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도파민 네이션

3년쯤 전에 IT 프로덕트에서 어떻게 습관을 만들 지에 대한 강의자료를 만든 적이 있다. 한창 습관이 핫해지던 시점이었다. 구글 검색 트렌드에 습관, 리추얼 등의 키워드가 올라오기 시작했고 습관에 대한 책들 (해빗,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습관의 디테일 등)이 베스트 셀러 목록에 하나 둘 보이기 시작했다. 그 때 습관에 대해서 공부하고 이해하면 할수록 습관은 도파민의 영역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습관과 중독이 만들어지는 뇌의 영역은 정확히 일치하며 다만 정도의 차이에 따라 습관인지 중독인지가 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독이 되는 것과 같은 전략을 쓸 수 있다. 행동에 보상을 주어서 도파민이 나오게 해야 하고 이것을 반복해서 도파민 경로를 뚫어야 한다. 도파민이 강력할수록 그리고 자주할수록 이 경로는 고속도로처럼 뚫린다. 반대로 습관을 버리려면 행동이 나오는 상황 자체를 원천차단해야한다. 이런 습관을 형성하는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 적절한 시점에 유저에게 트리거를 보내기, 행동을 쉽게 만들기, 그리고 보상을 명확하게 인지하게 하기 등에 집중했다. 리텐션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소셜미디어 회사들에서 수 천명의 석박사들을 불러모아 연구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의 소셜미디어가 이의 대표주자로 불리지만 요즘은 이커머스를 포함한 거의 모든 앱에서 습관을 고려하고 있다.
그 결과 지금 우리의 스크린타임은 점점 더 늘어나고 있으며 그중 과반을 소셜미디어가 차지하고 있다. 이런 결과는 어린아이들에게 더 치명적인데 어린아이들도 소셜미디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며 무엇보다 그들은 이러한 자극에 분별력이 적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 미국의 많은 주들이 소송을 통해 메타에 청소년 중독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캘리포니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주로 확장되고 있으며 주정부들은 이제 메타를 담배기업과 같은 스탠스로 대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습관 관련 책을 읽으면서 도파민에 우리는 얼마나 나약한지를 생각했다. 그에 대한 증거로 나도 이런 도파민 중독자들 중 한 명이며 이 책에 나온 수 많은 사례들이 이를 증명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중독자들은 나처럼 단순한 유투브쇼츠 중독보다 삶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그 중 대부분은 마약과 관련이 있었다. 중독이 가장 무서운 이유는 뇌의 경로와 모양을 구조적으로 바꾼다는 것이다. 내 습관과 중독이 내 뇌의 모양을 바꾸고 나아가 나라는 사람을 바꾼다는 것이 가장 무서운 일이다. 미래의 나의 가치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압도되어 내가 어떤 말을 하는 지, 어떤 생각을 하는 지 컨트롤하지못하는 지경 정도가 되어 디톡스를 시작했다. 이번 주 나는 어느정도의 디톡스를 하고 있는데 '사람이 자기자신과 세상에 연결되어있는 느낌'이 무엇인지 조금은 알것같다. 세상과 나와 연결되는 방법은 지금 현재에 집중하는 것뿐이라는 걸 깨닫는다.
질문
1.
스크린타임은?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으며 어떤 교훈이 있었는지? 본인이 가장 취약한 앱은 무엇이며 이유는?
2.
130p. 오피오이드에 중독된 참가자들은 미래를 평균 9일로 나타냈고 건강한 대조군은 미래를 평균 4.7년을 나타냈다. 이 현저한 차이는 우리가 중독성 있는 물질에 지배를 받고 있을 때 시간적 시야가 얼마나 좁아지는지를 보여준다.
미래는 우리에게 얼마나 의미가 있는가? 현재와 미래, 그 중 우리에게 더 중요한 것은?
1.
233p. 친밀함은 그 자체가 도파민의 원천이다. 타인과의 사랑- 엄마-자식 간의 유대감, 성적 파트너와 평생도록 갖는 유대감 등과 관련이 있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은 뇌의 보상 경로에서 도파민 분비 뉴런에 있는 수용기들을 옭아매고, 보상-회로관을 강화한다. 간단히 말해 옥시토신은 뇌의 도파민을 증가시킨다.
친밀함이 도파민을 자아낸다는 것은 나에게 새로운 가념이지만 생각할수록 그럴싸한 개념이다. 최근에 친밀함을 통해 도파민이나 즐거움을 느낀 경험이 있는지?
3.
244p. DUI유죄처리를 받은 드레이크의 사례. dui는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의 인생에 작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매번 타인에게 본인의 제정신을 증명해야한다. 본인이라면 과거의 이 결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4.
친사회적인 수치심의 원칙 - 수치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관계 - 작게는 방구부터 크게는 나의 사회적 하자 - 가 무엇보다 우리에게 편안함 소속감을 준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럼에도 수치심을 드러내는 것은 쉽지 않다. 나의 수치심을 어떻게 해결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