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메모

디앤디 관련 메모
D&D 룰북 구매를 생각하는 BG3 유저에게
부제: 님아 그 결제를 잠시 멈춰봐요 제발 발더스게이트 3이 정식 출시된지 약 2년정도 되면서, 발더스게이트3를 통해 던전앤드래곤 5판이 다시금 주목 받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몇년전에 한창 티알 다닐때 찍먹해봤던 룰이었고, 돌고 돌아 지금은 마스터링도 돌릴 정도로 주력 룰로 플레이중입니다. 발더스게이트3의 베이스가 되었던 룰은 던전앤드래곤 5판(이하 디앤디 5판)입니다. 여기에 각종 서플리먼트에 나오는 하위 직업들과 라리안 스튜디오만의 홈브류 룰변형이 적용되었죠. 그래서 발더스게이트3을 접하신 많은 분들 중에 베이스가 된 디앤디 5판을 플레이하고 싶어서 탁에 참여하거나 룰북을 구매하시고 있습니다. 네, 이 글을 쓴 진짜 이유가 이겁니다. 바로 디앤디 5판 룰북 구매요. "어, 찾아보니 한국에도 정발되었네? ㅎㅎ 사야지~" 하고 장바구니에 넣고 결제 버튼 누르시려는 당신. 부탁이니, 결제버튼 누르기 전에 이 글을 한번만 봐주세요. 1. 정발의 오탈자와 오역들 현재 디앤디 5판은 두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하나는 2014년에 발매된 5판이고, 다른 하나는 이 5판을 새롭게 만들어 2024년에 발매된 D&D 2024가 있습니다. 이렇게 두가지 판본중에서 정발이 되었던건 2014년에 발매된 5판이었습니다. 아마 정발때즈음, 한창 트위터를 중심으로 티알피지 붐이 일던때라 그 흐름을 타고 디앤디도 한국에 들어왔었던걸로 기억합니다. 모두가 기대했고요. 네, 결과는 폭망했습니다. 펀딩을 통해서 발매했던걸로 아는데, 배송문제와 책 품질 문제가 겹쳐서 꽤 난리가 났었던걸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더더욱 난리였던건 책에 수록된 수많은 오탈자와 오역이었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D&D 한국어판 공식 사이트의 에라타 항목이나 네이버 TRPG 카페의 유저분이 올리신 한국어판 오류 모음 목록을 보면 번역질에 상당히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아예 플레이자체가 불가능한 수준의 오역이 난건 아닙니다. 다만 디앤디 자체가 수록 데이터가 워낙 많은데다 그 데이터도 굉장히 세세하게 짜여져 있는 룰입니다. 그런 룰에 자잘자잘한 오탈자와 오역들이 모이고 모인게 디앤디 5판 정발판이고요. 만약 원서로 읽고 플레이하는 사람들과 같은 탁을 하게 된다면 "엥? 님아 그거 그렇게 하는거 아닌데?" 라는 상황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거죠. 2. 10년간 발매된 서플리먼트와 미정발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한국 정발의 첫 단추였던 핵심 룰북 3종의 정발이 저렇게 대차게 망한 탓에 한국에서 디앤디 사업은 철수한지 오래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 디앤디를 발매하는 위자드 오브 더 코스트(약칭 위코)에서는 다양한 디앤디 5판 서플리먼트들을 발매했고요. 서플리먼트(약칭 서플)란 일종의 DLC처럼 확장자료, 혹은 보충자료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양한 신규 하위 클래스나 아예 새로운 클래스를 플레이할 수도 있고, 몬스터로만 나오던 종족을 플레이할 수 있거나, 아예 기존 규칙을 보강하거나 완화시키는 룰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암튼 이런 상황에서 만약 당신이 발더스게이트3를 재밌게 했는데, 내가 플레이했던 하위 클래스로 디앤디 세션을 가보고 싶다. 근데 정발 룰북을 사보니 그 하위 클래스가 없네? 네, 안타깝게도 당신은 서플을 사야합니다. 디앤디 정발은 코어룰북 3종만 되었기때문에 서플은 결국 영어 원문으로 봐야합니다. 거기다 10년간 서플들을 발매하면서 기존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반쯤 필수가 된 서플들도 있어서, 만약 공개적으로 탁을 열게되면 서플 허용 하느냐는 질문 역시 올 수도 있습니다.(대표적으로 자나사의 만물 가이드와 타샤의 만물 가마솥) 물론 어디까지나 서플리먼트니까 안 살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습니다. 반필수 서플 없이도 클래식하게 플레이할 수도 있습니다. 그게 없다고 못해먹을 정도로 나사빠진 룰은 아니니까요.
