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이준영

2025/04/16 소명에 관하여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내가 좋아하는 것을 모르겠는 상황에서라면 어떠한가? <피로사회>에서 한병철은 현대인은 '너는 네가 되어야 한다'라는 주문으로 스스로를 착취하고 있다고 꼬집는다. 내가 무언가가 되어야 할 의무는 당연히 없다 (고 나는 겉으로 믿는다). 나의 실존이 본질보다 앞선다는 철학적 차원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회가 나를 평가하는 것에 대한 '니가 뭘 알아'식의 반항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따금씩 내 마음속에서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불안감이 자라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꾸준히 무언가를 쌓아 온 사람들이 보이는 열정과 자기만족을 보고 있을 때면 더욱 그렇다. 때로는 교수님이나 선배님들에게서, 때로는 동기나 후배들에게서, 때로는 상상 속의 내 자신으로부터. 내가 그럴 만 한 싹수가 있다는 걸 믿기 때문에 더 그렇기도 한 것 같다. 나는 과거의 시간과 미래의 시간 양쪽의 기회비용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종종 '내가 하는 이 일이 나에게 잘 맞는 일인가?' 하고 자문하게 된다. 다행히 지금 하는 일은 잘 맞는다. 생물정보학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나의 사고방식을 잘 발휘할 수 있는 분야이면서 내가 가진 미약한 기술과 미약한 지식을 둘 다 갖췄다는 이유로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의 이 미약함이 이에 대한 확신을 옅게 만든다. 내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을 발휘하는 분야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조금 더 능동적인 나만의 작은 퍼즐을 풀고 싶다. 방향의 수정은 어느 정도 필요한 것 같다. 내가 능력을 키워서 화살표에 다가갈지, 화살표를 돌릴지는 더 생각해 봐야겠다. 시간과 정신적 에너지는 현재 할 일에 집중하여 전진하는 데에 쓰는 것이 가장 멀리 가는 방법이다. 기회비용의 과대평가는 내가 가는 길을 의심하는 데에 보다 큰 우선순위를 가져오는 우를 저지르게 한다. 방향을 잘 잡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그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교수님도 (압도적 재능의 생존편향으로 인한 경우를 제외하면) 얼렁뚱땅 교수가 되는 일이 종종 있으신 데다, 계속 방향을 바꿔 가시지 않는가. 방황에는 끝이 없는 기분이다. 이런 방황을 즐기는 동료도 있지만 나는 그렇지는 못한 것 같다. 기회비용의 과대평가가 자기확신을 뛰어넘지 못한 탓이다. 이따금씩 모든 걸 벗어던지고 절에나 들어갈까 생각도 들지만, 속세에서 극락을 찾을 수 있어야 진정한 해탈이라는 마음가짐으로 다시 공부나 해야겠다. 깨달음이 주는 환희는 감각일 뿐,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야 한다.
  • 이준영
2025/04/08 벚꽃을 보면 기분이 좋다
제곧내 우히히
  • 이준영
2025/04/07 Baby cell, never used
지난 주 뇌과학과 후성유전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께 세미나를 들었다. Histon methylation과 single-cell Hi-C를 기반으로 복잡한 조직에서 다양한 세포들의 chromatin contact 정보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발생이나 분화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간 상호작용이 있는지까지를 연구하신 정말 멋진 연구자셨다. 그런데 연구 업적만큼이나 인상깊었던 것은 미국에 계실 때 인간 뇌조직을 Hi-C로 분석하셨다는 것이었다. 4, 50대의 뇌부터 20대, 10대, 심지어 태아의 뇌조직까지 실험에 사용하신 것 같았다. 강의를 듣는 동안은 그냥 Hi-C보다 single cell Hi-C로 확실히 많은 것을 볼 수 있다는 생각만 들었는데, 랩으로 돌아가 다시 생각해보니 기분이 조금 이상해졌다. 당연히 교수님이 악당이라거나 그런 평면적인 문제가 아니다. 연구를 위한 자원은 꼭 필요한 것이고, 또 윤리 원칙을 지키며 연구가 진행되었으리라 당연히 믿으니까. 위의 사진은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이라는 내가 굉장히 인상깊게 읽었던 글에 나온 그림이다. 학자의 길을 걷는다는 것이 갖는 사명감과 허탈함과 소박함을 한 번에 담아낸 정말 의미있는 그림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직접 겪어본 길은 당연히 아직 아니겠지만서도... 그리고 학자로서 마땅히 가져야 할 두려움 중 하나를 상기시켜 주는 그림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뛰어난 학자가 되더라도 조금 더 큰 검정색 돌기를 만들어냈을 뿐이다. 인간 지식의 경계는 그보다 훨씬 넓고, 어쩌면 애초에 아카데이마 바깥에는 구형의 표면이 있을 수도 있다. 죽은 자식의 머리를 열어 종이 위 먹물로 살아가게 하는 부모의 마음은 얼마나 찢어졌을까? 애시당초 우리가 연구하는 세포 하나하나는 모두 누군가에게서 떨어져 나온 것이다. hESC, Hffc6니 하는 알파벳들 뒤에는 이름과 가족이 있는 누군가가 있다. 가위로 서걱서걱 쥐의 목과 두개골을 따면 논문의 그래프가 하나 나온다. 우리가 상아탑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사실 피바다에 떠다니는 커다란 배 같은 것이라 생각하면 조금 으스스하다.
  • 이준영
1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