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ttribution-guided Pruning for Compression, Circuit Discovery, and Targeted Correction in LLMs

Created by
  • Haebom

저자

Sayed Mohammad Vakilzadeh Hatefi, Maximilian Dreyer, Reduan Achtibat, Patrick Kahardipraja, Thomas Wiegand, Wojciech Samek, Sebastian Lapuschkin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기존 LLM의 높은 파라미터 수로 인한 메모리 및 연산 자원 제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ayer-wise Relevance Propagation (LRP) 기반의 attribution-guided pruning 기법을 제안합니다. LRP를 활용하여 LLM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작업 관련 하위 그래프(circuits)를 추출하여 핵심 기능을 표현합니다. 또한, 잘못된 동작(예: 유해 출력)을 담당하는 circuits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모델을 수정하는 기법을 소개합니다. Llama와 OPT 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모델 압축, circuit 발견 및 모델 수정에서 프레임워크의 효과와 한계를 보여줍니다. 소스 코드는 공개적으로 제공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RP 기반 attribution-guided pruning을 통해 LLM의 크기를 크게 줄이면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보여줌.
작업 관련 하위 그래프(circuits)를 추출하여 LLM의 핵심 기능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제시.
잘못된 동작을 유발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LLM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 제시.
효율적인 LLM 개발 및 배포를 위한 실용적인 프레임워크 제공.
한계점:
제안된 방법의 효과 및 한계는 Llama와 OPT 모델에 대한 실험에 국한됨. 다른 LLM 아키텍처나 데이터셋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은 추가 연구가 필요.
LRP 기반의 attribution 방법 자체의 한계(예: 설명 가능성의 한계)가 프레임워크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모델 수정 과정에서 원치 않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 존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