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진료 기다리면서 똑닥을 처음으로 써봤다
오프라인 경험 병원 진료 접수를 프로덕트로 대체하니 확실히 편하긴 하다. 인포데스크에 있는 간호사 선생님께 특별히 뭔갈 말할 필요 없이 이름과 전화번호만 입력하면 대기 순서를 알려주니 말이다. 게다가 수납도 빠르고 간편하다. 심지어 회사에 제출할 서류들도 뽑아주는 기능이 있었다. (지나가듯 봐서 정확하게 생각나진 않는다.) 나처럼 프로덕트를 만드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괜찮지만, 병원은 남녀노소와 디지털 제품 이해정도를 가리지 않고 온갖 사람들이 오는 곳이다. 똑닥 키오스크를 처음 쓰는 사람, 나이가 있는 노년층은 다루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첫화면에 있는 접수와 수납을 잘못 누른 사람만 5명이 넘었다. 프로덕트 제품 전반에 걸쳐 '월 1,000원 (부가세 별도)'나 '가족 중 한 명이 결제하면 나머지 구성원은 무료' 등 제법 친절한 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내가 병원 진료를 기다리던 중 50대 남자 환자가 불만을 토로하는 일이 있었다. 내가 한 달에 병원을 많이 가는 것도 아닌데 굳이 똑닥 구독해서 진료를 예약 해야 하냐는 것이었다. 반면 6~7살 정도 되는 아이와 함께 오는 보호자는 제품을 제법 잘 쓰는 것 같았다. 들어오면서 간호사 선생님께 '똑닥으로 접수하고 왔어요' 부터 말하는 걸 보니. 위 사진처럼 '다음엔 똑닥으로 미리 대기 걸고 오세요!' 를 실천하기 위해선 똑닥을 구독해야 한다. 똑닥을 구독해서 얻는 이점은 모바일로 병원 진료 접수나 예약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화 예약을 받는 병원도 많은데 굳이 똑닥을 써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병원 입장에선 똑닥을 쓰는 아하 모먼트가 무엇이었을까? 반대로 유저 입장에선 똑닥을 구독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병원 갈 일이 1년 동안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월 구독을 하더라도 정말 많아야 1번 사용할 정도라 위에 나온 50대 남자 환자에게 공감할 수 밖에 없었다. 나는 똑닥에서 그리는 타겟 유저와는 거리가 먼 것 같은데, 나 같은 사람도 똑닥을 쓰게 만들기 위해 어떤 전략을 펼칠지 궁금해졌다. 어떤 아티클에선 똑닥 유료화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양측 의견이 다 맞는 말이라 생각이 많아진다. 무료 쿠폰 병원 인포데스크엔 직접 써보고 얘기하라는 듯 쿠폰이 놓여있었다. 많은 유료 구독 서비스들이 노력하고 있는 부분이 결제 유도 파트일텐데 온오프라인이 연결된 서비스는 쿠폰으로 유료 플랜을 경험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