  • 닐림
[포가튼 렐름] 페이룬 만신전 정리
출처는 소드코스트 가이드, 포렐름 위키 참조. 번역기 돌려서 정리한 것이므로 오역있을 수 있습니다. 발음 틀린거나 틀린정보 있으면 댓글로 편하게 지적해주세요~ 만신전 신 목록 AO 절대신, 창조신. 셀루네(Selune) 달의 여신. 상징은 일곱개의 별들에게 둘러싸인 한쌍의 눈. 페이룬 만신전에서 가장 오래된 신이며 세상에 빛과 생명을 가져다 준 여신. 이로 인해 자매신인 샤와 갈등이 생겼고 두 신의 싸움으로 마법의 여신과 그외의 죽음과 질병, 살인 등의 개념과 신들이 탄생했다는 전설이 있다. 달만이 아니라 별과 항해의 여신이기도 하며, 모성과 생식주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모성의 상징인 우유는 셀루네 신자들이 종교 의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며, 보통 보름달이 뜨는 밤마다 우유 한 그릇을 밖에다 내놓다고 한다. 샤(Shar) 밤, 어둠, 상실, 망각, 비밀의 여신. 상징은 보라색 테두리가 그려진 검은색 원반. 셀루네의 자매신으로 마찬가지로 페이룬 만신전에서 가장 오래된 신. 세상을 빛이 없는 태초의 어둠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신이다. 샤에게는 고통을 잊게 하거나 상실하게 하는 힘이 있다고 하며 고통에 처한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잊기 위해 그녀에게 기도를 올리기도 한다. 또 어두운 곳을 모험해야 하는 사람들이나 탄광에서 일하는 광부와 같은 사람들이 보호를 위해서 그녀에게 기도를 올린다는 모양. 페이룬의 역사 속에서 샤의 추종자들이 행한 광신적인 파괴행위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페이룬 전역에서 샤를 향한 숭배가 금지되었다. 실바누스(Silvanus) 야생과 자연의 신. 상징은 참나무 잎. 참나무 아버지라고도 불리며 야생의 자연 그 자체를 상징하는 신. 자연과 그 공정함은 실바누스 신앙에서 중요시 여기는 부분으로, 실바누스의 사제들은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거시적인 관점으로 상황을 보려고 한다. 예를 들면 고블린의 습격으로 농촌 공동체가 망가진 것은 일부에게는 비극이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황무지가 다시금 비옥한 땅으로 돌아가려고 하며, 이 땅을 다시 개간하려 오는 사람들이 생긴다는 식으로 보려고 하는 편. 엘다스(Eldth) 폭포, 샘, 웅덩이, 고요함과 평화의 여신. 물의 어머니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상징은 고요한 웅덩이로 흐르는 폭포. 그 특성상 드루이드들이 사는 곳과 겹쳐서 드루이드들에게 숭배받기도 한다. 엘다스의 축복을 받은 물은 아픈 사람과 광기를 치료하고 죽어가는 사람을 위로한다고 한다. 대부분의 시골지역에서 현지인들이 엘다스의 것이라고 여기는 연못이나 공터가 있는데 전통적으로 성찰의 장으로 쓰인다고. 엘다스의 사제들은 큰 종파로 조직되지 않고 여러 곳을 떠돌아 다닌다고 하며, 평화주의자인 이들을 공격하는 것은 금기이고 죽이면 큰 불행을 맞이한다고 전해진다. 마일리키(Mielikki)
  • 닐림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