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풀칠
안물안궁? 이 책에는 그런 게 없다
병연
👍
*풀칠 인스타그램에 쓴 콘텐츠입니다
박찬용은 ‘아레나 옴므 플러스’ 피처 디렉터다.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뭐냐면, ‘블랙칼라 워커를 위한 국내 최초의 남성 패션지‘다. 그러니까 박찬용은 10년 이상 경력을 쌓아온 잡지 에디터다. “잡지의 사생활”은 그가 쓴 직업 에세이다. 부제는 이렇다. “미감과 호기심, 대화와 물건으로 이루어진 매체를 서울에서 만드는 일에 대하여”
안물안궁이라고? 박찬용의 책에는 바로 그런 게 없다. 스스로에겐 유의미할지 몰라도 타인이 듣기엔 심드렁할 수 있는 에피소드 말이다. ’그 일을 하게 된 우연한 계기‘로 시작해 ’피나는 노력과 성취, 자기만족‘을 지나 ’번아웃 극복기‘로 이어지는 글에는 대개 악의 없는 나르시시즘이 묻어난다. 그런 건 SNS에서 읽는 걸로 족하다.
직업 에세이의 미덕은 ‘작가의 렌즈화’다. 즉 '직업'을 통해 '나'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 '나'를 통해 '직업'을 보여줘야 한다. 그런 면에서 “잡지의 사생활”은 훌륭한 직업 에세이다. 박찬용은 묵묵히 잡지 에디터의 본질을 탐구한다. 자신이 쓸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한다. 쓸 수 없지만 필요한 것은 물어본 뒤 쓴다. 참 믿음직하다.
잡지 에디터를 꿈꾼다면 그 세계의 구체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될 듯하다. 잡지 에디터를 꿈꾸지 않아도 자기 커리어를 돌아보고 싶다면 큰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직업을 진지하게 대하는 자세를 이보다 잘 담아낸 책도 찾기 어렵다. 무엇보다 잘 쓴 문장을 읽는 재미가 상당하니 그걸로 됐다.
Subscribe to 'workoutsomehow'
Welcome to 'workoutsomehow'!
By subscribing to my site, you'll be the first to receive notifications and emails about the latest updates, including new posts.
Join SlashPage and subscribe to 'workoutsomehow'!
Subscribe
👍
Other posts in '풀칠'See all
병연
풀칠 에세이 모음(2020~2023)
홈페이지에는 2024년 이후에 쓴 콘텐츠를 업로드합니다. 그 전까지 썼던 콘텐츠(=에세이)는 아래 박스를 클릭하면 바로 읽어볼 수 있습니다. 풀칠은 저를 포함한 직장인 4명이 함께 만드는 매거진입니다. 홈페이지와 뉴스레터를 운영 중입니다.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살펴봐 주세요.
병연
정당이라는 일터 [풀터뷰]
*풀칠 매거진(링크)에 쓴 콘텐츠입니다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당신이 이 업계에 한 발 걸치고 있는 게 아니라면 주변에서 이 직업을 가진 사람은 보기 힘들 거라고. 심지어 이 직업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충분히 인지하지 못 했을 거라고. 김예슬은 당직자다. 정당에서 일한다. 매일 아침 국회로 출근한다. 그는 정치인인가? NO. 정치 꿈나무인가? NO. 직장인인가? YES. 5년 차 풀칠러 김예슬과 이야기 나눴다. 짧게 소개 부탁합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당직자로 일하고 있는 김예슬 주임입니다. 계약직 기간을 포함하면 벌써 5년 차네요. 소속을 어디까지 밝힐 수 있나요? 원하는 수준이 있나요? 편한 대로 해도 돼요. 저희야 당연히 최대한 구체적인 게 좋습니다만, 아무래도 정당이다 보니 조심스럽지 않을까 싶어서요. 상관없어요. 일하는 것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인터뷰니까요. 좋습니다. 당직자란 당최 뭐 하는 직업인가요? 우리가 흔히 아는 당직은 아닐 테고요. 정당이라는 회사에 다니는 직원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보통 정당 하면 당대표나 국회의원 등 정치인을 떠올릴 텐데요. 그 외에도 조직으로서 정당을 굴리기 위해 필요한 일들이 있어요. 홍보, 행사 운영, 회계 등등.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이죠. 일반 회사원이나 공무원들이 그렇듯이 저희도 입사하면 발령 나는 대로 여러 부서를 돌아요. 저는 더불어민주당에서 정책 연구를 담당하는 민주연구원 정책연구실 소속이고요. 정당에서 일하는 일반행정직 직원이군요. 요즘엔 무슨 업무를 하고 있습니까? 조금씩 다양한 일을 해요. 다음 달(8.18)에 전당대회가 있는데요. 뉴스에선 당 대표 선거 얘기가 주로 나오지만 사실 그게 다가 아니에요. 2년마다 열리는 행사인 만큼 그동안 바뀐 시대 흐름에 맞춰서 당헌, 당규도 조금씩 수정하는데요. 제가 속한 민주연구원에서는 그중 강령 개정을 맡았고, 저 역시 당분간 이 업무를 지원할 예정이에요 그쪽 업무를 지원한다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건가요?
