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성장을위한도구
수의영상의학
📁 케이스 아카이브
📖 수의사 101 레슨
🖥️ 영상의학팀 전문화
생성형 AI
🚀 생산성
🎨 AI 아트웍
마케팅 & 브랜딩
피드
💡아티클 인사이트
❓질문을 위한 공간
Home
🖼️ 커리어 캔버스
수의영상의학
📁 케이스 아카이브
📖 수의사 101 레슨
🖥️ 영상의학팀 전문화
생성형 AI
🚀 생산성
🎨 AI 아트웍
마케팅 & 브랜딩
📢 동물병원 마케팅&브랜딩
피드
💡아티클 인사이트
❓질문을 위한 공간
🖥️ 영상의학팀 전문화
영상의학팀의 전문화 교육을 통해 영상 검사의 진료 집약성을 높이고 테크니션을 성장시켜 병원과 개인의 성장을 도모합니다.
1. 진료 준비 & 마무리
워크 리스트
2.1. 방사선 사진 촬영 - 개요
방사선 사진 촬영
2.2. 방사선 사진 촬영 - 흉부
방사선 사진 촬영
2.3. 방사선 사진 촬영 - 복부
방사선 사진 촬영
2.4. 방사선 사진 촬영 -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
2.5. 방사선 사진 촬영 - 척추
방사선 사진 촬영
2.6. 방사선 사진 촬영 - 골반, 사지
방사선 사진 촬영
3.1. 초음파 삭모 및 보정 - 복부
초음파 보조
3.2. 초음파 삭모 및 보정 - 심장
초음파 보조
3.3. 초음파 삭모 및 보정 - 기타 부위
초음파 보조
4.1. MRI & CT 촬영 보조 - 마취보조
MRI & CT 보조
4.2. MRI & CT 촬영 보조 - 촬영 전 준비
MRI & CT 보조
4.3. MRI & CT 촬영 보조 - 촬영 시작부터 마취 회복
MRI & CT 보조
4.3. MRI & CT 촬영 보조 - 촬영 시작부터 마취 회복
분류
MRI & CT 보조
촬영 보조
촬영 시작하면
1.
수의사가 기도 삽관을 완료하면 수의사는 환자의 자세를 잡고, 보조자는 판독실로 나와 배깅 시작
2.
서킷 압력이 유지 되는지 확인 및 EtCO가 제대로 측정 되는지 확인하고 이상이 있으면 수의사에게 알림
3.
자발호흡 여부 확인 및 호흡 정도에 따라 매뉴얼 배깅
촬영 부위별 자세, 배깅, 폐의 과도 팽창
1.
촬영자세는 촬영자가 잡는다.
2.
배깅
•
배깅 시 피크값이 0.8~1.5 kPa도가 되도록 한다.
•
피크값이 최대 2를 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촬영 시 폐의 과도 팽창(hyperinflation)
•
환자의 호흡에 의한 blurring(흔들린 사진)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촬영 부위 상관 없이 CT 스캔을 하는 동안은 호흡을 멈추도록 해야 한다.
•
팝오프 밸브를 적절히 잠궈 스캔 시 서킷 내 압력이 유지되는 정도를 찾는다.
(보통 1 유지. 상황에 따라 1.5를 하기도 한다)
•
자발 호흡이 있다면 스캔 직전 빠르게 배깅하여 자발 호흡을 흐트러뜨리도록 한다.
촬영 후 보조 - 마취 회복 모니터링, 촬영 후 정리
마취 회복 모니터링
•
외측상으로 자세를 취하여 회복한다. (단두종견들은 흉부를 바닥에 대고 있는 자세를 유지해야한다.)
•
서킷 내 잔류한 마취제를 제거한다.
•
혀는 연하가 자유스러워질 때까지 구강 밖으로 늘어뜨려져 있어야 한다. (혀를 씹지 않도록 주의관찰)
•
담요와 핫팩, 보일러나 온열등을 이용하여 체온을 유지시켜 준다.
•
삽관튜브가 장착되어있는 경우에는 자발 호흡수가 정상화 될 때까지 지켜보고,
튜브로 인한 헛구역질 같은 반응(gagging reflex)이 나타나면 튜브를 부드럽게 제거한다.
•
스스로 머리를 들고 자세를 잡을 수 있을 때 까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체온, 맥박, 호흡, 점막색, 모세혈관 충진시간등이 규칙적으로 체크 되어야한다.
CT실 정리
•
CT 테이블 위를 정리한다.
•
테이블이 최대한 뒤로 이동된 상태(테이블 가로축 위치가 0)가 될때까지 테이블을 뺀다
전염성 높은 환자의 소독
•
전염 가능성이 높은 환자는 검사 진행 후 환자와 접촉한 신체, 의복, 물건에 소독약을 뿌려 오염원을 제거한다.
촬영 중 보조 - 촬영 부위별 자세, 배깅, 폐의 과도 팽창
1.
촬영 부위별 자세
•
촬영자세는 촬영자가 잡는다.
1.
배깅
- 배깅 시 피크값이 0.8~1.5 kPa도가 되도록 한다.
- 피크값이 최대 2를 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촬영 시 폐의 과도 팽창(hyperinflation)
환자의 호흡에 의한 blurring(흔들린 사진)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촬영 부위 상관 없이 CT 스캔을 하는 동안은 호흡을 멈추도록 해야 한다.
•
팝오프 밸브를 적절히 잠궈 스캔 시 서킷 내 압력이 유지되는 정도를 찾는다.
(보통 1 유지. 상황에 따라 1.5를 하기도 한다)
•
자발 호흡이 있다면 스캔 직전 빠르게 배깅하여 자발 호흡을 흐트러뜨리도록 한다.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