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

20407 김서율 서평문집

시 감상 서평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봄길이 되어 끝없이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강물은 흐르다가 멈추고 새들은 날아가 돌아오지 않고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꽃잎은 흩어져도 보라 사랑이 끝난 곳에서도 사랑으로 남아있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사랑이 되어 한없이 봄길을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정호승 시인의 봄길이라는 시다. 봄은 주로 긍정적인 계절이다. 추운 겨울이 지나 따스해지는 시기, 새싹이 돋아나고 꽃이 피는 생명력이 넘치는 시작과 같은 계절이다. 그래서 봄은 주로 시작, 희망, 생명력을 뜻한다. 길은 우리가 향하는 곳으로 이끄는 우리의 삶과 닮아있는 대상이다. 이 두 대상이 합쳐져서 봄길은 활기차고 희망찬 우리 삶을 보여주는 것 같다. 시에서는 길이 끝나는 곳에도 길이 있고 길이 되는 사람이 있고 심지어는 자신이 길이 되어서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길이 끝나는 곳, 길의 의미를 우리의 삶이라 생각했을 때 우리의 삶이 끝난 것처럼 힘들 때도 이 삶을 계속 할 수 있는 희망이 있다는 얘기이다. 인생에서 계속해서 길이 끝나는 곳, 즉 고난을 마주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신이 길을 만들고, 그렇게 계속 전진을 하며 자신을 더 단단하게 만들고 비로소 봄길이 되어 살아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생각이 드니 위로가 되는 기분이였다. 그리고 이 시를 읽고 내가 힘들었을 때를 생각하게 되었다. 수많은 순간들이 있었다. 그 많은 순간들이 정말 너무너무 힘들어서 해결되지 않을 것만 같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 다양한 방법으로 다 해결되어 지금의 내가 되어있었다. 나에겐 주로 매 시험기간마다 정말 길이 끝나는 곳 같았다. 하지만 그런 생각이 들 때 시험 끝나고 하고 싶은 것들을 나열한다거나 잠시 친구와 만나 얘기한다는 등으로 내 나름대로의 '길'을 만들어 오고 있었다. 한 번은 학급에서의 갈등이 너무 심했을 때 정말 어떻게 해야할 지 몰라서 혼자 엄청 고민을 했었다. 그 때 부모님께도 말씀드리고 친구들과도 얘기를 해보며 결국 길을 찾아 해결할 수 있었다. 사실 시를 처음 읽었을 때 내가 이렇게 길을 찾았던 적이 있었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생각을 해보니 그런 순간들은 은근 많이 존재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런 순간들을 생각해보니 괜시리 뿌듯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런 순간이 있었는지 묻고 싶다. 해결되지 않을 것처럼 힘들었던 순간들도 이겨내고 나서 돌이켜보면 해결할 수 있었고, 그런 순간들 덕분에 더 단단해진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분은 길이 끝난 것 같던 순간 어떻게 어떤 길을 찾았나요?