병연
🍔 아이스버거는 혁신인가 [풀칠 186호]
*풀칠 뉴스레터(링크)에 쓴 콘텐츠입니다 알 듯 말 듯 해, 혁신 ‘이제 곧 초복이군.’ 10년 전 이맘때 전역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먹은 짬밥이 ‘초복 특식’ 삼계탕이었던 탓에 매해 이맘때면 ‘이제 곧 초복이군’ 하게 된다. 하지만 난 초복을 챙기지 않는다. 여름이면 기운이 떨어지기 때문에 꼭 보양을 해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도 아니다. ‘이제 곧 초복이군’ 하게 되는 것과 내 라이프스타일은 별 관계가 없다. 그건 뭐랄까…꼭 한 시절의 상흔으로 마음에 남았을 뿐이다. 중복과 말복은 언젠지도 모르고 지나간다는 게 증거다. ‘이제 곧 초복이군’이라는 생각은 한동안 일상 속 여기저기서 튀어나온다. 회의 중 쉬는 시간에, 점심 먹고 사무실로 돌아오는 길에, 퇴근 후 지하철역까지 걷는 동안, 옆 사람에게 끊임없이 중얼거린다. 이제 곧 초복이네요…삼계탕이라도 한 그릇 먹어야지요. 그러나 대개 말만으로 그친다. 나는 초복을 챙기지 않기 때문이다. 삼계탕을 먹을 수 있지만 그 이유는 ‘초복이라서’가 아니라 ‘먹고 싶으니까’다. 내 선택의 근거를 외주 주지 않으리. 그러거나 말거나 많은 사람이 초복에 삼계탕을 먹는다. 중복도, 말복도 놓치지 않는다. 삼계탕집 주인은 삼복 시즌이면 더 많은 재료를 확보해 둘 것이다. 올림픽 같은 이벤트를 앞두고 스포츠 브랜드가 물량 갖추기에 들어가듯이. 연말이면 베이커리에서 각양각색 신상 케이크를 내놓듯이. 아주 작은 습관이라도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시장이 형성된다. 역시 습관이야말로 가장 큰 상품이다. 갑자기 궁금해진다. 이 말도 안 되는 습관은 어디에서 비롯됐을까. 그러니까, 가만히 있어도 더운 날에 뜨거운 음식을 먹어 더위를 이겨내겠다는 발상을 최초로 했던 사람은 누굴까. 직관적으로 말이 안 되는 걸 주장하고 설득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닐 텐데. 누군지 몰라도 덕분에 800만 삼계탕인이 여름에도 밥 먹고 산다. 아니지, 밥 팔고 산다. 다른 게 혁신이 아니다. 이런 게 혁신이지. 다음 혁신은 ‘겨울에 냉면 먹는 날 만들기’ 정도 되려나. 친구와 냉면을 먹다가 슬쩍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식초와 겨자를 골고루 뿌리며 단호하게 말했다. “아니지. 그건 너무 1차원적이잖아.” “그럼? 네가 생각하는 다음 혁신은 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