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을 기점으로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 리뷰에서 ‘상단바에서 만보기를 끄고 싶다’, ’만보기 권한 어떻게 설정하나요.’ ‘걸음 수 끄는 옵션 만들어주세요.’ 등의 만보기 기능 개선에 대한 리뷰가 지속해서 올라왔습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리뷰
2. 그것이 왜 문제였는가?
부정적인 리뷰는 얼마든지 올라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보기 때문에 앱을 삭제한다는 리뷰가 간간히 올라왔고 리뷰를 남기는 사람 이외에 하루에 2천 명 정도씩 앱 삭제가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 굉장히 시급한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3. 이 문제를 지금 해결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 당시 전사 목표는 MAU와 리텐션을 높이는 것이었습니다. 만보기로 추측되는 앱 삭제는 목표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시급히 처리해야 했습니다.
4. 어떤 가설을 세웠는가?
안드로이드 앱 삭제율이 높아진 것에 대해서 만보기 이슈가 원인일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그래서 아래 가설을 세우고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알림센터에서 만보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안드로이드 앱 삭제율이 줄어들 것이다.
알림센터에서 만보기를 제거하면 부정 리뷰가 줄어들 것이다.
5. 어떻게 해결했는가?
해결 1: 안드로이드 알림센터에 있는 버튼을 만보기 비활성화 할 수 있는 버튼으로 변경
사용자들은 안드로이드 알림센터에 만보기가 있는 것을 불편해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만보기 알림센터에서 만보기 비활성화 버튼이 있어야 했습니다. 비활성화 버튼을 눌러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면 매끄러운 사용자 경험을 줄 수 있을거라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진료내역], [포인트]로 구성되어 있던 안드로이드 알림 바의 버튼 구성을 포인트, 만보기 끄기로 변경했습니다.
아이콘 작업도 들어가야 했기에 버튼 이름과 어울리는 모양을 찾아 그려넣었습니다. 비활성화 시킨다 → Exit에서 영감을 받은 아이콘으로 제작해 그려 넣게 되었습니다.
Q. 갤럭시 내에 알림센터를 설정할 수 있는데 그것을 생각해보지 않았는가? → 이미 갤럭시에 있는 기능인데 그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고 그 기능을 사용하게끔 만드려면 앱 사용설명에 넣어야 합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이미 만보기를 끄기 위해서 앱을 탐색하고 있었고 [만보기 끄기]라는 직관성이 사용자들에게 잘 어필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해결 2: 상세 화면에 만보기 설정 영역 추가
이 문제는 시급히 처리했어야 했기에 아주 간단한 모달작업으로 개선됐습니다. 만보기를 설정할 수 있는 구좌를 화면 아래에 두면 이 문제를 처리하려는 의지가 떨어져 보이기 때문에 화면 상단에 위치시켰습니다.
만보기를 설정할 수 있다는 기능만 넣고 유지를 권고하는 UX와 부정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UX 보다 직접적인 UX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알맞고 헷갈리게 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A 시안이 채택되었습니다.
해결 3: 로그인 후에 피트니스 권한 동의 받기
피트니스 동의를 로그인 전에는 할 수 없도록 변경해서 오작동이 될 수 없도록 방지했습니다.
로그인 전: 만보기 클릭 → 로그인 안내 → 로그인 완료 → 만보기 클릭 → 권한 동의 안내 → 권한 수락 → 만보기 시작
로그인 후: 만보기 클릭 → 권한동의 안내 → 권한 수락 → 만보기 시작
해결 4: 추가적으로 환경 설정에 관리할 수 있도록 배포
환경 설정에 만보기 권한 동의를 추가해서 온오프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Q. 이 정도로 문제이면 없애는 것도 방법이지 않을지? → 건강탭 활동으로 포인트를 모을 수 있습니다. 당연히 만보기로도 포인트를 모을 수 있습니다. 앱 내 활동으로 얻은 포인트는 약 배달시 배달비를 할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함부로 삭제할 수가 없었습니다.
6. 문제가 해결됐는가?
