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

Study

2025.3.29. 『듀얼브레인』-이선 몰릭 / 0~74p
0. 들어가는 말 3일 밤을 뜬눈으로 지새우다 GPT 같은 LLM을 처음 마주쳤을 때 느꼈던 감정들 내 직업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우리 아이들은 어떤 직업을 갖게 될까? AI가 진짜 생각을 할 수 있는걸까 등 내가 GPT를 처음 사용하기로 마음먹었던 이유 : 사용하는 사람의 역량에 따라 내가 하나 더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더라 !! GPT를 활용하면서 지금도 밤잠을 설친다 우리 앞의 존재는 인간이 아니고 지각이 없는데도, 인간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공동지능(co-intelligence)**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됨 AI는 전문가들이 **범용 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라고 부르는 범주에 속한다. 한 세대에 한 번 개발될 법한 큰 발전, 산업과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터넷의 원형인 아파넷(ARPAnet)은 1960년 후반에 발명되었으나, 인터넷 망이 갖춰진 1990년대에 널리 쓰이기 시작함 소셜미디어는 스마트폰이 개발된 후 15년이 지난 후 널리 활용되기 시작함 but, LLM은 그 속도가 무지 빠르다 !! 모두가 방 안의 코끼리처럼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외면한 채로 진행되고 있다. 한 달만에 튜링 테스트 통과 러브레이스 테스트 (컴퓨터가 창조적인 작업을 하여 인간이 만든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게끔) 이 책에서는 ‘AI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동료, 교사, 전문가, 친구로서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깊이 탐색하고자 한다. AI란 무엇인가 : 범용기술(GPT)로서, 우리의 삶 전체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 기술, 나와 비슷한 수준을 갖고 있는 동료 등 1부 1-1. 외계 지성(elien mind)의 탄생 1770년 최초의 기계식 체스 컴퓨터의 발명 사실 기계 안에는 체스 교수가 실제로 숨어있었음 → 기계가 스스로 생각할 수도 있겠다는 믿음의 시작?
  • 크크쌤
2025.3.22. 『나는 AI와 공부한다』-살만 칸
1. 1장-개인교사의 등장 빈 램프는 던져버려라 챗GPT를 금지했던 이유 - 학생들은 독창적으로 사고하고 학습해야 하기 때문 인사이드 하이어 에드 : 오늘날 우리는 몸이 아니라 마음을 위협하는 새로운 전염병에 직면했다. 교사들은 자신의 학급이 GPT에 양성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but, 특정 기술이 좋은지 나쁜지가 아니라, 그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해 동의함, 인공지능 도구는 사용하는 사람의 역량에 따라 그 활용도가 달라진다. 인공지능 도구는 학생들의 존재감을 드러내는데 도움을 준다 → 사회적 관계와 감정 발달, 인격 개선이 가능하다 AI가 당신의 자리를 빼앗지 않을 것이다, AI를 다룰 줄 아는 누군가에게 빼앗길 것이다. ♣학생들에게 이야기하니까 ‘오!’ 하는 표정을 짓더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과제 → 안전 기준 마련 모두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는 방법 칸 아카데미의 목표 → 시장에 1등으로 진입하는 것이 아닌,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것 GPT-4의 특성 : 조종 가능성(steerability) → 인간이 원하는 대로 기술이 작동하도록 만들 수 있는 개념 칸미고 ♣책에서 참 많이 언급된다. 한 번 써봐야 하는건가 나만의 친절한 개인교사 개인교사가 학생과 함께 공부하는 방식이 인간의 학습을 위한 최고의 방법이라는 사실 ♣ AIDT가 추구하는 방향도 이러한 것, 학생 맞춤형 학습 18C 사람들은 모든 학생에게 대규모 공교육을 실현하는 유토피아를 꿈꿨다 약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방적 강의, 정기적 평가 등 표준화 교육을 실시함 결과 : 완벽하진 않았으나, 전반적인 교육 수준을 크게 높임, 문맹률을 낮춤, 교육받은 시민의 비중 늘어남 but, 현재의 상황은 이와 같지 않다 !!! 1984 벤저민 블룸 : 맞춤형 강의와 일대일 개인 교습의 효과 검증 유능한 개인교사 ? : 학생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 학생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내용을 이해했는지 확인, 평가, 뚜렷한 학습 목표 제시 ♣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이 교사의 어려움을 보완해주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제시 할 수 있다 는 주장 블룸의 두 시그마 문제 → 일대일 개인 교습 방식의 장점 ⇒ 개인 교사와 함께 공부 할 때 두 배 이상의 효과가 있다고 주장함. but, 이것은 ‘문제'다. ♣ 중산층 & 부유층은 개인 맞춤형 교습을 통해 이러한 효과를 받고 있었다. → 학습 격차의 심화 / 양극화 심화
  • 크크쌤
2025.3.3. 『나는 AI와 공부한다』-살만 칸 / 0~47p
0. 들어가며 우리는 함께 쓴다 딸 디야와 GPT를 이용해서 글짓기 → “서맨사가 무인도에 떨어진 이야기” + 에밀리 등장 ♣ 이 기술은 Mizou를 활용해서 꼭 해보고 싶은 교육 스킬인 것 같다. 영어 교과를 지도하고 있으니, 간단한 영어를 활용한 이야기 쓰기 & 수준 차를 두고 자신의 수준에 맞게 설정 제안 사촌동생들을 위한 웹 기반 수학 학습 프로그램 ⇒ Khan Academy 무엇을 공부했는지 확인, 각자의 속도에 맞게 학습 속도 조절 개개인의 학습 속도를 고려하고 특정 과목에서 A학점 (완전학습→ 낙제생이 없는 교육) but, 30명이 넘는 학생들이 있는 교실에서는 도달하지 못해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 유일하게 가능한 대안은 기술을 활용하는 것 소설 속 미래 교육의 모습 ♣ 현재 AIDT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모습들이 대부분 들어가있는 것 같다. 과연 결과도 소설 속 결과와 비슷할까? 닐 스티븐슨 - 다이아몬드 시대 AI 기술을 활용한 대화식 교과서, 젊은 여성의 삽화 입문서 앱 (소설 속 프로그램) 올슨 스콧 카드 - 엔더의 게임 ‘제인’ 이라는 AI 개인교사 → 전략적 사고 & 의사결정 기술을 가르치는 배틀 스쿨 아이작 아시모프 - 잃어버린 즐거움 첨단기술로 교육 혁신 → 맞춤형 학습 & 로봇 교사를 제공하는 미래학교 2017년 구글의 트랜스포머 (Transformer) 기술 단어와 개념을 연결 짓는 높은 정확성 LLM은 특히 단어들 사이의 연결을 모형화한다. (뉴런과 시냅스 모형화) → 단어 두뇌 OPEN AI 팀의 Khan Academy 협력 요청 처음에는 AI가 논리적·연역적 추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 대학 수준의 생물학 문제를 얼마나 잘 풀어내는지 확인 → 문제 해결 & 이유 설명 & 비슷한 수준의 문제를 만들어내기까지 함.
  • 크크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