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 맞추기에 익숙한 아이들은 '정답이 없는 발표하기'를 꺼려합니다.
정답 맞추기에 익숙한 아이들은 '정답이 없는 발표하기'를 꺼려합니다. 왜 그럴까요? 청토카는 청소년들이 발표를 어려워하는 원인과 대응방안을 제시합니다. 결과 중심 교육의 영향, 정답에 대한 부담감 과도한 입시위주 교육으로 인해, 시험 결과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됩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정답에만 집중하게 되고, 문제 해결의 과정이나 원리를 이해하는 데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 → 2028학년도 대입부터 희망하는 대학 전공에서 요구하는 특정 과목에 대한 성취기준을 일상에 대입해 실험한 기록을 중시하게 됩니다. B. ' 이 문제를 아는 사람 손들어주세요' 시대는 지났습니다. 그런데 굳이 청소년기 특징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정답을 아는 사람이 발표를 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 오답을 내더라도 직접 탐구하고 토론하면서 자신을 증명해나가는 수업으로는 입시에서 살아남을 수 없었습니다. 배경지식과 이해력 부족 A. 배경지식이나 이해력이 부족한 경우, 아이들은 자신이 무엇을 말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는 발표를 더 어려운 일로 만들어 버립니다.
- 이병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