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강의, 강연, 북 리뷰

[책 리뷰] 디자이너 마음으로 걷다
며칠 전,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3만 명 정도 되는 크리에이터 분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직장인들을 위한 글을 쓰는 분이셨는데, 이 분에게 컨텐츠를 위한 영감은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해 질문을 드렸어요. 그 분의 답변이 인상적이었는데요. 크리에이터로 활동하기 전, 10년 간 직장생활을 하면서 꾸준히 독서 다이어리를 작성해왔다고 합니다. 그 다이어리는 총 13권이고, 한 권당 평균 55권의 책의 기록이 담겨 있다고 하니, 지금까지 남긴 독서 기록만 700권에 달하는 것이죠. SNS 글을 쓸 때, 이 다이어리에 썼던 내용들을 참고한다고 하는데, 지금까지 아직 13권 중 한 권도 다 사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10년 동안 꾸준히 책을 읽고, 생각을 기록하고, 이를 지속해 왔다는 점 등 무엇 하나 대단하지 않은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디자이너 마음으로 걷다’ 책도 마찬가지로, 10년 동안 쌓인 ‘나가오카 겐메이의 메일 메거진’ 530통 중 107통을 엮어서 만든 책이라고 해서 놀라웠습니다.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무언가를 꾸준히 하면 결국 어디엔가 도달하게 되는 것인가 싶은 생각도 드네요.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구절들에 대한 생각을 적어보았습니다. PAGE 50) ‘역시 식물에는 배울 점이 많다. 그렇게 생각한다’ “식물은 자신이 있는 곳을 파악한 뒤 ‘계속 살자’ 라고 생각한다. … 식물들은 움직일 수 없다. 그러니 주어진 ‘장소’에서 ‘살아남기’ 위해 아이디어를 짜낸다.” 환경을 탓하지 않고, 주어진 자리에서 살아남기 위해 변화하는 것은 그 자체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그런 사람들은 정말 희귀하다고 생각해요. 만약 내가 포함된 집단에 그런 사람이 존재한다면, 그 사람이 우리 집단에 있어서 정말 행운이다 라는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나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은가? 를 생각했을 때는 아니라는 생각도 함께 듭니다. 덩굴 식물은 자신이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감지하면 그것을 감으면서 더 높은 곳으로 뻗어나가 더 많은 빛을 확보한다고 해요 개구리밥, 부레옥잠은 물 위를 떠다니며 이동하여, 새로운 지역으로 퍼져 나가 서식지를 확장할 수 있고, 텀블위드는 마른 상태가 되면 전체 식물이 뿌리에서 분리되어 바람에 의해 굴러다닌다고 해요. 이동하면서 씨앗을 퍼뜨리기 위한 전략이라고 합니다. 한 자리에서 묵묵히 버티고 성장하는 식물도 있지만, 때로는 환경이 맞지 않을 때 뿌리를 과감히 끊어내고 바람에 몸을 맡기는 식물도 있는 것이지요. 십 년쯤 지나면 내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지금은 텀블위드 처럼 이리저리 굴러다니고 싶네요! PAGE 150) ‘브랜드란 일하는 모든 사람의 별거 아닌 마음 씀씀이가 ‘찰싹찰싹’ 쌓인 상태를 말한다’ “찰싹찰싹. 내가 자주 사용하는 의성어로, 부가가치가 찰싹찰싹 붙어 쌓여갈 때 나는 소리다. .. 누군가가 이 가게 맛있네요 하고 말하면 다른 사람들 안에 찰싹하고 붙는다. 화장실에 갔을 때 점원이 친절하게 안내해 주었다고 그것도 찰싹 하고 붙는다” “가볍고 얇으면서 소소한 마음은 그 모습에 크나큰 변화는 없다. 하지만 확실히 쌓여간다. 먼지처럼 말이다”
  • R
    Recorder
[책 리뷰]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마!