  • 서율이
아이들이 없어진 학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꽃잎들 어디 갔나요 가을바람 꼬리 아래 들춰 보아도 작은 발자국 하나 남아 있지 않네요 용궁에 들었을까 은하수로 올랐을까 상자 속에 갇혔나 시계 안에 숨었나 어깨 겯고 곧은 금에 발끝 맞추던 이슬 닮은 눈망울 그리워집니다 찬비 맞아 가을별 울 너머 가버리고 달빛 아래 하얀 눈 홀로 외로워도 남풍 싣고 올 새 봄 기다립니다 겨우내 간직해 온 씨앗 뿌리듯 마당 가득 꽃가루 촘촘히 담아 내어 하얀 금 곧고 바르게 그으면 푸른 물 열고 이 가슴에 달려올 동그란 초록 함성 기다립니다 이 시는 현상길의 '꿈꾸는 운동장'이라는 시이다. 이 시는 학생들이 줄어드는 시기에 학생들을 기다리는 교사의 모습을 그려낸다. 꽃잎은 아이들을 뜻하고 그런 꽃잎들이 없는 지금을 겨울에 꽃잎이 많은 봄을 기다린다고 얘기하며 학생을 기다리는 모습을 표현한다. 시에서 사용하는 시어와 표현이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아이들을 꽃잎으로 비유하고 아이가 있는 계절을 봄, 그렇지 못한 계절을 겨울로 표현한 것이 너무 와닿았다. 학생들이 항상 예쁘기만 할 수 없지만 학생이 없는 학교는 교사에게 의미 없는 겨울처럼 쓸쓸하고 춥고 학생들이 온 학교는 교사에게 봄처럼 따스한 시간이라는 것이 잘 느껴졌다. 그리고 아이들이 없어서 어디갔지하고 의문을 갖는 곳에서 용궁에 들었을까 은하수로 올랐을까라고 표현한 것이 예쁘다. 그냥 어디갔어!가 아니라 용궁, 은하수처럼 아름답고 또 신비로운 곳으로 갔냐고 말하는 것에서 작가가 보는 아이들을 유추할 수 있었다. 아이들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것이 느껴지는 부분이였다. 또 동그란 초록 함성이라는 말이 너무 예쁘게 느껴졌다. 아이들이 치는 함성이 듣기 싫은 뾰족하고 각진 소리가 아니라 동그랗게 듣기 거리낌없고 초록이라는 색으로 신선하고 생기있는 느낌이 들었다. 이 시가 더 와닿았던 것은 지금 상황에 더욱 적합해져서라고 생각한다. 2015년엔 892만 명이던 학령인구 수가 현재 2024년에는 714.1만 명으로 180만명 가까이 감소하였다. 당장 초등학교만 가봐도 이것을 바로 느낄 수 있다. 2018년-2019년에는 한 반에 30명 가까이 되던 학생 수가 현재는 20명도 못 넘긴다. 출산율 또한 2015년 1.24명에서 2023년 0.72명으로 아이도 낳지 않아 미래에 학생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출산률이 줄어드는 것에는 경쟁 심화, 가치관 변화, 물가 상승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 국가에서 양육비지원이나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음에도 출산율이 오르지 않고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에는 그러한 금전적인 지원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양육에 대한 부담감이 크고 자신의 아이는 경쟁 등으로 고통받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크기 때문이다. 또 자녀를 위한 부모의 희생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예전 세대와 달리 자신의 삶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말로 효과가 있는 해결책은 무엇이 있을까. 제일 필요한 점은 경쟁 완화도 필요하겠지만 사람들의 인식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옛날에 시골 아이는 한 마을해서 정말로 효과가 있는 해결책은 무엇이 있을까. 제일 필요한 점은 경쟁 완화도 필요하겠지만 사람들의 인식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온 마을이 아이를 키운다는 말이 있다. 아이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정이 아니라 속한 사회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말 그대로 예전에는 한 아이를 마을 어른들 전체가 키웠다. 이렇듯 아이에 대해서 불만, 거리낌 없이 다같이 아이를 키우고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요즘은 아이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이 늘면서 아이들이 떠들고 뛰어다니고 장난치면 안좋은 눈초리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런 일들이 늘어나면서 아이를 키우는 것이 힘들다고 생각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아이의 수는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아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아이들을 좋은 눈으로 보지는 못해도 차라리 아무 관심을 주지 않으면 부모의 부담감은 조금이라도 덜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이 많아지고 살기 좋은 세상을 위해 우리가 바뀔 필요가 있을 것 같다.
