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성장을위한도구
수의영상의학
📁 케이스 아카이브
📖 수의사 101 레슨
🖥️ 영상의학팀 전문화
생성형 AI
🚀 생산성
🎨 AI 아트웍
마케팅 & 브랜딩
피드
💡아티클 인사이트
❓질문을 위한 공간
Home
🖼️ 커리어 캔버스
수의영상의학
📁 케이스 아카이브
📖 수의사 101 레슨
🖥️ 영상의학팀 전문화
생성형 AI
🚀 생산성
🎨 AI 아트웍
마케팅 & 브랜딩
📢 동물병원 마케팅&브랜딩
피드
💡아티클 인사이트
❓질문을 위한 공간
🖥️ 영상의학팀 전문화
영상의학팀의 전문화 교육을 통해 영상 검사의 진료 집약성을 높이고 테크니션을 성장시켜 병원과 개인의 성장을 도모합니다.
1. 진료 준비 & 마무리
워크 리스트
2.1. 방사선 사진 촬영 - 개요
방사선 사진 촬영
2.2. 방사선 사진 촬영 - 흉부
방사선 사진 촬영
2.3. 방사선 사진 촬영 - 복부
방사선 사진 촬영
2.4. 방사선 사진 촬영 -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
2.5. 방사선 사진 촬영 - 척추
방사선 사진 촬영
2.6. 방사선 사진 촬영 - 골반, 사지
방사선 사진 촬영
3.1. 초음파 삭모 및 보정 - 복부
초음파 보조
3.2. 초음파 삭모 및 보정 - 심장
초음파 보조
3.3. 초음파 삭모 및 보정 - 기타 부위
초음파 보조
4.1. MRI & CT 촬영 보조 - 마취보조
MRI & CT 보조
4.2. MRI & CT 촬영 보조 - 촬영 전 준비
MRI & CT 보조
4.3. MRI & CT 촬영 보조 - 촬영 시작부터 마취 회복
MRI & CT 보조
3.2. 초음파 삭모 및 보정 - 심장
분류
초음파 보조
삭모
•
겨드랑이 안쪽까지 삭모한다.
•
옆에서 보았을 때 중간선에 못 미치는 정도로 삭모한다.
보정
•
앞다리와 뒷다리를 충분히 견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특히 앞다리를 앞쪽으로 충분히 당겨줘야 스캔 가능한 초음파 접점이 확보된다.
•
앞다리와 뒷다리를 견인하는 힘은 비슷한 수준으로 견인해야 한다.
•
견인하는 힘이 다르면 환자가 점점 앞으로 혹은 뒤로 이동한다.
•
앞다리를 보정하는 사람은 환자가 고개를 들지 않도록 보정한다.
•
천장 쪽에 위치한 앞다리를 보정하는 손의 손목으로 고개를 들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
호흡이 어려운 환자의 보정
1.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한 후 검사를 진행한다.
2.
상태 안정화보다 검사가 중요한 상황인 경우:
◦
산소를 제공하며 검사한다.
◦
앞다리를 보정하는 사람은 환자의 혀가 청색증으로 진행되는지 모니터링한다.
◦
초음파실이 어두워 청색증 여부 판단이 어려운 경우 초음파실의 조명을 밝게 한다.
3. 환자가 어느 정도 고개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준다.
심낭수 천자
•
준비물은 복수 천자와 같다. (3.1 참고)
•
보정
◦
기본 보정과 유사하나 심낭수는 주로 우측에서 천자하므로 오른쪽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한다.
◦
Why?
좌측으로 접근 시 관상동맥의 파열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해 즉사할 수 있기 때문.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