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3.3. 나도코딩 파이썬 입문 7-8장
7장. 함수 함수의 입력값을 ‘전달값’, 출력값을 ‘반환값’ 이라고 함 → 전달값, 반환값, 동작 print(), len(), input() 등은 내장함수 but 개발자가 직접 만드는 함수는 사용자 정의 함수 def 함수명(): ← 함수명은 소문자 사용, 언더바 사용 가능 실행할 문장1 def open_account(): print(”새로운 계좌를 개설합니다.”) open_account() ⇒ “새로운 계좌를 개설합니다.” 전달값과 반환값 함수 호출하기 기본값 사용하기 : 굳이 무엇이라고 정의하지 않아도, 당연히 ~겠구나 할 때 사용 def profile(name, age, main_lang): print(”이름 : {0}\t나이 : {1}\t주사용 언어:{2}”.format(name, age, main_lang)) profile(”찰리”,”20”,”파이썬”) ⇒ 사이사이에 탈출문자 사용 def profile(name, age=20, main_lang=”파이썬”): ← age, main_lang 을 기본값으로 print(”이름 : {0}\t나이 : {1}\t주사용 언어:{2}”.format(name, age, main_lang)) profile(”찰리”) ⇒ 이름:찰리, 나이:20, 주사용 언어:파이썬 profile(”찰리”,22) ⇒ 이름:찰리, 나이22, 주사용 언어:파이썬 ← 선택적으로 기본값 사용 기본값 함수 정의 시, 반드시 일반 전달값을 기본값보다 먼저 적어야 함. 키워드 인자 사용하기 : 전달값을 어디에 전달할 지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것 (순서 상관X) def profile(name, age, main_lang) print(name, age, main_lang) profile(main_lang=”자바”, name=”찰리”, age=23) ⇒ 찰리, 23, 자바 ← 위치 지정 가변 인자 : 개수가 변할 수 있는 인자, 전달 값 앞에 * 사용, 튜플’( )’로 인식 def profile(name, age, language): ←*language를 가변 인자로 설정 print(”이름 : {0}\t나이 : {1}\t”.format(name,age), end=”” ← 띄어쓰기 후 옆에 붙이기 print(language) profile(”찰리”, 20, “파이썬”,”자바”,”C”)
- 크크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