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5, 제대로 쓰는 방법? (이전과 달라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꿀팁)
GPT에는 다양한 모델들이 있습니다. 대체로 성능에 따라 구분되긴 하지만, 그보다 앞서 크게 두 가지 부분에서 나뉘는데요, 일상 생활에서 쉽고 빠르게 사용할만한 모델인 일반 모델 과 수학과 논리에 더 치중한 모델인 추론 모델 로 구분되죠. OpenAI에서는 일반 모델의 경우 GPT-3.5, GPT-4, GPT-4o, GPT-4.5와 같이 GPT 뒤에 숫자가 붙는 식으로, 추론 모델은 o1, o3, o4와 같은 식으로 기존과 다른 형태로 네이밍하고 있었죠. 그런데, 이번에 출시된 GPT-5는 일반 모델과 추론 모델을 합쳐놓은 듯한 형태입니다.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Auto” 모드로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어떤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어떤 때에는 추론을, 어떤 때에는 즉답을 하곤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일반 모델과 추론 모델은 각자 담당하는 역할이 조금씩 다릅니다. 때문에 이전에 일반 모델만 사용하던 분들이라면 이번에 출시된 GPT-5에 대해 오히려 성능이 떨어진 것 같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OpenAI 측에서도 이 점을 감안했는지, GPT-5에 대한 공식적인 프롬프트 가이드를 준비했는데요, 이를 기반으로 하나씩 톺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일반 사용자용입니다. 개발 파라미터(예: verbosity, reasoning 설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GPT-5에 맞는 프롬프트 사고방식은? 기본적으로 GPT-5는 질문 난이도에 따라 스스로 깊게 생각할지, 빠르게 답할지 조절합니다. 다만 사용자가 “무엇을, 어떤 형식으로, 어떤 기준으로” 원한다고 명확히 적어 줄수록 더 안정적으로 맞춰 줍니다. 1) 깊이 조절은 자동 + 힌트로. “생각할 것을 지시”하자 GPT-5는 질문의 난이도를 보고 자동으로 빠른 답변과 깊은 사고를 오가며 조절합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과 모델의 판단이 늘 일치하지는 않아요. 그래서 간단한 힌트 문구를 덧붙이면 GPT-5가 더 정확히 방향을 잡습니다. 예를 들어, 정밀 검토가 필요할 때: “이건 중요한 결정이야. 깊게 생각한 뒤 결론과 핵심 이유 3가지만 정리해줘.” 속도가 우선일 때: “빠른 초안이 먼저 필요해. 불확실하면 ‘추정:’이라고 표시해.” 또, ChatGPT 화면에서 Auto / Fast / Thinking 모드를 직접 선택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자동 모드가 대부분 적절하지만, 복잡한 문제라면 ‘Thinking’, 가벼운 작업이라면 ‘Fast’를 고르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팀제이커브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