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유사성 관계의 지속과 변형이 이해 가능한 모든 역동적 시스템의 구조적 기반을 형성한다는 가정하에, 유사성장(Similarity Field Theory)이라는 수학적 틀을 제시한다. 이 틀은 개체 간 유사성 값과 그 진화를 지배하는 원리를 공식화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개체 집합 U 위에서 정의된 유사성장 S: U × U → [0, 1] (반사성 S(E,E)=1을 만족하며 비대칭성과 비이행성을 허용), (2) p=0, 1, 2,… 로 색인된 시스템의 진화 과정 Zp = (Xp, S(p)), (3) 개체 K를 기반으로 한 섬유 Fα(K) = {E ∈ U | S(E,K) ≥ α} (단항 사상 S_K(E) := S(E,K)의 상위 레벨 집합), (4) 새로운 개체를 생성하는 생성 연산자 G. 이 틀 안에서 지능을 생성적으로 정의하고, 두 가지 정리를 증명한다: (i) 비대칭성은 상호 포함을 방해하며, (ii) 안정성은 기준 좌표 또는 레벨 집합 내의 궁극적인 한정을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 이 틀을 이용해 대규모 언어 모델을 해석하고, 사회적 인지의 실험적 탐구를 위한 실험적 도구로서 대규모 언어 모델을 사용한 실증적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