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기적인 브루잉커피: 그린루스카
무언가에 대한 인식폭이 외부 자극에 의해 별안간 확장될 때가 있다. 사소한 순간이지만 그 뒤에 따라오는 것은 지금껏 겪어보지 못했던 세계다. ‘획기적’이라는 말은 그럴 때 쓴다. 고수를 즐기기 시작한 건 제주시청 인근 레스토랑 도브 다이브에서 광어 셰비체를 맛봤을 때부터다. 당시만 해도 내게 고수는 있으면 먹고 없으면 굳이 추가하지 않는 식재료였다. 광어 셰비체에는 기본적으로 고수가 들어가므로 혼자였으면 별 생각없이 먹었을 테지만 고수를 먹지 않는 해린이와 함께였기 때문에 빼달라고 요청했다. 사장님은 안타까운 표정으로 “그럼 고수를 따로 덜어드릴 테니 맛이라도 보시겠어요? 그게 이 메뉴의 킥이라서 절대 못드시는 게 아니라면 한 번 쯤 드셔보셔도 좋을 것 같아서요.”라고 했다. 굳이 됐다고 할 이유도 없었고 사장님의 표정과 말투에 진정성이 느껴져 알겠다고 했다. 그리고 그 날로 내 세계는 달라졌다. 획기적이었다. 제주공항 근처에 위치한 카페 그린루스카에서 마신 브루잉커피(콜롬비아 산 라파엘 워터멜론)도 그런 경험이었다. 사실 나는 커피 문외한이라 보통 아메리카노를 마신다. 기본이 보장하는 만족도의 최저선에 안주하는 편이다. 어쩌다 한 번 브루잉커피를 마실 때면 커핑 노트를 유심히 읽는다. 음. 이 맛이 이런 맛이라고? 봐도 모른다. 봐도 모르겠으니 굳이 몇 천 원 더 주고 마실 이유가 없다. 그러니 또메리카노, 또메리카노. 그런데 그린루스카에서 왜 브루잉커피를 시켰더라? 아메리카노가 메뉴에 없었던 것 같다(정확하진 않음). 커피는 잘 모르고 굳이 고르자면 산미가 있는 걸 고르는 편이라고 하니 원두를 세 개 추천해 주셨다. 맛 설명 부분을 천천히 살펴봤다. 눈에 들어온 게 ‘콜롬비아 산 라파엘 워터멜론’이다. ‘수박, 수박, 수박, 메로나’라는 설명이 흥미로웠다. 그 조합은 물론 수박이 세 번 연속 나오는 게 웃겼다(정해진 작성법에 따른 것이겠지만…). 자리에서 카페 인스타그램을 훑다보니 사장님이 커피를 가져다 주셨다. 뭐라 설명해 주셨으나 기억은 안 난다. 고개는 열심히 끄덕였다. 수박, 수박, 수박, 메로나. 이렇게 정확한 설명이라니. 감탄이 절로 나왔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바리스타가 의도한 커피 맛을 그대로 느꼈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그 날의 원두 상태와 브루잉 방식과 나의 피로도 또는 포만감 같은 것들이 잘 조합된 결과일 테지만, 결과적으로 그 경우의 수를 뚫어냈다. 딴 게 중요한가. 그거면 된 거지. 감동적이었다. 나도 커피 맛을 음미할 줄 아는 사람이었구나. 획기적이었다. 앞으로 나는 브루잉커피에 좀 더 도전해보는 사람이 되겠구나. 그러고 보면 몇 번 경험한 뒤 ‘이건 내 스타일 아니야’라고 결론 내리고 마음 속 창고 안에 처박아둔 것들이 얼마나 많았나. 그 중에 우연한 계기로 나를 사로잡을 것들은 또 얼마나 있을까.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 다시 한번 들춰볼 수 있도록 창고 문을 단단히 잠가두지는 않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도브 다이브의 광어 셰비체와 그린루스카의 콜롬비아 산 라파엘 워터멜론이 준 교훈이다. 나는 가진 게 없는 사람이라 보답으로 드릴 게 “정말 잘 먹었(마셨)습니다”라는 인사뿐이었다. 이 글도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이고. 덧) 그린루스카라는 상호는 그린과 루스카를 붙여 만들었다. 그린은 사장님이 좋아하는 초록색. 루스카는 빈티지 잔으로 유명한 아라비아핀란드의 초기모델 중 하나로 핀란드어로 가을(낙엽, 단풍, 갈색 등등등)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인테리어 톤을 그린&브라운으로 잡으셨다고. 그런데 우리가 앉았던 러그가 미처 가리지 못한 바닥에는 보라돌이가 빼꼼 나와 손을 흔들고 있었다. 저쪽에는 나나와 뚜비가 보였다. 감각적인 인테리어 사이에 튀어나온 예전 공간의 흔적에 웃음이 나왔다. 한정적인 예산은 오래된 건물이 품고 있는 과거의 흔적과 그것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자 노력한 현재 사이를 이어준다. 그건 또 그거대로 썩 나쁘지 않은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