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Blog

더인벤션랩 사내벤처&컴퍼니빌딩 팀의 스토리를 확인해보세요.
All
사내 혁신 역량 강화
신사업 검증 및 스케일업
인사이트
2025 국내 체류 외국인 시장 인사이트
더인벤션랩 블로그 내의 글과 동일한 내용입니다. 1. 국내 장기 체류 외국인 현황 2024년 한국의 총 인구는 5,121만 명으로, 2020년의 5,182만 명에 비해 소폭 감소하며 인구 정체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는 고령화의 가속과 지속적인 저출산이라는 구조적 인구 문제의 결과이며, 중장기적으로는 내국인 중심 소비 시장에 한계가 도래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기간 외국인 체류 인구는 2021년 약 196만 명에서 2024년 265만 명으로 35.4% 증가하며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외국인이 단순히 일시적 방문객이나 보조적 노동력이 아닌, 한국 사회를 구성하는 지속적인 생활자이자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실제로 전체 인구 대비 외국인이 1% 정도 늘어났을 때, 국내 노동시장의 생산성이 1%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체류 유형별(비자)로도 외국인 구성의 구조적인 변화가 감지됩니다. 유학생, 전문인력, 비전문인력 등 주요 체류 목적별 집단에서 모두 외국인 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단기 체류보다 장기 체류 목적의 비자 보유자 비중이 뚜렷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3년 대비 2024년 기준으로 유학생(D2)은 17.3%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였고, 영주권자(F5)는 9.5%, 비전문취업(E9)은 8.5%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로 보아 외국인의 체류 목적이 단기 방문 중심에서 점차 중장기 체류와 정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전체 외국인 중 90.4%가 ‘대한민국에 계속 체류하기를 희망한다’고 응답하는 조사 결과가 나오며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 내의 지속가능한 거주자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흐름이 보이고 있습니다. 국적별 외국인 구성 또한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총 205개국의 외국인이 대한민국에 체류 중이며, 이 중 중국, 베트남, 태국, 미국 등 일부 국가 출신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전체적으로는 아시아권 출신이 절대적으로 많은 것이 특징이며, 비전문인력, 전문인력, 유학생 등의 세그먼트에 따라 국적 분포의 경향도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비전문인력의 경우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등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권 출신이 중심을 이루는 반면, 전문인력은 미국, 유럽 등 서구권 국적자의 비중이 높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각국의 경제 수준, 비자 제도, 노동 및 유학 관련 정책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산업 전반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외국인 고객은 언어와 문화적 장벽, 제도 이해도의 격차, 정보 접근성 등의 문제를 겪고 있으며, 국적과 체류 목적에 따라 소비 성향과 서비스 기대 수준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이질적 소비자 집단입니다. 최근, 이러한 특수성을 타겟으로 한 외국인 대상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고객은 일반 내국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안되며, 보다 정교하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 설계가 요구되는 전략적 타겟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외국인 고객 세그먼트 정의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고객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류 목적과 비자 유형에 따른 세그먼트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외국인 고객군을 네 가지로 구분하고, 각 세그먼트가 갖는 생활 특성과 서비스 수요를 개괄하고자 합니다. 분류 비자 세그먼트 1 유학생 유학생(D2) 세그먼트 2 전문인력
  1. 인사이트
2024 시니어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인벤션랩 블로그 내의 글과 동일한 내용입니다. 1.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현황 1-1. 뉴 시니어의 등장 2000년대 초반, 시니어 비즈니스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중요한 시장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 많은 기업들이 시니어 인구의 증가와 함께 이들이 새로운 소비자로 떠오를 것이라는 기대 아래 시니어를 타겟으로 하는 다양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McKinsey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소비자는 젊은 층에 비해 높은 의료비 때문에 1인당 지출이 많으며 의료 외에도 주택, 교통,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전체 소비 성장에 40% 이상을 기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시니어 산업의 성장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니어의 인구수, 경제력, 지속성, 3가지 요소를 충분히 충족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가장 부유한 세대인 1960년대생을 중심으로 한 영 시니어(Young Senior)들이 파워 컨슈머로 부상하면서 시장 판도가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영 시니어만 해도 860만명(전체 인구의 18%)이며 10년 후, 시니어층에 합류되는 50대까지 합쳤을 때 전체 인구의 절반에 육박하는 액티브 시니어(건강하고 적극적으로 은퇴 생활을 하는 사람들) 층이 등장할 전망입니다. 이는 시니어 시장이 더 이상 특정 연령대에 국한된 것이 아닌,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존 시니어층과 뉴 시니어층의 특징 구분 기존 시니어 뉴 시니어 세대 특성 수동적, 보수적, 동질적 적극적, 다양성, 미래지향적 경제력 의존적, 경제력 보유 층 적음 독립적, 경제력 보유 층 두터움 노년 의식 인생의 황혼기 새로운 인생의 시작 가치관 본인의 노년층으로 인식
