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수업은 학생들이 AI '똑똑, 소월 시인에게 묻습니다' 앱을 활용하여 김소월 시인과 가상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얻은 영감으로 그의 대표작 '진달래꽃'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창조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문학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창의적 표현력, 그리고 협업 능력을 기르게 될 것입니다.
1단계: 도입 - 'K-발라드'와 'K-소월'의 만남 (5분)
•
수업의 시작은 학생들에게 익숙한 K-POP 발라드 한 소절을 들려주는 것으로 문을 엽니다. 아이유나 태연처럼 애절한 감성을 노래하는 가수의 음악을 통해 '이별', '그리움'이라는 보편적 정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의 대답을 이끌어내신 후, "사실 우리나라엔 원조 'K-발라드 맛집'이 있었어요. 바로 김소월 시인입니다."라고 소개하며 자연스럽게 주제를 제시합니다. 이어서 "오늘은 우리가 K-POP 프로듀서가 되어, 김소월 시인의 명곡 '진달래꽃'을 2025년 버전으로 리메이크해 볼 거예요!"라고 오늘의 활동 목표를 흥미롭게 안내합니다. 그리고 훌륭한 프로듀서가 되기 위한 첫걸음은 원작자를 깊이 이해하는 것이라 강조하며, AI 앱 '똑똑, 소월 시인에게 묻습니다'를 활용한 가상 인터뷰 활동을 예고하여 학생들의 기대감을 높입니다.
2단계: 전개 - K-소월 프로듀싱 프로젝트 (35분)
•
본격적인 프로듀싱 활동은 세 개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
Phase 1: 원작자 AI 인터뷰 (15분)
▪
모둠별로 태블릿PC를 활용해 AI 앱 '똑똑, 소월 시인에게 묻습니다'에 접속합니다. 학생들에게는 '진달래꽃'의 프로듀서로서, 원작자의 숨은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을 2가지 이상 만들어 인터뷰하라는 미션이 주어집니다. 예를 들어, "왜 하필 '진달래꽃'인가요?", "떠나는 님이 그 꽃을 정말 밟았으면 좋겠나요, 아니면 밟지 않았으면 좋겠나요?"와 같이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만들도록 격려합니다. 학생들은 AI 시인의 답변을 통해 파악한 '진달래꽃'의 핵심 감성과 메시지를 학습지에 정리합니다.
◦
Phase 2: 프로듀싱 컨셉 회의 (10분)
▪
AI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이제 각 모둠은 자신들이 리메이크할 '진달래꽃 2025'의 구체적인 컨셉을 정합니다. 학습지에 새로운 곡의 제목(예: 꽃길, 사뿐히), 음악 장르(예: 정통 발라드, 어쿠스틱, R&B), 그리고 곡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핵심 메시지(예: '쿨하게 보내주는 것 같지만 속은 펑펑 우는 마음')를 기록하며 아이디어를 구체화합니다.
◦
Phase 3: 앨범 제작 (10분)
▪
컨셉이 정해지면, 모둠별로 실제 앨범을 제작하는 창작 활동에 들어갑니다. 모둠의 특성에 맞춰 다음 세 가지 활동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과물을 만듭니다.
▪
킬링 파트 개사: '진달래꽃'의 특정 연을 요즘 학생들의 감성과 언어로 새롭게 바꾸어 봅니다.
▪
디지털 앨범 커버 제작: 태블릿 드로잉 앱을 활용하여 모둠에서 정한 앨범 컨셉에 맞는 이미지를 그립니다.
▪
음원 스트리밍 홍보 문구 작성: 완성된 곡을 SNS에 홍보할 때 사용할 재치 있는 멘트와 해시태그를 만듭니다.
3단계: 정리 - 데뷔 쇼케이스 및 성찰 (5분)
•
수업의 마무리는 각 모둠이 프로듀서로서 제작한 결과물을 발표하는 '데뷔 쇼케이스'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모둠별로 나와 자신들이 만든 앨범 커버, 개사한 가사, 홍보 문구 등을 전체 학생들에게 공유하며 어떤 컨셉으로 '진달래꽃'을 재해석했는지 간단히 발표합니다.
•
선생님께서는 "가장 들어보고 싶은 '진달래꽃' 리메이크 곡은?"과 같은 질문으로 스티커 투표를 진행하여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서로의 결과물을 감상하고 격려하도록 이끕니다. 마지막으로, AI 시인과의 대화를 통해 김소월의 시를 새롭게 느끼게 된 점이나 활동 소감을 자유롭게 나누며 수업을 의미 있게 마무리합니다.
핵심 성취기준
[9국03-04]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비교하며 자신의 감상을 심화하고, 작품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하거나 다른 매체로 전환하여 표현한다.
수업 활동과의 연계점:
•
이 성취기준은 해당 수업의 목표와 가장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학생들은 먼저 '진달래꽃'에 대한 자신들의 1차적 해석을 가집니다. 그 후 AI와의 인터뷰를 통해 '시인의 의도'라는 또 다른 해석의 관점을 얻으며 작품 감상을 심화시킵니다. 그리고 이 깊어진 이해를 바탕으로 노래 가사(재구성), 앨범 아트(다른 매체로 전환), 홍보 문구(재구성) 등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작품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수업의 모든 과정이 이 성취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연계 성취기준
[9국03-03] 작품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평가한다.
수업 활동과의 연계점:
•
문학 작품을 감상할 때 작가의 생애, 시대적 배경과 같은 '맥락'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AI '김소월'은 학생들에게 시인이 살았던 시대의 아픔과 개인적인 감정을 직접 들려주는 '살아있는 맥락'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학생들은 이 가상 인터뷰를 통해 텍스트 너머의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달래꽃'이 왜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받는지 스스로 깨닫게 됩니다.
[9국04-05] 자신의 생각과 느낌, 경험을 독창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유형의 글을 쓴다.
수업 활동과의 연계점:
•
'프로듀싱' 활동 중 '킬링 파트 개사'나 '홍보 문구 작성'을 선택한 학생들은 이 성취기준을 달성하게 됩니다. 학생들은 김소월의 감정을 이해한 후, 자신만의 감성과 언어로 이를 새롭게 표현하는 작문 활동을 수행합니다. 이는 단순한 요약이나 분석을 넘어선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