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ick the globe icon at the top right to easily switch between different languages.
Sign In
🔍 BLOG
스타트업 생태계의 흐름과 초기 혁신 현장을 아카이빙하는 더인벤션랩 블로그입니다.
All
✏️ 리서치
🇻🇳 베트남
🚗 더인벤션랩 이야기
🎤 행사 후기
2025 G-Camp Demo Day (Vietnam Track) Decap
📅 Date: July 16, 2025 📍 Location: The Sentry C 🎯 Co-hosted by: Korea SMEs and Startups Agency (KOSME), Infobank, Plug and Play Korea, The Invention Lab, and C-Labs Program Overview The 2025 G-Camp Asia Demo Day - Vietnam Track marked the culmination of a cross-border startup acceleration program designed to support Korean startups expanding into Vietnam. The program is hosted by KOSME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and jointly operated by Infobank and Plug and Play Korea, with local support from The Invention Lab and C-Labs. 1.1 Purpose To foster global "next unicorn" companies by providing phased package support for startups, covering everything from global readiness to innovative growth and market entry. 1.2 Target A total of 10 startups (companies) founded within the past 7 years, led by young representatives, with high global (especially Vietnam) scalability, particularly in "super-gap technology," new business, or climate technology sectors. 1.3 Program Details Startups will receive phased package support through a global program designed for overseas expansion. Support includes commercialization grants, startup space and infrastructure, and follow-up performance management. Startup Pitch The demo day was held for six outstanding companies selected from the teams participating in the Vietnam program. They pitched their innovative solutions to a live audience of partners, investors, and experts in Vietnam’s startup ecosystem. The participating companies are listed as follows: 🔹EDINT - AI-powered learning assessment service
  1. 🇻🇳 베트남
VKSEN 2025 Networking Event Recap
VKSEN 2025 event overview VKSEN 2025, co-hosted by The Invention Lab and C-LAPS, was held on the evening of Monday, June 30, 2025, at Cloud 12 Kitchen & Bar, a rooftop venue at the Oakwood Hotel with a stunning view of Landmark 81. The setting provided the ideal backdrop for an evening of meaningful cross-border networking. The gathering brought together approximately 50 Korean startup leaders, investors, and company representatives from a wide range of industries, including AI, mobility, film, education, healthcare, and beauty. More than just a networking session, VKSEN 2025 distinguished itself for its emphasis on genuine relationship-building and business opportunities. Through carefully curated interactions and a shared sense of purpose, the event reinforced the growing synergy between Korea and Vietnam in the startup and innovation space. Notable moments & takeaways 📩 Mr. David Kim kicked off VKSEN 2025 with vision and optimism CEO David Kim of The Invention Lab delivered a welcoming speech, beginning with an acknowledgment of the organic, casual energy in the room, noting that many attendees were already exchanging business cards and networking even before the event officially began.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and mutual support in such gatherings. Mr. Kim also provided a candid view of the Korean investment climate, describing the past three years as extremely challenging, with the venture environment effectively shattered. However, he noted that the tide is turning: new funds are forming, dry powder is being activated, and there is a positive shift in sentiment across Korea’s VC ecosystem. Furthermore, he emphasized Korea's increasing interest in Vietnam. Looking ahead, he described 2025–2026 as pivotal years for Vietnam-bound investment, particularly for Korean startups entering the market, as well as in sectors such as AI-related technologies, F&B, and distribution, which are seeing heightened investor attention.
  1. 🇻🇳 베트남
  2. 🎤 행사 후기
EDGEUP CRE8TORS 홈커밍데이 참관기
엣지있는 스타트업을 위한 최고의 스케일업 프로그램, EDGEUP CRE8TORS 홈커밍 데이에 다녀왔습니다! Edgeup Cre8tors는 더인벤션랩과 주요 LP사인 우미, 아주, 국보디자인과 함께 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 및 투자하는 프로그램인데요, 2023년 1기, 2024년 2기를 거치며 다양한 분야에서 가능성을 보여준 팀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들이었습니다 😊🙏🏻 이번 홈커밍 데이에는 1기, 2기 스타트업과 함께 파트너사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뜻깊은 자리였는데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Edgeup Cre8tors의 스타트업😎을 다시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스타트업의 로고를 클릭하시면 홈페이지로 넘어갑니다. 블루프로그 (BlueFrog) 대표: 이준석 투자 라운드: Seed (3억+) 블루프로그는를 지자체를 대상으로 특정 소속과 다양한 소상공인들을 연결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들에게는 큰 마케팅 비용을 지출하지 않으면서 근처 잠재 고객에게 홍보를, 특정 단체 소속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며, 관광, 숙박, F&B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콘 (SCON) 대표: 기준수 투자 라운드: Pre-A (약 35억)
  1. 🎤 행사 후기
  2. 🚗 더인벤션랩 이야기
요즘 핫한 ‘AI Agent’ ... 도대체 뭘까?
