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와 IP의 차이점은?
브랜드와 IP, 우리는 이 두 단어를 일상 속에서 자주 접합니다. '이건 브랜드가 좋아서', '이건 인기 IP라서'같은 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막상 두 개념의 차이를 물으면,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많은 경우 두 개념을 혼용하지만, 실제로는 그 의미와 기능이 전혀 다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Peirce)의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브랜드와 IP를 구분하고 해석해보려고 합니다. 조금은 낯설지만 흥미로운 시도일 수 있습니다. 기호란 결국, 우리가 세계를 해석하는 방식이니까요. 1. 퍼스의 기호학 정리 퍼스는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모든 방식을 '기호(sign)'라는 개념으로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그 기호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도상(Icon) 유사성에 기반한 기호 실제 대상과 닮았기 때문에 의미가 전달되는 기호입니다. 예) 그림이나 지도, 이모지 지표(Index) 인접성과 인과관계에 기반한 기호 연기가 나면 불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발자국은 누군가의 이동을 암시하듯, 물리적인 흔적이나 감각적 반응처럼 원인과 결과가 연결되어 의미를 갖는 기호입니다. 상징(Symbol) 관습적으로 의미가 부여된 기호입니다. 언어, 수학 기호, 브랜드 로고처럼, 실제 대상과 물리적 연결도 유사성도 없지만 사회적 약속에 의해 의미가 작동하는 기호입니다. 이러한 퍼스의 기호학 구분은, 기호가 어떻게 의미를 획득하고 사람의 인식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보여줍니다.
- 최준호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