103%를 찍었던 안드로이드 앱 삭제율이 배포한지 열흘 후에 50%대로 내려가면서 감소 추이를 보였습니다. 이 기간동안 어떠한 제품 출시도 이벤트도 없었기 때문에 앱삭제율과 만보기의 상관관계가 있었다고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만보기 사용자수가 줄어들까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만보기 포인트 받는 유저수는 약 12% 증가했습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에에 등록된 부정적인 리뷰는 7월에 7건, 8월에 15건으로 올라갔다가 배포 이후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12월달에 0건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 만보기로 포인트 적립이 가능해서 너무 좋다는 리뷰가 있어 만보기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Yi
Subscribe to 'yiseo'
Welcome to 'yiseo'!
By subscribing to my site, you'll be the first to receive notifications and emails about the latest updates, including new posts.
Join SlashPage and subscribe to 'yiseo'!
yaer: 2023 at: tripbtoz role: platform design teammate: only one 온보딩때 디자이너분들에게 설명했던 자료 중 일부입니다. 피그마에는 디자인 토큰을 관리할 수 있는 플러그인으로 ‘토큰 스튜디오’가 있습니다. 영어버전은 이해하기 어려운 지점이 있기 때문에 피그마 토큰 스튜디오 커뮤니티 파일을 번역해 공유했습니다. 👉🏻 피그마 커뮤니티 링크
1
yiseo
MVP 고도화하기
yaer: 2022 at: doctornow role: design lead, product design, QA teammate: 1 PO, 1 FE, 1 BE, 1 PD 전담 의사란? 온라인 상에서의 주치의 서비스로 내가 주로 가는 병원이 있는 것처럼 진료가 맘에 들었던 의사선생님을 저장하여 꾸준히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한 서비스입니다. 1. 한 사람으로만 출발했던 전담의사 MVP 진료 경험이 좋았던 분에게 계속 진료 받고 싶은 마음을 공략해 나만의 주치의라는 개념을 도입해 전담의사 MVP를 출시했습니다. 주된 아이디어는 한 명의 전담의사를 등록할 수 있게 하고 홈 화면에서 바로 전담 의사에게 진료를 볼 수 있도록 하며 오픈채팅방을 만들어 전담의사와 상담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주는 것이었습니다. 2. 어떤 문제가 있었는가? 🏢 회사 🧑🏻 사용자
1
yiseo
마이데이터로 새로운 길 모색하기
yaer: 2022 at: doctornow role: design lead, product design, QA teammate: 1 PO, 1 FE, 1 BE, 1 PD 1. 실행하게된 배경은?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진행한 ‘마이데이터 대국민 인식조사’에서 실생활에 가장 도움이 될 마이데이터 분야로 ‘건강·의료 분야가 1순위로 뽑힐 만큼 건강·의료 분야의 데이터 활용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기대가 높았습니다. 만보기를 시작으로 닥터나우 안에서 비대면 진료 이외에 마이데이터 사업을 시작을 본격화했고 헬스케어 스쿼드가 꾸려졌습니다. 해당 스쿼드의 미션은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매일 들어오는 앱 중 하나가 되는 것이고 목표는 의료와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를 내고 리텐션을 높이는 것이었습니다. 건강검진 스크래핑은 마이데이터 사업 중 하나입니다. 건강검진 기록은 건강·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마이데이터이고 이것으로 비대면 진료와 무료 상담을 연계하여 활성 고객을 많이 확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 출발했습니다. 2. 선행 조사 먼저 유저의 건강검진 관리에 대한 실태 조사를 하기 위해 전화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과반수의 사람이 건강검진 내역을 관리하고 있지만 대부분 병원에서 주는 서류로 그대로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제대로 된 관리가 되지 않은 상황이었고 전체 내용을 다 보기보다는 위험한 데이터 위주로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건강검진 내역을 모아 볼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이용해 볼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과반수의 사람이 긍정적인 대답을 했고 관리하지 않은 사람도 이용하고 싶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건강검진 내역을 볼 수 있다고 했을 때 변화를 시각적으로 잘 볼 수 있었으면 좋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 다음, 이 인터뷰를 바탕으로 페이크 테스트를 실험했습니다. 건강검진 10년 치 내역 조회로 40대 이상의 사용자를 3,000원 미만의 CPI로 데려올 수 있음이 검증됐고 건강검진 내역 조회가 내 건강 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습니다. 3. 어떤 목표를 세웠는지? 인터뷰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목표를 설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