안녕하세요, 더인벤션랩입니다. 최근 생성형 AI와 함께 ‘AI Agent’라는 키워드가 자주 보이고 있는데요, “ChatGPT 이후의 AI는 어디로 향하고 있을까?“ “Agentic AI? Agent AI?” “MCP가 요즘 핫하다던데 어떤걸까?” 이런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한 달 동안 AI Agent를 주제로 한 스터디를 진행했고 직접 AI Agent를 개발해보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내용을 정리해 내부 타운홀 미팅 때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 이번 포스트를 통해서도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인공지능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인공지능은 저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있었습니다. 1950년, 앨런 튜링이라는 수학자가 ‘컴퓨팅 기계와 지능’이라는 논문 발표와 함께 튜링 테스트를 제안하며 최초의 인공지능 개념이 탄생했습니다. 튜링 테스트란?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하게 대화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기계에게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시험입니다. 실험 참가자가 상대방이 AI인지 인간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문자로 대화하고 어느 쪽이 인간일지 맞추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때 AI가 실제 인간으로 지목되는 경우가 50%가 넘으면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OpenAI의 GPT의 경우, 올해 4월 GPT 4.5 모델이 처음으로 튜링 테스트에 통과했습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의 성능 한계, 데이터의 부족 등의 기술적 한계로 인공지능은 침체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며 딥러닝이 등장하고, 2010년대부터 기술적 한계가 극복되면서 AI는 세상에 있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시대의 AI 2022년 ChatGPT가 등장하며 AI의 대중화가 시작됐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AI는 전문가나 개발자만 다룰 수 있었지만 이제는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다면 활용할 수 있는 실용 기술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코드를 작성하고 데이터까지 분석하는 도구들이 더 이상 복잡한 개발 지식 없이도 접근 가능해지면서 ‘혼자서도 창작하고, 기획하고, 나아가 사업화까지 가능한 시대’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1. ✏️ 리서치
Summary of the Vietnam Innovation & Private Capital Report 2025
As part of our ongoing commitment to supporting the growth of the Vietnamese startup ecosystem, The Invention Lab is pleased to have contributed our firm’s investment data to the Vietnam Innovation & Private Capital Report 2025, published by the Vietnam National Innovation Center (NIC), Vietnam Private Capital Agency (VPCA), and Boston Consulting Group (BCG). We’re also honored that The Invention Lab is recognized as one of the active foreign investors in Vietnam in 2024 (2+ deals) in the report. Below is a summary of key insights from this in-depth report to give you a quick look at the Vietnam startup landscape 🔍 Vietnam’s economic & digital potential Strong and resilient economy: Vietnam has maintained an average real GDP growth rate of 6% annually over the past decade, striking a balance between economic expansion and controlled inflation. Leading export growth: Vietnam tops ASEAN in global export growth and maintains strong trade relationships with the US, China, Korea, Japan, ASEAN, and the EU. Attractive FDI destination: The country consistently attracts foreign direct investment, particularly from Asian-based investors. Favorable demographics: A young, sizable labor force and a growing middle and affluent class fuel domestic consumption and productivity. Supportive policy environment: The National Master Plan (2021–2030, Vision to 2050) promotes digital, green, and high-tech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c innovation roadmap: Resolution No. 57 guides Vietnam’s long-term commitment to science, technology, innov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Booming digital economy: Growing at 20% annually, Vietnam’s digital economy benefits from strong adoption and interconnected systems. Cross-sector digital impact: Digital transformation is accelerating in ICT, financial services, logistics, and ride-hailing sectors. Venture capital landscape In 2024, total capital invested dropped to $398M, marking a 24.7% decline from 2023.
  1. 🇻🇳 베트남
French Tech Summit Vietnam 2025 Recap
Startup pitch sessions 1.1 Turn Green Founded year : 2024 Industry : Packaging and materials Product : Eco-friendly packaging made from 100% biodegradable, compostable and water soluble biopolymers Business model : B2B Traction : $2.7M revenue in 2024, serving major brands L’Oreal, Central Retail, Takashimaya, and Biti’s 1.2 Polaris Edge Founded year : 2023 Industry : Construction Product : One-stop digital solution to manage construction projects Business model : SaaS Traction : 6 new countries per year, 2 contracts of 10.000 USD per month per country, 70% retention after each year of subscription 1.3 TeenUp
  1. 🇻🇳 베트남
  2. 🎤 행사 후기
Centre for Business and Emerging Technologies (CBET) Launch Event
Opening Remarks The opening remarks were delivered by Professor Robert McClelland, Dean of the Business School at RMIT Vietnam. He acknowledged the accelerating impact of emerging technologies on the global economy, specifically in Vietnam. Vietnam is at a critical stage of development, and to achieve sustained growth and transform into a high-income country, technology and innovation are essential. Additionally, robust research and strong partnerships are vital for unlocking this potential. This motivates the Business School to establish CBET, a research center that generates high-impact research addressing challenges and capitalizing on opportunities in this digital revolution. Keynote Presentation: Emerging Technologies Shaping Business, Society, and the Economy in Vietnam This session was presented by Ms Lynn Hoang, Country Director, Binance. Binance is the largest blockchain and Web3 company in the world, with more than 216 million users across 180 countries. They have over 21 licenses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China, New Zealand, France, Dubai, Abu Dhabi and Japan. 2.1 Vietnam’s digital metamorphosis: Setting the stage 100+ million population (3rd SE Asia) As of October 2023, 21.6% of the population remains unbanked E-wallet users increased by 235% from 2018 to 2022, reaching 41.3 million users $70 billion in mobile payments is expected by 2025 One of the world’s fastest-growing economies (6-7% growth per annum) 78.8% of the population uses the internet. The government aims for 100% smartphone ownership among adults by 2025 Approximately 37.8% of the 100+ million population is under the age of 25
