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챗봇(예: ChatGPT)이 인간의 언어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수십만 시간에 달하는 YouTube 학술 강연 및 팟캐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챗봇 출시 이후 특정 단어 사용량의 급증을 경제계량학적 인과 추론 기법으로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ChatGPT가 선호하는 단어들 (예: delve, comprehend, boast, swift, meticulous)의 사용이 측정 가능할 정도로 증가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인간 데이터로 훈련된 기계가 독자적인 문화적 특성을 보이며, 다시 인간 문화를 변형시키는 폐쇄적인 문화적 피드백 루프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주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