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성취기준: [12정컴02-03]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문법을 이해하고, 변수, 자료형, 연산자, 표준 입출력, 제어 구조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
연계 성취기준: [12정컴02-02] 문제 해결 과정을 절차적으로 사고하여 알고리즘으로 설계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3. 수업 목표
•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은 일상생활의 문제를 조건과 반복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코드 번역기' AI 앱을 활용하여 자연어로 기술된 문제 해결 절차를 파이썬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if 조건문과 for 반복문을 사용하여 간단한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4. 수업의 흐름
1.
도입 (5분): 생각의 문을 여는 '만약에'와 '계속해서'
•
수업의 시작은 학생들의 일상 경험과 연결하는 것으로 문을 엽니다. "만약 오늘 비가 온다면, 우산을 챙긴다"와 같이 우리 삶 속 '만약에(조건)'가 필요한 순간과, "양치질은 3분 동안 '계속해서(반복)' 한다"처럼 반복이 필요한 순간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프로그래밍의 제어 구조가 우리의 논리적 사고와 얼마나 닮아있는지 자연스럽게 깨닫고,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학습 동기를 갖게 됩니다.
2.
전개 (35분): AI 코딩 멘토와 함께하는 문제 해결
•
본격적인 활동은 두 단계로 진행됩니다.
1.
첫 번째 활동은 'AI 코딩 멘토 만나기'입니다. 교사는 "시험 점수가 90점 이상이면 '합격'이라고 말해주기"와 같은 간단한 문제 상황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가 사용할 AI 앱 '코드 번역기'에 이 문장을 그대로 입력하여, 파이썬의 if 조건문 코드로 어떻게 변환되는지 다 함께 살펴봅니다. AI가 생성한 코드와 친절한 해설을 함께 분석하며, 학생들은 조건문의 기본 구조와 원리를 직관적으로 탐색하게 됩니다.
2.
두 번째 활동은 '우리들의 코드 번역 챌린지'로,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 시간입니다. 모둠별로 급식 메뉴 정하기, 청소 당번 정하기 등 현실적인 문제를 하나 정하고, 그 해결 과정을 순서에 맞게 자연어로 작성합니다. 그 후, '코드 번역기' 앱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생각을 파이썬 코드로 1차 변환해 봅니다.
3.
여기서 중요한 점은 AI가 만든 코드가 최종 정답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AI의 결과물을 '초안' 또는 '힌트'로 삼아, 모둠원과 함께 코드를 분석하고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더해보며 자신들만의 프로그램을 완성해 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AI와 협업하는 방법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게 됩니다.
3.
정리 (10분): 경험을 공유하고 성찰하기
•
수업의 마무리는 모둠별 결과물을 공유하며 서로의 성장을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각 모둠은 자신들이 선정한 문제와 '코드 번역'을 통해 완성한 최종 코드를 발표합니다. 단순히 결과물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AI의 코드를 어떻게 수정하고 발전시켰는지, 프로그래밍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무엇을 느꼈는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