  1. 🇻🇳 베트남
  2. 🎤 행사 후기
2025 창업 BuS - Deep Tech AI Conference : 대세가 된 AI, 그 너머를 보다
안녕하세요 🙋🏻 더인벤션랩입니다! 지난 4월 10일 목요일,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서 2025 창업-BuS 연합 IR 프로그램이 성황리에 개최됐습니다. 최근 몇 년간 그 어떤 기술보다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는 이제 글로벌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핵심 키워드로 자리매김했는데요, 금번 프로그램은 ‘Deep Tech AI Conference’라는 제목으로 글로벌 AI 및 딥테크 산업의 최신 기술 트렌드와 인사이트 공유,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추천한 우수 스타트업의 IR 발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창업-BuS 프로그램이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역 유망 심층기술(딥테크) 스타트업의 초기 투자부터 후속 투자 연계까지 빠르게 지원하기 위해 2024년부터 시작한 중기부 프로그램입니다. 연초에 투자하는 타 기관과 달리 연중 상시 투자를 진행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과 데이터•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글로벌 테크 기업(NVIDIA, Microsoft, Oracle)의 관점 모두를 폭넓게 조망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 행사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인사이트를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 AI 산업 투자 현황 및 트렌드 2025년, 전반적인 투자 시장은 다소 위축된 분위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 분야는 예외적으로 큰 딜이 성사되어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으며, 불확실한 거시 경제 속에서도 AI가 여전히 강력한 성장 동력임을 방증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사이버보안 스타트업 ‘위즈(Wiz)’가 320억 달러(약 46조원)에 구글에 인수되었는데요, 구글 설립 이래 역대 최대 규모라고 합니다.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도 미국 빅테크 기업인 메타와 약 1조원 규모의 인수합병(M&A) 거래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요, 최근 협상이 최종 결렬되었다고 합니다. 퓨리오사AI는 독자적 성장 가도를 걸으며,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NVIDIA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전반적인 투자 심리는 위축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AI 및 AI 반도체 분야는 여전히 글로벌 테크 기업들과 투자자들 사이에서 전략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는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편 산업계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AI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ChatGPT 유료 사용자 Top3 국가가 한국이라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또 최근에는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한 국내 사용자 수가 50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이는 AI가 단순한 기술을 넘어 일상 속 경험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글로벌 진출 강연 2-1. [오라클] 오라클이 보는 인공 지능 기술 핵심 키워드 : AI Agent, SW Defined X(SDDC, SDV, SDM), Physical AI, Digital Twin, Data
  1. 🎤 행사 후기
좋은 아이디어? 숫자로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 C사 사내벤처팀 2025 비즈니스 전략 특강
안녕하세요, 더인벤션랩 사내벤처&컴퍼니빌딩팀입니다 🙋🏻‍♂️ 4월 1일, 더인벤션랩의 김진영 대표님을 모시고 C사 사내벤처팀들의 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특강을 통해 전략, 숫자, 사업 모델간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제 사업 모델과 지표를 확인해볼 수 있는 인사이트 중심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 사내벤처, 감이 아닌 숫자로 설계하라 회사의 의사결정권자나 투자자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과 고객으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때 설득력 있는 보조 지표로 Unit Economic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nit Economics : 특정 고객 집단에 대해 들어간 비용 대비 그 고객으로부터 취득한 경제적 이득의 관계를 살펴보고 얼마나 우리가 효율적으로 고객 유치 및 유지 행위를 하였는지 진단하는 일련의 분석 우리는 고객을 확보할 수 있고, 확보한 고객으로부터 실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CAC, LTV, Retention 등의 수치를 통해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 그것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설계하는 전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셨습니다. 더불어 사업 모델별로 관리해야할 주요 수치들, 신규 고객을 정의하는 기준을 비롯한 실질적인 지표 해석과 활용법이 함께 공유되었습니다. ** CAC(Customer Acquistion Cost) : 한 명의 고객을 유치하는데 드는 영업비와 마케팅 비용 ** LTV(LifeTime Value of an acquired customer) : 한 명의 고객이 서비스에 진입하여 이탈하기까지 전체 기간 동안 창출하는 가치 ** Retention : 고객이나 사용자가 특정 기간동안 제품이나 서비스에 계속 관여하거나 이용하는 비율 🔄️ 플랫폼 모델의 구조,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금번 사내벤처 아이디어에는 플랫폼 구조가 굉장히 많았는데요, 플랫폼 기반의 비즈니스는 특히 지표 관리가 까다롭습니다. 양면 시장의 특성상, CAC가 양쪽에 동시에 들어가며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면 구조가 무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내용들에 따라 특강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에 있어서 다양한 실행 전략과 선행 플랫폼 비즈니스 사례들이 소개되었습니다.
  1. 🚗 더인벤션랩 이야기
[사내벤처] 맛, 농심이 하면 다릅니다 - 15년 노하우로 완성한 풍미 기술
안녕하세요, 더인벤션랩 사내벤처&컴퍼니빌딩팀입니다 🙋🏻‍♂️ 저희 팀은 농심의 사내벤처팀과 함께 R&D 기반 풍미소재를 국내 시장에 선보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월 24일 랜딩페이지를 오픈하여 농심팀의 풍미소재를 활용한 고객사를 모집 중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B2B 식품 업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실 고객 접점을 찾아 사업화 전략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 풍미소재란? 이번 프로젝트의 주인공인 풍미소재는 '원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물 고유의 맛과 향을 구현할 수 있는 100% 식물성 식품소재'입니다. 단순한 향료나 조미소재가 아닌, 정교한 풍미 설계가 가능한 기술 기반의 맛 솔루션으로 사람들에게 '기억에 남는 맛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슬로건도 Shared Flavor, Shared Memory입니다 🥹 🍽️ FlavoLink - 농심의 새로운 풍미소재 브랜드 풍미소재에게 어울릴 브랜드명을 선정하기 위해 사내 투표를 진행한 결과 FlavoLink가 선정되었습니다 🥳🎉'맛과 향을 연결한다'는 의미를 담아, 농심이 가장 잘하는 '맛'으로 시작해 인생의 즐거움까지 연결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FlavoLink의 다양한 풍미소재들은 아래와 같은 현업 과제를 겪고 있는 브랜드에게 특히 효과적입니다. 전국, 전세계의 식품개발자, 브랜드매니저, R&D 담당자, 셰프 등 '맛'을 다루는 전문가들은 주목해주세요! ✅ 원물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 ✅ 원가 절감이 필요하지만 맛은 포기할 수 없는 상황 ✅ 풍미 구현이 어려운 비건 식품을 개발 중일 때 ✅ 원료 제약이 많은 반려동물 식품 개발 시 ✅ 수출용 제품에 원물 규제가 있는 경우
  1. 🚗 더인벤션랩 이야기
2025 국내 체류 외국인 시장 인사이트
