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정보 격차, 전문성을 다시 정의하다
내 일이 없어지고 있어... 얼마 전에 충격을 받은 일이 있었습니다. 사업계획서 문서 작업을 하는데, 제가 이틀동안 20% 정도 가장 핵심만 짜놓은 가이드를 고객사의 팀원이 AI에 학습시켰더니 80점짜리 초안이 나왔습니다. 원래 열흘 걸릴 일이 3분 걸리게 된 것입니다. 정말 핵심적이고 중요한, 노하우에 입각한 20%의 가이드였는데 그게 80점짜리 초안으로 3분만에 나오더랍니다. 전문가가 해야만 하는 업무, 덜 전문가도 할 수 있는 업무, AI가 할 수 있는 업무 3가지 중에서 중간의 사람이 해야하는 업무가 하루가 다르게 얇아지고 있습니다. 컨설팅과 대행의 차이 '컨설팅'의 가치는 전문가가 심어주는 성공에 대한 이미지에서, '대행'의 가치는 덜 전문가도 할 수 있는 업무 그리고 AI와 비교됩니다. 점점 복잡성이 높은 대행도 AI화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AI 에이전트의 발전 속도가 살벌하기 때문입니다. 프롬프트 기반의 생성형 툴은 사람들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에 가까운데, 보다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를 모사하여, 직접 판단하고 실행하는 AI 에이전트는 사람의 일자리를 직접적으로 잠식합니다. 컨설팅의 전문성도 점점 줄어들 것입니다. AI는 별의별 데이터를 다 학습하고, 프롬프트 한 줄이면 저년차 전문직 수준의 교과서와 기본 가이드에 부합하는 답을 가져옵니다. 컨설턴트로 살아남기 1. 니치한 분야의 전문가가 될 것 공개 정보가 많지 않아야 정보 격차가 유지되고, 전문성을 인정받는 '컨설팅'이 됩니다. 앞으로 이런 격차는 B2G 혹은 객단가가 높고, 거래 빈도가 낮은 B2B 분야가 아니고서는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합격한' 사업계획서는 세상에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꽤 오래 격차가 유지될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업계획서는 작성 템플릿만 있으면 AI가 몇만원에 채워넣습니다. 결국 고객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어느 정도로 디테일을 넣고 빼야 이 평가 기준에 부합하는지' 입니다. 팁스에 대한 단상 저는 주변 사람들이 입을 모아 추천하는 팁스 전문가입니다. 이제 컨설팅 경험도 늘어서 아마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합격하는 사업계획서 아웃풋을 내는 사람일 것 같습니다. 합격률이 높은 사업이지만, 절대적인 서무 업무량이 많아 두 번하고 싶지는 않아서 보험을 드는 고객들도 종종 있습니다. 연간 팁스를 신청하는 기업이 500개 정도 됩니다. 제 생각에 이 중 5% 정도가 아마 유료 컨설팅이 필요한 최대치일 것 같습니다. 세상에, 저는 창업한지 반년만에 20%가 넘는 유효 시장을 점유했습니다. 벌써 자리를 잡았네요. 팁스 컨설팅은 매우 니치한 시장이고, 제 생활비를 벌 수는 있지만, 채용을 하면서 확장할만큼 수익성이 높거나 대단히 커지는 사업이 될만한 분야는 아닙니다. 으레 B2G 파생 사업들이 그렇듯이 말입니다. 컨설턴트로 살아남기 2. GPT보다 빨리 좋은 질문을 할 것 GPT는 훌륭한 무료 컨설턴트입니다. 심지어 무료인 GPT보다 우수한 효용을 입증해야 합니다. 감정 없는 GPT보다 빠르게 고객의 협조를 이끌어내고, 고객의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해결하면 됩니다. 사실 그냥 '문제해결능력' 입니다. 이제 정보격차에서 오는 전문성은 없습니다. 서비스적으로 효용을 입증해야만 합니다. 성과형 가치체계 세상의 가치 체계가 점점 성과형으로 변화하는 듯합니다. 성공 가능성이 보장되지 않는 것들은 AI가 너무 빨리, 너무 저렴하게 생성해버리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