스티브 크룩의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마!' 책을 읽음! UX 와 관련된 원칙들이 담겨 있는 책이었는데, 꽤 오래 전에 쓰여진 책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많이 인용되고 있는 책이다. 다른 분야 리서치를 하다가 'UX 리서치'로 방향을 틀고 싶을 때, UX 쪽 공부를 하기에 유용한 책이다. 아래 내용은 책 내용 중 일부 유용한 내용들을 발췌한 내용이다: 사용성에 속하는 특성으로 거론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유용성: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일을 하는가? 학습 용이성: 사람들이 사용법을 알아볼 수 있는가? 기억 용이성: 사용할 때마다 사용법을 다시 익혀야 하는가? 유효성: 맡은 임무를 완수하는가? 효율성: 작업을 수행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의 양은 합리적인 수준인가? 호감도: 사람들이 이것을 갖고 싶어 하겠는가? 재미: 사용할 때 즐겁거나 재미있다고 느끼는가? 1장. 사용자를 고민에 빠뜨리지 마라!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사이트나 앱을 만들기 위해 해야 할 일 중 가장 중요한 일은? ‘사용자를 고민에 빠뜨리지 마는 것’ → 이 원칙을 최우선으로 여겨야 함. 단 하나의 사용성 원칙을 기억할 생각이라면 이 원칙을 택하라. 웹 페이지는 최대한 자명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2장. 우리가 실제 웹을 사용하는 방법
  • R
    Recorder
[책 리뷰] Rocket Surgery Made Easy (사용성 평가 이렇게 하라)
스티브 크룩의 '사용성 평가, 이렇게 하라!' 라는 책을 읽었는데, 매우 매우 잘 만든 기본서라고 느껴졌다. 사용성 평가, UT를 한번도 해보지 않은 디자이너, PM, PO들은 이 책만 가지고 바로 UT를 수행할 수 있을만큼 쉽고, 실용적이다. 이 책의 작가는 본인이 글 쓰는걸 싫어하고, 대신 강의 하는걸 좋아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은 유튜브로 강의를 듣는 것 같이 쉽고 눈에 쏙쏙 들어온다 (굉장히 구어체로 쓰여져 있다).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각 단계 별로 바로 사용할 수 있을만한 스크립트를 제공하거나, 체크리스트를 제공해서 실무에 바로 써 먹을 수 있다는 점이다. 앱/웹사이트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라면 이 책 한 권 사서 다 같이 돌려 읽어보면 정말 좋을 것 같다! 아래 내용은 책 읽으면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내용들 메모해놓은 내용이다. 나도 나중에 UT에 대해 다른 팀원들에게 교육, 전파할 때 유용하게 써 먹을 자료일 것 같다. 1. 너는 여기 코끼리가 보이니? DIY 사용성 테스트란 무엇인가, 왜 언제나 통하는가, 그런데 왜 사람들은 하지 않는가 사용성 테스트란? 사람들이 더 쉽게 사용하게 만들거나, 사용하기 쉽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의도로, 당신이 만들고 있는/이미 만들어 놓은 것들을 사람들이 사용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 사용성 테스트를 정의하는 방식은 모두 제각각이지만, 공통 요소는 ‘바로 사람들의 실제 사용 모습을 지켜본다는 점’이다. 다른 리서치 방법론들(서베이, 인터뷰 등)과 사용성 테스트의 다른 점이다! 정량적 테스트: 무언가를 증명하기 위해 여러 가지를 측정하는(성공률/수행시간) 것이다. 정량적 테스트는 ‘증명’해야 하기 때문에 과학 실험처럼 엄격해야 한다. 테스트 절차를 정해놓고 거의 모든 참가자들에게 일관되게 적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통계적으로 유효할 수 있는 샘플수가 필요하고, 참가자드링 실제 사용자들을 대표하고 있어야 조사 결과를 큰 집단에 대입 시킬 수 있다 ‘DIY 사용성 테스트’는 정성적인 테스트 이것의 목표는 무언가를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만드는 것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는 것이다. 따라서 이 테스트는 비공식적이고 비과학적이다. 인사이트를 얻을 수만 있다면 사용자의 수가 적어도 되고, 테스트 중간에 절차를 바꿀 수도 있다.
