, ML 시스템이 구조적 불평등(structural inequality)을 강화하여 야기하는 배분적 피해(allocative harms) 외에 표상적 피해(representational harms, e.g., 스테레오타입, 소외)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논문은 평등주의(egalitarianism)를 기반으로, 분배적 평등과 관계적 평등(relational equality)을 모두 통합하는 다면적인 공정성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ML 시스템이 야기하는 모든 유형의 피해를 다루는 보다 포괄적인 윤리적 토대를 제공하고, ML 파이프라인 전체에 걸쳐 이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ML 공정성에 대한 기존의 분배적 평등 중심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고, 관계적 평등을 통합한 더 포괄적인 윤리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ML 시스템이 야기하는 배분적 피해뿐 아니라 표상적 피해의 문제점을 명확히 규명합니다.
ML 파이프라인 전반에 걸쳐 공정성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평등주의적 관점에서 ML 공정성 문제를 다룸으로써 사회적 정의에 대한 더 넓은 논의를 촉진합니다.
한계점: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구체적인 실현 가능성과 적용의 어려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관계적 평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