1. 국내 장기 체류 외국인 현황 2024년 한국의 총 인구는 5,121만 명으로, 2020년의 5,182만 명에 비해 소폭 감소하며 인구 정체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는 고령화의 가속과 지속적인 저출산이라는 구조적 인구 문제의 결과이며, 중장기적으로는 내국인 중심 소비 시장에 한계가 도래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기간 외국인 체류 인구는 2021년 약 196만 명에서 2024년 265만 명으로 35.4% 증가하며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외국인이 단순히 일시적 방문객이나 보조적 노동력이 아닌, 한국 사회를 구성하는 지속적인 생활자이자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실제로 전체 인구 대비 외국인이 1% 정도 늘어났을 때, 국내 노동시장의 생산성이 1%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체류 유형별(비자)로도 외국인 구성의 구조적인 변화가 감지됩니다. 유학생, 전문인력, 비전문인력 등 주요 체류 목적별 집단에서 모두 외국인 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단기 체류보다 장기 체류 목적의 비자 보유자 비중이 뚜렷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3년 대비 2024년 기준으로 유학생(D2)은 17.3%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였고, 영주권자(F5)는 9.5%, 비전문취업(E9)은 8.5%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로 보아 외국인의 체류 목적이 단기 방문 중심에서 점차 중장기 체류와 정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전체 외국인 중 90.4%가 ‘대한민국에 계속 체류하기를 희망한다’고 응답하는 조사 결과가 나오며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 내의 지속가능한 거주자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흐름이 보이고 있습니다. 국적별 외국인 구성 또한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총 205개국의 외국인이 대한민국에 체류 중이며, 이 중 중국, 베트남, 태국, 미국 등 일부 국가 출신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전체적으로는 아시아권 출신이 절대적으로 많은 것이 특징이며, 비전문인력, 전문인력, 유학생 등의 세그먼트에 따라 국적 분포의 경향도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비전문인력의 경우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등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권 출신이 중심을 이루는 반면, 전문인력은 미국, 유럽 등 서구권 국적자의 비중이 높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각국의 경제 수준, 비자 제도, 노동 및 유학 관련 정책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산업 전반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외국인 고객은 언어와 문화적 장벽, 제도 이해도의 격차, 정보 접근성 등의 문제를 겪고 있으며, 국적과 체류 목적에 따라 소비 성향과 서비스 기대 수준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이질적 소비자 집단입니다. 최근, 이러한 특수성을 타겟으로 한 외국인 대상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고객은 일반 내국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안되며, 보다 정교하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 설계가 요구되는 전략적 타겟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외국인 고객 세그먼트 정의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고객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류 목적과 비자 유형에 따른 세그먼트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외국인 고객군을 네 가지로 구분하고, 각 세그먼트가 갖는 생활 특성과 서비스 수요를 개괄하고자 합니다. 분류 비자 세그먼트 1 유학생 유학생(D2) 세그먼트 2 전문인력 교수(E1) + 회화직업(E2) + 전문직업(E7)
  1. ✏️ 리서치
[더인벤션랩x삼천리인베스트먼트] 2025 데모테크 분석 및 전망 보고서
📢 안내사항 본 보고서는 2024년 7월부터 11월까지 삼천리와 더인벤션랩이 운영한 삼천리 S-Together 프로그램에 지원한 402개 스타트업을 데모테크 분야로 분석한 보고서로, 산업 분석을 위한 참고 자료이며, 특정 기업을 홍보하거나 투자 권유의 목적이 아닙니다.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은 더인벤션랩의 분석 기준에 따르며, 무단 복제 및 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배포일 : 2025/02/19 데모테크 내부 분류 기준 수립 및 스타트업 인덱싱 1️⃣ 데모테크 인구(Demography)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써, 출산 및 문화적 변화 등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측면의 급격한 변화와 충격에 영향을 받는 기술 및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제품-서비스 영역이라 정의함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창의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새로운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응용 기술 2️⃣ 건강 및 웰니스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며,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중점을 둔 기술 및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제품-서비스 영역이라 정의함 시니어 계층 → 헬스케어, 요양 및 돌봄 반려동물 및 보호자 계층 → 스크리닝 및 진단, 치료 및 처방, 사전예방 및 웰니스 케어 기타 계층 → 예방 및 진단, 질환 관리 및 치료, 생활습관 및 웰니스 관리, 생애 주기 관련 서비스 3️⃣ 생활 편의 및 리빙 일상생활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여 더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을 지원하는 기술 및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제품-서비스 영역이라 정의함 시니어 계층 → 주거, 건축, 식품, 생활 및 편의 반려동물 및 보호자 계층 → 커머스, 식품, 생활 및 편의 기타 계층 → AI 영상인식 시각장애인 안내 로봇, 스마트 벽걸이 액자형 히어링 루프 장치
  1. ✏️ 리서치
[더인벤션랩x삼천리인베스트먼트] 2025 K-컬처 분석 및 전망 보고서
📢 안내사항 본 보고서는 2024년 7월부터 11월까지 삼천리와 더인벤션랩이 운영한 삼천리 S-Together 프로그램에 지원한 402개 스타트업을 K-컬처 분야로 분석한 보고서로, 산업 분석을 위한 참고 자료이며, 특정 기업을 홍보하거나 투자 권유의 목적이 아닙니다.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은 더인벤션랩의 분석 기준에 따르며, 무단 복제 및 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배포일 : 2025/02/12 K-컬처 내부 분류 기준 수립 및 스타트업 인덱싱 세부영역별 스타트업 비중 분석 영역간 상관관계 및 투자 인사이트 도출
  1. ✏️ 리서치
베트남 호텔 예약의 판을 뒤집다, Go2Joy의 묘수!
들어가며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그리고 세계에서 탑티어에 속하는 매력적인 나라라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와 달리 베트남은 젊은 인구의 비중이 많은 종 모양의 인구 피라미드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젊은 인구가 많은 만큼, 경제 성장률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팬데믹 시기에도 동남아에서 유일하게 2.7% 성장했습니다. 특히, 베트남의 대실 시장의 규모는 3조 정도로, 향후 고급화/호텔 수 증가와 함께 10조원 이상으로의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인벤션랩은 이번 글로벌 워크샵의 3번째 포트폴리오사로 Go2Joy의 공유 오피스를 방문하고, 변성민 대표님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볼 수 있었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트남 숙박 시장 트렌드 및 Go2Joy의 사업 현황과 함께 변성민 대표님의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Go2Joy는 어떤 회사인가? 베트남은 아직 대가족 단위로 함께 살고 있는 세대가 많습니다. 그리고 월세가 비싸 룸메이트와 함께 방을 공유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그렇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을 위한 프라이빗한 공간이 많지 않습니다. Go2Joy는 프라이빗한 공간을 원하는 젊은 세대들을 타겟으로 현재 베트남 숙박 시장에서 1위를 하고 있는 베트남의 야놀자와 같은 서비스입니다. 베트남에서는 시간 당 대실 문화가 예전부터 이미 존재했는데, 예약의 99% 이상이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Go2Joy는 이런 시장에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베트남 로컬 호텔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Go2Joy의 수익 모델은 총 2가지입니다. 예약 수수료 : 15%로 가장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광고 수수료 : 화면의 상단에 보이고 싶어하는 니즈가 생각보다 굉장히 커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서 Go2Joy가 가지고 있는 강점은 3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베트남에서 직접 계약한 호텔 인벤토리 최다, 최다 사용자 및 최다 실사용자 평점/리뷰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활용해 사용자가 신뢰를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높은 구매 전환율 및 재구매율이 이루어져 가입자당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단골 사용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베트남의 1-2성급 호텔은 고정 가격으로 인한 낮은 가격 탄력성으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Go2Joy는 베트남 최초의 시간당/반일 숙박 예약 기능을 선보인 OTA(Online Travel Agency)입니다. 시간당 예약, 당일 땡처리, 다양한 프로모션 등을 통해 동적 가격을 유도하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하우스로의 길을 선택했다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내부에서 직접 개발을 시작했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대량의 내부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업주들의 의견을 받아 계속해서 서비스를 디벨롭 시켜나가고 있습니다.