  • 서율이
지는 해 - 정유경
친구와 싸워 진 날 저녁 지는 해를 보았네. 나는 분한데 붉게 지는 해는 아름다웠네. 지는 해는 왜 아름답냐? 지는 해 앞에 멈춰 서서 나는 생각했네. 지는 것에 대해서. 친구와의 싸움에서 지고 분해 하는데 지는 해를 보며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는 것에 대해서 생각을 한다. 마지막에 '지는 것에 대해서'의 부분이 해가 지는 것이 아니라 싸움에서 지는 것에 대하여 생각한다는 것 같아서 인상 깊었다. 그래서 이 시를 고르게 되었다. 자세히 얘기하기 전에 먼저 시에서 생각한 '지는 것에 대해서' 얘기하고 싶다. 과연 지는 것은 무엇인가. 지는 것이 분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지는 것이 분한 것이 아니라 양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대와 의미 없는 싸움을 하지 않지 위해서 나의 의견을 조금 뒤로 보내고 상대의 의견을 수용하는 것이라면 양보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사회에는 친구와의 다툼 뿐만 아니라 수많은 경쟁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경쟁에서 매번 이기려고 하기 때문에 또 다른 싸움이 생기게 된다. 무조건 이기는 게 좋은 것이 아님에도 우리는 다들 이기려고 노력한다. 이기기 위해 다투다가 심지어는 같은 편의 동료와도 싸우곤 한다. 그러나 해는 어떤가. 해는 짐에도 불구하고 이를 벗어나려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드리고 져물어간다. 그리고 그렇게 남에게 양보하고 지며 하늘에 붉은 노을을 만들며 아름답게 진다. 이렇게 양보하고 지는 것을 받아드린 해는 아름답다. 하지만 이기기 위해 끝까지 싸우고 졌다는 것을 받아드리지 못한 '나'는 분하기만 한다. 물론 그냥 다 져주는게 아름답다는 소리는 아닐 것이다. 꼭 이겨야하는 경쟁에서는 이겨야하지만 무조건 이기지 않아도 되는 경쟁, 친구와의 사소한 다툼 같은 것에서는 자존심부리며 이기려 하지 말라는 것이다. 친구와 싸울 때 이렇게 싸울 일인가 잠시 생각하고 자신이 잘못한 점을 먼저 사과하면 상대도 사과하며 평화롭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평화롭게 해결된 모습을 작가는 붉게 지는 해가 아름다운 것에 빗대어 표현하지 않았나 싶다. 나는 사람들이 지는 것을 앞에서 말한 것처럼 분한 것이 아니라 양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를 바란다. 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아득바득 이기려고 하는 것이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서로 다투고 싸우는 모습을 봤다. 자존심이 상한다는 이유로 그럴 필요도 없는 싸움을 길게 끌고 가고 크게 만든다. 대부분은 이 다툼이 이렇게까지 갈 필요가 없었다는 것도 안다. 하지만 먼저 사과하는 것은 지는 것이고 그건 자존심이 상하고 분한 일이기 때문에 갈등은 해결되지 않고 더 깊어져만 간다. 그럼 이럴때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 생각해봤다. 먼저 다투는 상황에서 한 발짝 물러나서 지금 상황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어쩌다가 지금 이렇게 싸우게 되었고 이 싸움이 지금까지 이어질 일인가 사과할 수 있었음에도 내가 자존심을 부리며 사과를 미루고 있진 않은가 생각해봐야한다. 그러고나서 이런 상황과 상대를 보고 무작정 화내지 말고 내가 잘못한 것이 있는지 생각해보자. 이 일이 일어나는 원인의 사건에서 정말 내가 잘못한 것은 없었는가? 다투는 중에 내가 상대한테 상처를 주지는 않았는가 생각해보면 내가 미처 놓친 나의 잘못이 보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대에게 사과를 하자. 이 일이 이렇게 커질 일이 아니고 내가 잘못한 부분도 있다면 먼저 자존심을 굽히고 사과를 하자. 처음에는 쉽지 않을 것이다. '나만 잘못한게 아닌데 왜 내가 먼저 사과해야해!'라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그 생각을 잠시 미뤄두고 내가 잘못한 점에 대해서 생각을 하고 사과를 해야한다. 처음 한 번이 어렵지 한 번 시작하면 그 다음부터는 쉽다고들 말한다. 한 번 이렇게 사과하고 나면 다음에도 다투는 일이 생겼을 때 사과하기 쉽다. 그럼 다른 사람과 불필요한 다툼을 없애고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와 싸웠을 때 이 시를 생각해보고 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사과해보는 건 어떨까?
  • 서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