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환경분석): 조직의 인재육성과 관련한 현상 전반을 진단하여 교육훈련체계 수립의 방향과 개선이규 등을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교육훈련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환경분석, 현상진단, 벤치마킹, 육성전략 수립 등의 작업을 진행합니다.
(2단계 직무분석): 직무 수행시 요구되는 직무의 위계를 분석하고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는 단계입니다. 직무분석 단계에서는 직무체계 현황분석, 가설적 직무분류, 직무 프로파일 작성, 검증 및 확정 순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3단계 역량모델링): 각 직무별 고서과자로부터 일관되게 관찰되는 행동의 특성(지식, 기술, 태도)을 규명하는 단계입니다. 역량모델링의 절차는 계획수립, 역량도출, 역량 모델 구조화, 타당화 검증, 역량모델 확정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4단계 교육훈련체계 수립): 도출된 역량들을 과정 설계 원리, 방향성에 따라 학습방법을 선정하고, 교육훈련 체계도를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기관 경영 및 교육 현황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 방법을 설정한 후역량모델링을 도출하여 ①역량별 교육과정 매칭 ②교육훈련체계도 작성 ③역량기반 교육운영 절차 수립 순으로 교육체계 수립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5단계 교육제도 설계): 구성된 역량 개발에 대한 조직 차원의 지원으로, 역량을 개발하기에 적합하며 효과적인 다양한 활성화 제도를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신규 교육제도를 설계하거나 기존 교육제도(교육이수제, 멘토링 제도 등)의 개선방안을 수립/적용하는 방향으로 제도 설계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현장에서 교육체계 수립 프로세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는 현황분석→역량모델링→교육훈련체계 수립의 3단계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역량모델링이 이미 되어 있는 조직의 경우에는 역량모델링을 간단히 진행하여 프로세스를 축소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