  1. 🇻🇳 베트남
  2. 🚗 더인벤션랩 이야기
[더인벤션랩x삼천리인베스트먼트] 2025 딥테크 분석 및 전망 보고서
📢 안내사항 본 보고서는 2024년 7월부터 11월까지 삼천리와 더인벤션랩이 운영한 삼천리 S-Together 프로그램에 지원한 402개 스타트업을 딥테크 분야로 분석한 보고서로, 산업 분석을 위한 참고 자료이며, 특정 기업을 홍보하거나 투자 권유의 목적이 아닙니다.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은 더인벤션랩의 분석 기준에 따르며, 무단 복제 및 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보고서 일부 내용을 발췌한 내용으로 원문 확인을 희망하는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시길 바랍니다. 배포일 : 2025/01/20 딥테크 내부 분류 기준 수립 및 스타트업 인덱싱 1️⃣ GEN AI 기술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창의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새로운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응용 기술 기반 AI 기술 응용 AI 기술 2️⃣ 미래컴퓨팅 기술 양자 컴퓨팅, 초전도체, 실리콘 포토닉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등 데이터 처리와 연산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컴퓨팅 기술 차세대 컴퓨팅 및 분산 시스템 기술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 및 몰입형 경험 기술 3️⃣ 우주기술 우주 탐사, 인공위성, 우주 공장, 운석 잔해 제거 등 우주 환경에서 활용되는 혁신적 공학 기술 우주 접근 및 이동 기술 우주 내 활용 및 운영 기술 위성 및 탐사 기술
  1. ✏️ 리서치
[더인벤션랩x삼천리인베스트먼트] 2025 기후테크 분석 및 전망 보고서
📢 안내사항 2024년 7월부터 11월까지 삼천리와 더인벤션랩이 운영한 삼천리 S-Together 프로그램에 지원한 402개 스타트업을 기후테크 분야로 분석한 보고서로, 산업 분석을 위한 참고 자료이며, 특정 기업을 홍보하거나 투자 권유의 목적이 아닙니다.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은 더인벤션랩의 분석 기준에 따르며, 무단 복제 및 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보고서 일부 내용을 발췌한 내용으로 원문 확인을 희망하는 분들은 하기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시길 바랍니다. 배포일 : 2025/01/20 기후테크 내부 분류 기준 수립 및 스타트업 인덱싱 1️⃣ 클린테크 에너지 생산, 저장, 분배 및 관리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 에너지 종류 : 신재생에너지, 핵융합에너지, 원자력(핵분열에너지) 등 구성요소/단계 : 에너지 생산 → 에너지 저장, 분배 및 관리 2️⃣ 카본테크 공기 중 탄소를 포집,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구성요소/단계 : 탄소포집 → 탄소저장/ 에너지 저장, 분배 및 관리 정의 탄소 포집 : 공기 중 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기술 탄소 저장 : 포집한 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 에너지 저장, 분배 및 관리 : 포집한 탄소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
  1. ✏️ 리서치
EDGEUP CRE8TORS 2기 2024 Robotics Challenge 네트워킹 데이
들어가며 엣지있는 로보틱스 스타트업을 위한 최고의 스케일업 프로그램! EDGEUP CRE8TORS 2기, 2024 Pure Robotics Challenge 네트워킹 데이에 다녀왔습니다 😊 🤖 EDGEUP CRE8TORS Pure Robotics Challenge란? 전국의 유망한 로봇 관련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초기 창업 스타트업을 위한 최고의 스케일업 프로그램입니다. 더인벤션랩과 엣지업 크레이터스 2기 파트너사인 우미, 국보디자인, 아주, 하이젠RNM, 엑스얼라이언스와 함께합니다. 이번 행사는 심사위원 없이, 2기 파트너사분들과 함께 모여 피칭, 인터랙티브 질의응답, 네트워킹을 진행했는데요, 좋은 기회로 이 자리에 함께할 수 있었습니다. 🙌🏻 행사는 더인벤션랩 김진영 대표님의 오프닝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대표님께서는 위기를 기회로 삼는다는 말처럼 지금 현재 닥친 위기의 상황을 전화위복 삼고, 좀 더 업밸류 시킬 수 있는 2025년을 만들어나가자 말씀하셨습니다 🙎🏻‍♂️🔥 대한민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사건 사고로 인해 시장의 분위기가 좋지 않은 만큼 대표님께서 하신 말씀에 공감할 수 있었으며 2025년은 전과는 다른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EDGE CRE8TORS 2기 스타트업 소개 금번 네트워킹 데이에는 최종 선발된 5팀의 발표를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2024년도의 성과와 2기 파트너사와의 협업 포인트도 들어볼 수 있었는데요, 아래에서 각 5팀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 MicroPix(마이크로픽스) 초소형 카메라 솔루션 설립일 : 2021/4/22
  1. 🚗 더인벤션랩 이야기
  2. 🎤 행사 후기
3시간 매칭의 마법, 베트남 부모님들을 사로잡은 야호랩!
