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교육이 바뀌었으니 교수법도 바뀌어야 합니다.

바뀐 교육과정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2025학년도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AI시대, 대학과 사회가 원하는 인재, 공동체와 함께 할 수 있는 사회성,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상대의 말에 경청할 수 있는 소통역량을 강조합니다.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주요 내용
의사소통 역량 강화 – 교육과정 핵심 방향
개편된 교육과정은 학생의 표현과 소통 능력을 미래 사회의 필수 역량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예: 사회, 역사, 과학, 예술 등)에서 자기 생각을 말하고 듣는 활동을 강조합니다.
토의·토론, 발표, 설명하기, 감정 표현 등 말하기의 다양한 유형을 학교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됩니다.
고교학점제 도입 → 학생 중심의 말하기 활동 필요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학습하는 고교학점제는 자기 표현, 자기 주장, 진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해져요.
“왜 이 과목을 선택했는가”, “어떤 학습을 했는가”를 말로 설명하는 기회가 많아집니다.
발표, 프로젝트, 수행평가 등에서 말하기 능력이 직접적으로 평가 요소가 됩니다.
수행평가 확대 → 말하기 능력이 ‘평가 기준’
절대평가와 수행평가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말하기는 지필고사 외 실질 평가의 핵심 수단이 됩니다.
특히 발표, 토론, 인터뷰 형식의 평가가 많아지며, 말하기 역량이 성적과 직접 연결됩니다.
통합교과/융합수업 확대 → 말하기 활동의 확장
과목 간 경계가 줄어들면서, 다양한 교과를 연결하는 프로젝트나 주제 발표 활동이 강조됩니다.
이에 따라 생각을 정리하고 다른 사람과 나누는 능력, 즉 통합적 말하기 능력이 요구됩니다

청토카가 바뀐 교육과정에 대응할 체험을 제공합니다.

👍
가르치지 않습니다. 함께 시제를 풀어가면서 시제 이해, 개념탐구, 토론, 자신의 생각 정리, 발표를 체험합니다.
청토카는 전문 퍼실리테이터가 개발한 '말하게 하기'와 '학습 유도' 프로그램입니다.
수강생은 시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게 됩니다.
수강생은 시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단어와 개념이 무엇인지 토론하게 됩니다.
수강생은 자신이 담당할 개념 탐구를 통해 자신의 개념 노트를 만들어 갑니다.
수강생은 발표와 상호평가를 통해 성취 기준을 학습합니다.
체험이 쌓여 자연스럽게 '교과에서 요구하는 비판적 사고력과 문해력과 독서에 필요한 동기부여를 스스로 할 뿐만 아니라 토론을 두려워 하지 않게 됩니다.
청토카는 공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역할을 부여합니다.
수강생은 비기너 코스를 수료한 후 리더, 연구자, 지도자(또래 강사) 등을 순차적으로 경험하게 됩니다.
수강생은 마치 롤플레잉의 맵처럼 교과와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시제를 풀어가면서 깊이있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수강생은 수준이 높아지면 스스로 시제를 개발할 기회해 청토카 네트워크에 론칭할 기회를 제공받습니다.
수강생은 생기부에 기록할 수 있는 멘토와 멘티를 체험합니다.
호기심이 명제가 되고 나와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또래 수강생과 팀을 이뤄 시제를 해결하면서 학습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역량을 쌓아가게 됩니다.
청토카는 개편된 2028학년도 대입제도에 맞춘 독창적인 표현력 증진 프로그램입니다.
수강생은 자신이 희망하는 진로에서 요구하는 교과 성취기준에 맞는 탐구 및 발표 노트를 가지게 됩니다.
수강생은 즉흥적인 순발력이 아닌 꾸준한 발표 체험에서 획득한 발표 노하우 노트를 가지게 됩니다.
수강생은 특정 과목뿐만 아니라 배경 지식과 개념까지 폭넓은 '컨셉 맵'까지 온라인 대시보드로 제공받습니다.
수강생은 레벨이 상승하면서 기념품으로 청토카 캐릭터 키링과 해결한 시제가 쌓여있는 패스포트를 가지게 됩니다.
혼자서는 도달하기 힘든 성과가 토론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기록되며 노력에 부합하는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합합니다. 향후 제공될 온라인 대시보드를 통해 중요한 순간 참고할 수 있는 자신만의 노트는 어떤 참고서와 바꿀 수 없는 기록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