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3단계]AI 실습하기

추천 도구를 직접 사용해보며, AI 활용법을 익혀봅니다.
다양한 실전 사례와 함께, 나만의 업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실습해보는 단계입니다.
All
기획
챗봇
rag
chatgpt
'나만의 GPTs'기능으로 챗봇 만들기
[예시] 툴리 커피머신 고객 지원 챗봇 만들기 [상황] 저는 '툴리'라는 가전 회사에 다니고, 새로 출시한 '툴피' 커피머신에 대한 고객 문의를 응대할 챗봇을 만들고 싶습니다. 개발 지식은 전혀 없습니다. 목표는 '툴피 제품 설명서' 파일을 기반으로만 정확한 답변을 하는 챗봇을 만드는 것입니다. 1단계: '지식(Knowledge)' 파일 준비하기 먼저 챗봇의 두뇌가 될 '지식' 파일을 준비해야 합니다. 이 파일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파일 형식: PDF, TXT, DOCX 등 일반적인 문서 파일 파일 내용: 구조화된 정보: GPT가 내용을 잘 이해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명확한 제목과 단락으로 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 잘못되거나 애매한 정보는 챗봇의 답변 품질을 떨어뜨립니다. 이렇게 잘 정리된 파일을 준비해 둡니다. 2단계: GPT Builder와 대화하며 챗봇의 정체성 정하기 이제 ChatGPT Plus에 접속해 Explore GPTs → Create a GPT를 클릭합니다. 왼쪽의 Create 탭에서 GPT Builder와 대화를 시작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추상적인 요구가 아닌 구체적인 지시를 하는 것입니다. 나쁜 예 : "커피머신 챗봇 만들어줘." (너무 모호해서 빌더가 어떤 역할, 어떤 말투, 어떤 기능을 넣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좋은 예 : "너는 '툴리 커피머신 툴피' 모델을 위한 전문 고객 지원 상담원 챗봇이야. 너의 이름은 '리리'야. 너의 주된 임무는 내가 업로드하는 제품 설명서 파일의 내용을 기반으로만 고객의 질문에 답변하는 거야. 만약 설명서에 없는 내용을 질문받으면, 절대 추측해서 답하지 말고 '죄송하지만 해당 정보는 설명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공식 고객센터(1588-XXXX)로 문의해 주세요.'라고 안내해야 해. 답변은 항상 친절하고 전문적인 말투를 사용해 줘." 이렇게 구체적으로 지시하면, GPT Builder가 이 내용을 바탕으로 챗봇의 이름, 설명, 상세 지시사항(Instructions)을 자동으로 만들어 Configure 탭에 채워 넣습니다.
  1. 챗봇
  2. rag
  3. chatgpt
  • toolly
AI로 BM(Business model) 뽑아내기
목적 소비자 insight를 통해서 MRD(시장 요구사항 정의서) 생성 실제로 개발이 가능한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생성 진행방법 딥리서치를 통한 소비자 리서치 수행 프롬프트 : 검색해야할 정보 소스 + pain point 지정 + x등의 가장 최신화된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장치 할루시네이션을 줄이기위해 여러 LLM(ChatGPT, Gemini, Grok 등)에서 각각 딥리서치 진행 프롬프트 고도화를 통한 MRD 출력 MRD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사항을 프롬프트에 넣기 위해, LLM과 대화를 통해 프롬프트 고도화 MRD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 + PRD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 프롬프트 형식 → 도출 → 프롬프트 구성 MRD 도출 : 프롬프트를 통해 3가지 llm에서 딥리서치 돌린 결과를 모두 ChatGPT o3에 입력 데이터 분량이 어마어마해서 o3 활용 출력된 MRD에서 시장 가능성이 있는 아이디어 도출 추출한 인사이트로 비즈니스 기획 3~5개 도출 가장 설득력 있는 아이디어 1개를 정해서 다시 프롬프트 고도화하여 개선된 MRD 출력 최종적으로 PRD 출력 최종 MRD를 바탕으로 PRD를 출력하기 위한 프롬프트 다시 고도화 이 프롬프트로 최종 PRD 출력 기능 정의, 핵심 사용자 시나리오, KPI 등 포함하여 실제 개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작성
  1. 기획
  • toolly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