들어가며 아시아권의 나라들에게는 공통적인 인식이 한 가지 있습니다. 바로 공부를 잘하면 잘할수록 잘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 한국은 조금 달라졌을지 몰라도 중국, 베트남은 여전히 만연합니다. 학교 외에도 사교육에 굉장히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인데, 베트남이나 다른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아권에서는 방문 교육이라는 솔루션이 많지 않습니다. 이때 야호랩은 ‘방문 학습’으로 포지셔닝해 다양한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더인벤션랩은 이번 글로벌 워크샵의 2번째 포트폴리오사로 야호랩 사무실을 방문하고, 권영욱 대표님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볼 수 있었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트남의 온/오프라인 방문 학습 시장 현황, 트렌드와 함께 권영욱 대표님의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야호랩은 어떤 회사인가? 야호랩은 방문 학습 서비스인 tudy를 제공하며 유아동 타겟을 시작으로 현재는 초등학교 5학년까지 학습 범위를 확장하며 베트남 방문 학습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테크인아시아에서 선정한 베트남 성장 기업 리스트에서 Top10까지 올라가며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핵심 타겟층은 2~12세의 자녀를 둔 1500불 정도의 소득을 가진 전문직, 사무직 부모님들이며, 이런 타겟 가구는 큰 도시를 기준으로 660만 가구 정도가 됩니다. 추후에는 천만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베트남의 방과 후 학습 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보통의 베트남 부모님들은 방과 후 서비스에 한 달 기준 60불 정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기존의 학습 시장은 명확한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ivate Tutor(높은 가격), E-learning(유아동에게는 적합하지 않음), Learning-Center(개인 맞춤형 교육 제공이 어려움). 야호랩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방문 학습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고, 더불어 숙제 도우미 서비스, 영어 놀이 돌봄 서비스 또한 제공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튜터 시스템 야호랩은 네 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튜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시간 이내의 매칭 서비스:아이들에 대한 데이터(진도, 지역, 과목 등)에 따라 튜터를 추천해주는 AI 시스템 구축 튜터 등급제:베트남 내의 대학생들을 튜터풀로 활용. 내부에서 튜터 교육도 진행하고 있으며, 경험도에 따라 등급과 시급을 분류. 고객별 전담 플래너:빠르고 편리하게 의사소통 가능 AI 수업계획서 기반 튜터링:튜터들에게 AI 기반의 수업계획서를 제공해, 언제 어떤 아이들을 만나게 되더라도 계획서를 보고 아이들 맞춤형으로 수업 제공
  1. 🇻🇳 베트남
  2. 🚗 더인벤션랩 이야기
C-LAPS와 함께하는 베트남 Market Test
들어가며 2024년 1월, 더인벤션랩은 베트남 현지 마케팅 기업인 C-LAPS와 베트남 진출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파트너쉽을 체결했습니다. 파트너쉽을 계기로 업무 공간 지원을 비롯한 채용, 마케팅, 법무, 현지 네트워크 연결 등 한국 스타트업의 베트남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했는데요, 이번 글로벌 워크샵을 통해 C-LAPS를 방문하고 C-LAPS의 이주홍 대표님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볼 수 있엇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트남 시장에서의 기회와 도전 그리고 베트남 광고/마케팅 트렌드 내용 소개해드리겠습니다. C-LAPS는 어떤 회사인가? C-LAPS는 베트남의 ‘종합 마케팅 에이전시’입니다. 뛰어난 실행력 및 자체 콘텐츠 제작 능력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마케팅 전략과 솔루션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체 장비 및 스튜디오를 통해 퀄리티 높은 마케팅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있으며, 고객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온/오프라인 콘텐츠 제작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한국 스타트업의 베트남 진출을 돕고 있으며 행사, 전시회, 데모데이 등의 행사 기획과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스타트업의 대표님이 베트남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C-LAPS가 현지에서 사입, 인플루언서 활용 등의 전반적인 마케팅을 돕고 있습니다! 이주홍 대표님과의 차담 한국 스타트업의 베트남 진출 많은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베트남 진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하노이에도 클라이언트가 있지만, 특히 호치민에 진출 니즈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행사, 전시회, 데모데이 등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의뢰를 맡기는 클라이언트가 많으며 빠르게 마켓 테스트를 하고자 하는 니즈가 확인됩니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선정한 4개의 화장품 관련 초기 스타트업은 C-LAPS와 함께 베트남 시장에서 빠른 마켓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틱톡과 라이브 커머스, 베트남의 새로운 트렌드 스타트업의 성장 동력 중 한 가지는 ‘콘텐츠 마케팅’입니다. 단순하게 SNS를 활용하는 것을 넘어 콘텐츠에 대한 기획력, 현지 인플루언서와의 네트워크 구축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최근 베트남에서는 틱톡이 SNS와 이커머스를 통합한 강력한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소규모의 사업자들이 큰 리소스를 들이지 않고 마케팅을 진행하기에 굉장히 좋기 때문에 틱톡을 활용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재 무서울 정도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시장 진출의 어려움 하지만 한국의 스타트업이 베트남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베트남 사람처럼 사고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한국성을 포기하고, 아이템을 베트남 현지화하는 것이 가장 큰 도전 과제입니다. 물론 완벽하게 베트남 현지화를 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일 것입니다. 그러나 계속해서 베트남에서 Product test를 하며 발전시켜나간다면 성장 가능성이 눈에 띄게 발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1. 🇻🇳 베트남
  2. 🚗 더인벤션랩 이야기
베트남 중고 오토바이 시장의 게임체인저, OKXE에 다녀오다!
