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5] 딥페이크 범죄 피해 인종 대다수가 한국인이라고?
[AI 윤리 5번째 Newsletter: 딥페이크(Deepfake)] AI 윤리 제정의 주요 목표는 인간의 자유성, 존엄성, 그리고 저작권을 보호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나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윤리적 문제를 초래하는 주요 범죄와 금지 부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AI 범죄 순위를 살펴보면 딥페이크, 클론 피싱, AI를 이용한 개인정보 침해, AI 금융 사기 등 다양한 범죄 양상이 있습니다. 그 중 오늘은 딥페이크(Deepfake)를 활용한 범죄와 윤리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본 레터에서 작성된 이미지, 그래프는 직접 AI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니 무단 불펌은 금지합니다. 딥페이크의 정의 부터 살펴보면, 인공 지능 기술의 Deep Learning을 활용하여 기존 영상, 사진, 음성을 조작하여 가짜인 Fake 컨텐츠를 만드는 것이 합쳐서 Deep+Fake, 딥페이크라 지칭하는 합성어입니다. 딥페이크와 같은 기술은 원래 긍정적인 목적에서 개발되었으나, 악의적으로 사용될 경우 범죄와 악용 사례를 초례하였습니다. 이는 많은 기술이 본래의 의도와 다르게 부정적인 방식으로 활용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로, 윤리적·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딥페이크의 양면성 딥페이크는 긍정적인 사용으로는 고인이 된 사람을 추모하는 목적에서 가족들이 영상이나 사진으로 활용되거나, 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 노년의 배우의 아역 시절로 얼굴을 재현하여 영화의 한 장면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죠. 목적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는 AI Deeplearning 기술로 촬영 비용을 줄이거나 어려운 장면을 디지털 합성으로 대체하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에듀 사업이나 가상 환경에서 트라우마를 재현해 심리적 회복을 돕는 치료 도구 등 다양하게 Deeplearning 기술이 긍정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레터에서 작성된 이미지, 그래프는 직접 AI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니 무단 불펌은 금지합니다. 그렇다면 딥페이크의 양면성인 부정적인 사례와 범죄 동향은 어떤게 있을까요? 2019년 네덜란드의 사이버보안 기업 딥트레이스(Deeptrace)의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에 존재하는 딥페이크 영상의 약 96%가 성인물이며, 이러한 영상의 대부분이 특정 인물의 얼굴을 합성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딥페이크 성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이 2021년 156건, 2022년 160건, 2023년 180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범죄 사실을 알리지 않거나 숨기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피해 건수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2024년도는 AI의 활용의 가속도가 높아져 2024년도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래프1] 한국 딥페이크 범죄 발생 건수와 검거 건수 2021-2023 딥페이크 범죄 발생 건수 중 피해자 연령대는 2021-2023 딥페이크 사건 피해자 527명 중 59.8%인 315명이 10대로 나타났습니다. 2024년 1-9월까지 검거된 딥페이크 성범죄 피의자 387명 중 83.7%가 10대 청소년으로, 이 중 17.1%는 촉법소년이었습니다. 피해자와 피의자가 10대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은 AI를 활용한 딥페이크 범죄를 활용하거나 피해를 받고 있는 연령대가 10대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은 중요한 주안점입니다. [출처] 연합뉴스
- AI윤리
- 이현이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