  • R
    Recorder
DAY 2 리뷰_[UX Research korea meet up 2024]
UX 리서치 밋업 두 번째 날에는 오프라인 현장에서 직접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 어제는 C-Level 연사분들을 모셨고, 참여자들도 주로 메이커 위주로 초대했다고 하셨는데요. 오늘은 연사분들도 UX 리서처 분들이고, 참석자를 또한 UX리서처 위주로 구성을 하셨다고 합니다. 제 인생에서 이렇게 많은 리서처 분들을 한 공간에서 보게 된 것은 정말 처음이었어요! 연사님들과 호스트님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이 분들께서 회사에서 비지니스적인 임팩트를 만들어내고, 팀원들의 신뢰를 쌓으며, 리서치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퍼트리기 위해 지금까지 얼마나 치열하게 노력해 오셨는지 느낄 수 있어 마음 속에서 많은 울림이 있었습니다. 저를 되돌아보며, 나는 지금까지 그렇게 적극적으로 임해왔을까? 나는 과연 비즈니스적으로 임팩트를 낸 적이 있었을까? 스스로 조금 부끄러운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리뷰는 여기까지 하고.. 지금부터는 밋업 내용을 정리한 부분입니다! [의심을 걷어내고 신뢰를 쌓기] - 권해솜 무신사 UX 리서처님 혼자서 UX 리서치를 담당하는 1인 리서처, 리서처는 아니지만 리서치를 해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준비해 주셨습니다. 'UX 리서치는 왜 의심의 대상이 되었는가?'를 주제로 액자식 구성으로 설명을 해주셨어요. <Part 1> UX리서치는 왜 의심의 대상이 되는가? 잘 몰라서 당해본 적 있어서 임팩트가 없어서 [잘 몰라서] 인 경우 → 알려주자!
  • R
    Recorder
DAY 1 리뷰_[UX Research korea meet up 2024]
어제(11/13) 원티드에서 주최한 UX 리서치 밋업에 온라인으로 참여했습니다 💕👍 저는 평소에 '리서치를 하고 싶지만 윗선에 그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설득하기 어렵다'는 고민을 토로하는 실무자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어요. 그런데 이렇게나 UX 리서치에 진심인 대표님, CPO님들의 관점에서 리서치의 중요성에 대해 듣게 되니 굉장히 새로웠습니다! 연사분들께서 리서치를 통해 '아하 모먼트'를 겪게 되고, 이것이 비지니스적으로 임팩트를 내는 경험을 한 두번씩 하는 것을 시작으로, 리서치의 중요성에 대해 깨닫게 되셨다고 해요. 이러한 경험이 축적되어, 리서치는 하면 좋은게 아니라,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 꼭 포함 시켜야 하는구나!를 몸소 체감하셨던 것 같습니다. 평소에 잘 고려해보지 않았던 윗분(?)들의 시각에서 'UX 리서치'를 바라보는 경험이 매우 신선했고, 리서처의 입장에서 회사에 더 큰 임팩트를 주기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다만 강연 시간이 길어지면서 마지막 세션을 다 듣지 못하고 나가게 되어 아쉽게도 임파워툴킷AI 창업자님의 세션은 듣지 못하였습니다..ㅠㅠ [사용자 리서치가 라포랩스에 녹아들게 된 이유] - 홍주영 라포랩스 대표님 <Part 1> 라포랩스는 왜 사용자 리서치에 진심이 되었는가? 리서치를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 지금까지 회사가 여러 번 망했는데, 그 이유가 뭘까 생각을 하다가 ‘고객을 한번도 만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지금까지 꽤나 충동적으로 하고 싶은 사업을 시작 했단 생각이 들었음 그래서 일단 이번엔 일단 최대한 많이 만나자! 라는 목표를 가지고, 당근마켓 같은 곳에서 인터뷰이를 구해 인터뷰를 하기 시작했음 c. 그러다가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패턴을 발견하게 되었음 처음 들어보는 플랫폼인데, 왜 여기서 옷을 살까? 모바일에서는 옷만 구경하고, 웹에서 주문을 하네? 이런 것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가설을 세웠음 50대도 패션 쇼핑을 많이 한다
  • R
    Recorder
👍
2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