  1. 인사이트
좋은 아이디어? 숫자로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 C사 사내벤처팀 2025 비즈니스 전략 특강
안녕하세요, 더인벤션랩 사내벤처&컴퍼니빌딩팀입니다 🙋🏻‍♂️ 4월 1일, 더인벤션랩의 김진영 대표님을 모시고 C사 사내벤처팀들의 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특강을 통해 전략, 숫자, 사업 모델간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제 사업 모델과 지표를 확인해볼 수 있는 인사이트 중심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 사내벤처, 감이 아닌 숫자로 설계하라 회사의 의사결정권자나 투자자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과 고객으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때 설득력 있는 보조 지표로 Unit Economic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nit Economics : 특정 고객 집단에 대해 들어간 비용 대비 그 고객으로부터 취득한 경제적 이득의 관계를 살펴보고 얼마나 우리가 효율적으로 고객 유치 및 유지 행위를 하였는지 진단하는 일련의 분석 우리는 고객을 확보할 수 있고, 확보한 고객으로부터 실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CAC, LTV, Retention 등의 수치를 통해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 그것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설계하는 전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셨습니다. 더불어 사업 모델별로 관리해야할 주요 수치들, 신규 고객을 정의하는 기준을 비롯한 실질적인 지표 해석과 활용법이 함께 공유되었습니다. ** CAC(Customer Acquistion Cost) : 한 명의 고객을 유치하는데 드는 영업비와 마케팅 비용 ** LTV(LifeTime Value of an acquired customer) : 한 명의 고객이 서비스에 진입하여 이탈하기까지 전체 기간 동안 창출하는 가치 ** Retention : 고객이나 사용자가 특정 기간동안 제품이나 서비스에 계속 관여하거나 이용하는 비율 🔄️ 플랫폼 모델의 구조,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금번 사내벤처 아이디어에는 플랫폼 구조가 굉장히 많았는데요, 플랫폼 기반의 비즈니스는 특히 지표 관리가 까다롭습니다. 양면 시장의 특성상, CAC가 양쪽에 동시에 들어가며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면 구조가 무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내용들에 따라 특강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에 있어서 다양한 실행 전략과 선행 플랫폼 비즈니스 사례들이 소개되었습니다.
  1. 사내 혁신 역량 강화
맛, 농심이 하면 다릅니다! - 15년 노하우로 완성한 풍미 기술
안녕하세요, 더인벤션랩 사내벤처&컴퍼니빌딩팀입니다 🙋🏻‍♂️ 저희 팀은 농심의 사내벤처팀과 함께 R&D 기반 풍미소재를 국내 시장에 선보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월 24일 랜딩페이지를 오픈하여 농심팀의 풍미소재를 활용한 고객사를 모집 중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B2B 식품 업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실 고객 접점을 찾아 사업화 전략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 풍미소재란? 이번 프로젝트의 주인공인 풍미소재는 '원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물 고유의 맛과 향을 구현할 수 있는 100% 식물성 식품소재'입니다. 단순한 향료나 조미소재가 아닌, 정교한 풍미 설계가 가능한 기술 기반의 맛 솔루션으로 사람들에게 '기억에 남는 맛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슬로건도 Shared Flavor, Shared Memory입니다 🥹 🍽️ FlavoLink - 농심의 새로운 풍미소재 브랜드 풍미소재에게 어울릴 브랜드명을 선정하기 위해 사내 투표를 진행한 결과 FlavoLink가 선정되었습니다 🥳🎉'맛과 향을 연결한다'는 의미를 담아, 농심이 가장 잘하는 '맛'으로 시작해 인생의 즐거움까지 연결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FlavoLink의 다양한 풍미소재들은 아래와 같은 현업 과제를 겪고 있는 브랜드에게 특히 효과적입니다. 전국, 전세계의 식품개발자, 브랜드매니저, R&D 담당자, 셰프 등 '맛'을 다루는 전문가들은 주목해주세요! ✅ 원물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 ✅ 원가 절감이 필요하지만 맛은 포기할 수 없는 상황 ✅ 풍미 구현이 어려운 비건 식품을 개발 중일 때 ✅ 원료 제약이 많은 반려동물 식품 개발 시 ✅ 수출용 제품에 원물 규제가 있는 경우 ✅ 계란, 갑각류, 동물성 알레르기 프리 제품 기획 시
  1. 신사업 검증 및 스케일업
Contact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마이워크스페이스4호점 8층 2호
contact@roailab.com
© 2025 The Invention Lab All Rights Reserved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