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교육체계 수립 컨설팅

<교육훈련체계 개념>
교육훈련체계란 조직의 인재육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계획을 담은 마스터 플랜입니다. 조직은 미션과 비전, 대내외 환경을 분석하여 인재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위한 교육의 유형, 내용, 방법, 인프라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교육훈련 체계를 수립합니다.
교육훈련체계 수립의 목적은 구성원에게 조직의 인재육성 방향과 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조직과 구성원 모두의 지속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교육에 필요한 재원을 합리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으로 배분, 집행하고자 하는 목적 또한 있습니다.
<교육체계 수립 프로세스>
교육훈련체계 수립절차는 일반적으로, 환경분석→직무분석→역량모델링→교육훈련체계 수립→교육제도 설계의 5단계로 진행됩니다.
(1단계 환경분석): 조직의 인재육성과 관련한 현상 전반을 진단하여 교육훈련체계 수립의 방향과 개선이규 등을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교육훈련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환경분석, 현상진단, 벤치마킹, 육성전략 수립 등의 작업을 진행합니다.
(2단계 직무분석): 직무 수행시 요구되는 직무의 위계를 분석하고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는 단계입니다. 직무분석 단계에서는 직무체계 현황분석, 가설적 직무분류, 직무 프로파일 작성, 검증 및 확정 순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3단계 역량모델링): 각 직무별 고서과자로부터 일관되게 관찰되는 행동의 특성(지식, 기술, 태도)을 규명하는 단계입니다. 역량모델링의 절차는 계획수립, 역량도출, 역량 모델 구조화, 타당화 검증, 역량모델 확정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4단계 교육훈련체계 수립): 도출된 역량들을 과정 설계 원리, 방향성에 따라 학습방법을 선정하고, 교육훈련 체계도를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기관 경영 및 교육 현황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 방법을 설정한 후역량모델링을 도출하여 ①역량별 교육과정 매칭 ②교육훈련체계도 작성 ③역량기반 교육운영 절차 수립 순으로 교육체계 수립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5단계 교육제도 설계): 구성된 역량 개발에 대한 조직 차원의 지원으로, 역량을 개발하기에 적합하며 효과적인 다양한 활성화 제도를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신규 교육제도를 설계하거나 기존 교육제도(교육이수제, 멘토링 제도 등)의 개선방안을 수립/적용하는 방향으로 제도 설계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현장에서 교육체계 수립 프로세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는 현황분석→역량모델링→교육훈련체계 수립의 3단계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역량모델링이 이미 되어 있는 조직의 경우에는 역량모델링을 간단히 진행하여 프로세스를 축소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