들어가며 오토바이는 베트남 사람들에게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서 필수품이자 하나의 자산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베트남 도로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 전체 오토바이 수는 6500만대를 넘어섰으며, 한 가구당 2대 이상의 오토바이를 보유하고 있다고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OKXE는 베트남 중고 오토바이 거래 시장에서 신뢰를 구축하여 빠르게 성장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더인벤션랩은 이번 글로벌 워크샵을 통해 OKXE의 오토바이 스테이션을 방문해보고, 김우석 대표님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KXE의 사업 현황과 함께 김우석 대표님의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OKXE는 어떤 회사인가? 베트남에서 OKXE는 ‘완벽한’ 오토바이 경험을 선사하는 회사입니다. 현재 온라인 중고 오토바이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기존의 오프라인 시장에서만 이루어지던 오토바이 거래를 빠르고 간편한 온라인 거래 방식으로 변환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오토바이를 구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타고 관리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생활 서비스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OKXE는 핀테크, 플랫폼/데이터, OMO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사업 : 금융, 보헙, 전자계약, 결제 등 플랫폼/테이터 사업 : 온라인 거래 플랫폼(거래, 보험, 전자계약, 관리, 배달, 결제 등등), 거래 데이터 수집 OMO 사업 :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온/오프라인 통합, 오토바이 스테이션 운영 여기서 OKXE가 가지는 강점은 2가지입니다. 첫 번째, 데이터를 기반으로 베트남에 존재하지 않던 ‘신뢰’를 구축했다는 것입니다. 한국은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굉장히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만큼 기대가 높고, 까다로운 고객들이 많습니다. 그에 반해 베트남은 서로를 신뢰하지 않는 문화가 있고 선결제를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합니다. OKXE는 명확한 정보 제공, 보증/관리/부가 서비스로 신뢰 시스템을 구축해나가 베트남 사람들에게 신뢰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오토바이 중고 시세표를 제공했다는 점입니다. OKXE는 700만 개의 포인트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도시, 시간 단위로 거래를 확인할 수 있으며, 2140명의 셀러들이 얼만큼 판매하고 있는지, 개인 유저들의 어떤 거래 패턴을 보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호가와 거래가에서 차이가 많이 나는데, 데이터를 활용해서 이 부분을 확인하고 베트남 최초의 오토바이 중고 시세표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OKXE는 베트남 국민의 약 9%인 900만 명이 사용하고 있으며, 93만 대의 중고 오토바이가 거래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2조 원에 달하는 금액이 거래되었고, 이는 전체 시장의 약 14%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런 지표를 보았을 때, OKXE가 다양한 서비스와 강점을 통해 베트남 오토바이 시장에 영향력을 만들어냈다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 더인벤션랩 이야기
  2. 🇻🇳 베트남
2024 시니어 비즈니스 인사이트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현황 1-1. 뉴 시니어의 등장 2000년대 초반, 시니어 비즈니스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중요한 시장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 많은 기업들이 시니어 인구의 증가와 함께 이들이 새로운 소비자로 떠오를 것이라는 기대 아래 시니어를 타겟으로 하는 다양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McKinsey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소비자는 젊은 층에 비해 높은 의료비 때문에 1인당 지출이 많으며 의료 외에도 주택, 교통,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전체 소비 성장에 40% 이상을 기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시니어 산업의 성장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니어의 인구수, 경제력, 지속성, 3가지 요소를 충분히 충족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가장 부유한 세대인 1960년대생을 중심으로 한 영 시니어(Young Senior)들이 파워 컨슈머로 부상하면서 시장 판도가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영 시니어만 해도 860만명(전체 인구의 18%)이며 10년 후, 시니어층에 합류되는 50대까지 합쳤을 때 전체 인구의 절반에 육박하는 액티브 시니어(건강하고 적극적으로 은퇴 생활을 하는 사람들) 층이 등장할 전망입니다. 이는 시니어 시장이 더 이상 특정 연령대에 국한된 것이 아닌,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존 시니어층과 뉴 시니어층의 특징 구분 기존 시니어 뉴 시니어 세대특성 수동적, 보수적, 동질적 적극적, 다양성, 미래지향적 경제력 의존적, 경제력 보유 층 적음 독립적, 경제력 보유 층 두터움 노년 의식 인생의 황혼기 새로운 인생의 시작
  1. ✏️ 리서치
2024 스파크랩 하반기 데모데이
일자 : 2024/10/17 (목) 장소 : 코엑스 그랜드 컨퍼런스룸 401호 행사 소개 2024 상반기 데모데이 (4월) 약 600여 명의 VC 및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참석하였으며, 이번 하반기 데모데이 역시 VC와 스타트업만을 위한 Invite-only 행사로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기업 피칭 : AI, ESG, FinTech, AdTech 등 다양한 분야와 스테이지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 지표를 이뤄낸 혁신적인 팀들의 피칭 비공개 패널 세션 : 김서준 해시드 대표, 최근 해시드와 a16z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기업 가치 3조 원의 기업 스토리 프로토콜의 이승윤 공동창업자가 연사로 참여하는 비공개 패널 세션 기타 행사 : 네트워킹 등 창업자와 투자자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유익한 내용으로 알차게 구성 오프닝 리셉션 참여기업 부스 : 국내외 피투자사 (해외 창업기업 부스 별도) 스폰서/LP/파트너사 광고영상 재생 오프닝 발표 스파크랩 소개영상 : 비전(change), 모토, 연혁 대표님 키노트 (영어) 스폰서 기업 소개 신규사업 소개 : 스파크 바이오랩스, 사우디아라비아(waycen) 파트너십 paradigm shift & new ventures → ecommerce, AI/data, private credit 분야 투자기업 피칭 펄스애드 | PulseAd [AI, Ad tech] : 리테일 셀러를 위한 이커머스 통합 광고 플랫폼
  1. 🎤 행사 후기
블루포인트 데모데이 2024 Future Mosaic 참관기
[일자] 2024년 10월 16일 수요일 [장소] 섬유센터 3층 이벤트홀 [주요 내용] 스타트업 기술 및 서비스 발표, 키노트 및 심사역 테크토크 오프닝 키노트 (발표 : 이용관 대표) [키워드] 다양성 : 진화는 진보와 달리, 다양성의 증가로 이루어진다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미래, 혁신의 조각으로 채워질 퓨처 모자이크 “다가올 미래는 수많은 혁신의 조각이 모인 거대한 모자이크입니다.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던 미래의 모습을 내다보는 자리. 산업에 자신의 영역을 개척해 나가는 창업가들의 강력한 인사이트와 블루포인트의 투자 철학을 바로 이곳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모든 혁신의 시작점이자 국내 최대 테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블루포인트의 데모데이에 함께해주신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오늘 대한민국 스타트업이 만드는 미래를 가장 먼저 만나는 뜻깊은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참여기업 🦠 리플라 PP/PC 단일재질 플라스틱의 고순도/고품질 재활용을 위한 미생물 처리 설비 개발 주요 기술 :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혼방 의류 단일재질화, 유기성 폐기물 처리 리플라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순도 향상을 위해 특정 플라스틱 재질을 선별하여 분해하는 미생물의 선택적 분해능을 이용하는 재활용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리플라의 선택적 분해능을 지닌 미생물은 2%의 이물질 재질은 분해하고, PP/PC 재질만을 남겨 재활용 플라스틱 순도를 99.65%까지 향상시킵니다. 이 수치는 자동차와 가전 내장재로 활용될 수 있는 품질 수준을 충족시켜 재활용 플라스틱의 활용 범위를 확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 최초로 미생물 플라스틱 분해 기술을 상용화하고자 하며, 현재 총 10조원 규모의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국내외 기업들과 협업 논의 중 (투자 현황: 프리 230억 밸류, 50억 이상 조달 중) 🗑️ 이노맥신 산업폐기물을 활용하여 맥신(MXene) 제조 업체
