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3.29. 『듀얼브레인』-이선 몰릭 / 0~74p
0. 들어가는 말 3일 밤을 뜬눈으로 지새우다 GPT 같은 LLM을 처음 마주쳤을 때 느꼈던 감정들 내 직업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우리 아이들은 어떤 직업을 갖게 될까? AI가 진짜 생각을 할 수 있는걸까 등 내가 GPT를 처음 사용하기로 마음먹었던 이유 : 사용하는 사람의 역량에 따라 내가 하나 더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더라 !! GPT를 활용하면서 지금도 밤잠을 설친다 우리 앞의 존재는 인간이 아니고 지각이 없는데도, 인간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공동지능(co-intelligence)**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됨 AI는 전문가들이 **범용 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라고 부르는 범주에 속한다. 한 세대에 한 번 개발될 법한 큰 발전, 산업과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터넷의 원형인 아파넷(ARPAnet)은 1960년 후반에 발명되었으나, 인터넷 망이 갖춰진 1990년대에 널리 쓰이기 시작함 소셜미디어는 스마트폰이 개발된 후 15년이 지난 후 널리 활용되기 시작함 but, LLM은 그 속도가 무지 빠르다 !! 모두가 방 안의 코끼리처럼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외면한 채로 진행되고 있다. 한 달만에 튜링 테스트 통과 러브레이스 테스트 (컴퓨터가 창조적인 작업을 하여 인간이 만든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게끔) 이 책에서는 ‘AI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동료, 교사, 전문가, 친구로서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깊이 탐색하고자 한다. AI란 무엇인가 : 범용기술(GPT)로서, 우리의 삶 전체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 기술, 나와 비슷한 수준을 갖고 있는 동료 등 1부 1-1. 외계 지성(elien mind)의 탄생 1770년 최초의 기계식 체스 컴퓨터의 발명 사실 기계 안에는 체스 교수가 실제로 숨어있었음 → 기계가 스스로 생각할 수도 있겠다는 믿음의 시작?
- 크크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