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문서 자동 분류/검색 — 자세히 설명
📌 이런 상황에서 유용해요:
“작년 6월 사업 회의 내용 뭐였지?”
“예산 관련 회의 중에 소모품 항목 논의된 거 찾아줘.”
“검수 불량 많았던 보고서들 보여줘.”
이런 질문을 사람 말 그대로 입력하면, 관련 문서들을 AI가 자동으로 찾아주는 기능이에요.
✅ 어떻게 동작하나요?
1.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 입력
예:
“작년 10월 사업 회의 보여줘”
“노트북 구매 관련 품의서 찾아줘”
2. AI가 문서 내용 전체를 읽고 판단
→ 질문에서 핵심 키워드를 뽑고, 전체 문서들과 비교
→ 가장 관련 있는 문서들을 골라냄
→ 필요하면 문서 내용을 요약해서 함께 보여줌
✅ 사용하는 기술 쉽게 설명
기술쉬운 설명Zero-Shot ClassificationAI가 미리 훈련된 상태에서, 문서를 주제 없이도 알아서 분류 가능 (“이건 사업 회의야”, “이건 소모품 관련이야”)Document Question Answering (Document QA)AI에게 질문을 하면 문서에서 답을 찾아주는 기술. 예전 회의록, 보고서 등에서 관련 문장을 뽑거나 요약 가능Text Ranking많은 문서 중에서 질문과 가장 잘 맞는 문서를 순서대로 추천
🧠 예시 흐름
사용자가 입력:
“2023년 9월 회의 중에 예산 삭감 관련된 회의 있었어?”
AI 처리:
예산 삭감, 2023년 9월, 회의라는 키워드 추출
전체 문서에서 관련 회의록 찾아냄
해당 회의에서 예산 삭감 관련 내용이 있는 부분을 요약해서 보여줌
출력 결과 예시:
diff코드 복사[2023-09-12 사업 회의록]
- 회의 주제: 부서별 예산 조정
- 주요 내용: ○○ 부서 예산 15% 삭감, 사유는 예산 집행률 미달 등
🧾 IT 담당자에게 이렇게 말하세요:
“우리 내부 문서가 많아지다 보니, 키워드가 아니라 ‘자연어 질문’으로 문서를 쉽게 찾고 싶어요.
예를 들어, ‘작년 예산 회의 보여줘’, ‘검수 불량 나왔던 보고서 찾아줘’ 같은 말로요.
이걸 가능하게 하려면 문서 전체 내용을 분석해서 관련 문서를 자동으로 분류·검색해주는
Zero-Shot Classification, Document QA 같은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고 하던데, 우리 기관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