  1. 🎤 행사 후기
2024 로보틱스 시장 분석 보고서
들어가며 코로나19 펜데믹을 거치면서 경제-사회 전반에 디지털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로봇이 제조 현장을 넘어 다양한 서비스 영역으로 확대하면서 로봇과의 일상 속 '공존'시대로 진입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로봇은 제조업을 비롯해 산업 전반에서 생산성을 제고하는 수단이자 산업 그 자체로도 국가 경제의 성장동력으로 주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최근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이 로봇혁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인공지능(AI) 로봇시대로 도래하고 있습니다. 최근 FIGURE, 테슬라의 옵티머스 로봇 등 휴머노이드 로봇이 주목을 받으면서, 향후 로봇산업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를 통해 로보틱스를 둘러싼 국내외 시장을 파악함으로써 Next Generation 로봇과 시장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고자 합니다. 본문 보기 해당 분석 보고서 열람을 희망하실 경우, 하단의 '보고서 다운로드 받기' 버튼을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자의 정보 수취를 위해 정보 입력을 필수적으로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무단 배포를 금지하기 위함이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1. ✏️ 리서치
온디바이스 AI? 엣지 AI?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에서 삼성전자가 갤럭시S24를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신제품은 AI가 적용된 핸드폰이라는 점에서 삼성전자와 애플의 AI 경쟁이 시작되는 변화의 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갤럭시 S24에 적용된 대표적인 AI기능은 통화 중 실시간 번역을 도와주는 ‘실시간 통화 번역’, 문자나 이메일 어투를 전문적인 느낌이나 재미있는 느낌으로 작성해주거나, 문서를 자동으로 요약하는 기능인 ‘채팅 어시스트’ 등이 있습니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갤럭시 시리즈에 빅스비라는 AI를 탑재하여 기능을 제공했었는데, 이번 AI 기능은 왜 혁신과 변화의 기점으로 언급될까요? 그 답은, 바로 ‘엣지 AI = 온디바이스 AI’에 있습니다. 엣지 AI, 이제 우리 손 안에서 현실이 됩니다!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에는 구글의 엣지 AI 모델 ‘제미나이 프로(Gemini Pro)’와 구글 딥마인드의 텍스트-이미지 변환 및 AI 이미지 생성 툴 ‘이마젠 2(Imagen 2)’를 탑재했습니다. 엣지 AI는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가 생성되는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직접 AI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즉, 우리 손 안에서 네트워크 없이 기기만으로도 데이터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듯한 작업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엣지 AI, 왜 핫한가요? 번개 같은 속도, 빛처럼 빠른 반응: 엣지 AI는 데이터가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여 기존 중앙 집중형 AI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응답합니다. 마치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나는 일처럼, 실시간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우리 삶을 더욱 스마트하게 만들어 줍니다. 개인정보는 나만의 것, 든든하게 보호: 엣지 AI는 데이터가 기기에서 처리되므로 개인정보 유출 걱정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 금고에 보관하는 것처럼, 개인정보는 우리 손 안에서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엣지 AI, 어디에서 만나볼 수 있을까요? 스마트폰: 이미 우리 손 안에 있는 스마트폰은 엣지 AI의 대표적인 활용 사례입니다. 녹음된 오디오를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문법 교정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인터넷 연결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 스마트폰이 우리의 든든한 비서가 되어준 셈입니다.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건강 기기 등 웨어러블 기기도 엣지 AI 기술을 통해 더욱 똑똑해지고 있습니다.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맞춤형 운동 지침을 제공하는 등 건강한 삶을 위한 최고의 파트너가 되어줍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엣지 AI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위험 상황을 예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안전한 운전을 지원합니다. 마치 자동차가 스스로 생각하고 운전하는 듯한 놀라운 미래를 현실로 만들어 줍니다. 스마트 공장: 엣지 AI는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생산라인의 이상 상황을 미리 감지하고, 예방 조치를 취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사고를 예방합니다. 마치 공장이 스스로 관리하는 듯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엣지 AI, 미래는 무궁무진! 엣지 AI는 앞으로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의료, 교육, 금융, 에너지 등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혁신을 가져올 잠재력을 지닌 기술인 엣지 AI. 앞으로 우리 삶의 저변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발전시킬지 잘 살펴보아야겠습니다.
  1. ✏️ 리서치
2023 생성형 AI 트렌드
2023년 생성형 AI 트렌드 : 작고 효율적인 모델, LoRA, MoE, 그리고 멀티모달 2023년 생성형 AI는 흥미로운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과거에는 대규모 모델이 주를 이루었지만, 올해는LoRA(Low-Rank Adaptation), MoE(Mixture of Experts) 등 작고 효율적인 모델의 등장, 그리고 LLM(Large Language Model)의 영역 확장 등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났습니다. 1. 작고 효율적인 모델의 등장 1.1. 왜 작고 효율적인 모델이 필요할까요? 과거에는 매개변수 수가 수백억, 수천억 개에 달하는 대규모 모델이 주류를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들은 훈련 비용이 엄청나게 높고, 상당한 메모리 및 컴퓨팅 성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작고 효율적인 모델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작고 효율적인 모델은 훈련 비용이 저렴하고, 다양한 기기에서도 쉽게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2. 작고 효율적인 모델의 대표적인 예시 Ⓜ️Mistral:대부분의 벤치마크에서 대형 모델보다 성능이 뛰어난 7B 모델 🅿️Phi(Microsoft) 시리즈: 매개변수가 1.3B~2.7B에 불과하여 훨씬 작지만 인상적인 성능을 제공 🅾️Orca 2(Microsoft): GPT-4와 같은 더 큰 모델의 지식을 더 작은 모델로 추출하여 단순한 모방 학습이 아닌, 단계별 분석 및 리콜과 같은 추론 방법을 목표로 함. Orca 2는 비슷한 크기의 모델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여 5~10배 더 큰 모델과도 경쟁이 가능 2. 효율적인 Fine Tune을 도와주는 LoRA(Low-Rank Adaptation) 등장 LoRA는 매개변수 효율적인 미세 조정을 허용하여 계산 부하 및 저장 요구 사항을 크게 줄여줍니다. 이는 리소스를 절약하고 기본 모델의 핵심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정의를 가능하게 합니다. Mixture of Experts Explained(MoE) 접근방식도 2023년 LLM 아키텍처의 중요한 도약을 나타냅니다.
  1. ✏️ 리서치
Contact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마이워크스페이스4호점 8층 2호
contact@roailab.com
© 2025 The Invention Lab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