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 Learning Analytics
[논문리뷰] 테크놀로지 사용자로서의 예비 및 신규교사의 교육적 정체성 발달에 관한 사회문화적 분석
taesangeom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기술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기술을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예비 교사와 초기 교사가 기술을 어떻게 통합하여 교육하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그들의 교육적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기술이 풍부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졸업한 교사들이 실제 교실 환경에서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들의 교육적 신념과 실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합니다.
연구 질문
본 연구는 두 가지 주요 연구 질문을 탐구합니다.
첫째, 예비 교사와 초기 교사들이 채택하는 기술 활용 모드는 무엇인가?
둘째,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신입 교사의 교육적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통해 기술 사용이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어떻게 촉진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교육적 맥락에서 그들이 어떻게 적응하고 발전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이론적 배경
이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교사의 학습을 탐구합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 따르면, 교사의 학습은 사회문화적 관행에 대한 참여가 증가하면서 이루어집니다.
근접 발달 영역(ZPD)은 학습자가 성인의 지도나 더 숙련된 동료와의 협력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의미합니다.
자유 이동 영역(ZFM)은 행동과 사고의 자유를 제한하는 환경적 제약을 나타냅니다.
촉진 행동 영역(ZPA)은 지도자가 특정 행동이나 기술을 촉진하려는 노력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통해 교사의 학습과 정체성 형성을 분석합니다.
예비 교사 시절의 경험 (Pre-service Teacher Experience)
Geoff는 예비 교사로서 저소득층 지역에 위치한 공립학교에서 실습을 하였습니다. 학생 대부분이 난민 비자로 최근에 호주에 도착한 경우가 많아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Geoff는 이곳에서 10학년 수학과 11학년 수리 수업을 담당했으며, 학생들의 부정적인 수학 태도를 극복하고 실생활에서 수학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주기 위해 흥미로운 활동을 설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예를 들어, 초콜릿 칩 쿠키의 비용과 품질을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실생활과 연결하도록 유도했습니다.
기술 사용의 네 가지 모드
기술을 주인으로 (Technology as Master)
Geoff는 예비 교사 시절에 기술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사용했습니다. 학교는 그래픽 계산기와 같은 기술 장비가 부족했으며, 대부분의 수업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Geoff는 학생들의 인터넷 리서치 활동을 설계했으나, 전산실 이용이 어려웠기 때문에 많은 기술을 활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기술은 교실에서 제한적인 역할을 했으며, Geoff의 수업에서 기술은 학생들의 정보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로만 사용되었습니다.
기술을 도구로 (Technology as Servant)
교사로서의 초기 경력에서 Geoff는 기술을 도구로 사용하는 방식에 익숙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Excel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정확한 그래프를 그릴 수 있도록 하거나, 그래픽 계산기를 통해 복잡한 계산을 빠르게 수행하게 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기술은 학생들이 기존의 수업 활동을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Geoff는 이 방식이 학생들에게 기술의 실용성을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기술을 파트너로 (Technology as Partner)
시간이 지나면서 Geoff는 기술을 교실에서의 파트너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학생들이 그래픽 계산기와 모션 디텍터를 사용하여 움직임을 그래프로 표현하는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 활동은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물리적으로 체험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기술이 학생들의 학습에 실질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 과정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기술은 단순한 보조 수단을 넘어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잡았습니다.
기술을 자아의 확장으로 (Technology as Extension of Self)
Geoff의 교육적 정체성은 점차적으로 기술을 자아의 확장으로 통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했습니다. 그는 학교의 풍부한 기술 자원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혁신적인 수업을 제공했습니다. 예를 들어, PowerPoint를 활용하여 복잡한 수학 개념을 애니메이션으로 설명하고, 온라인 자료를 통해 학생들이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Geoff는 기술을 자신의 교수 방법에 완벽하게 통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극대화하고, 교사로서의 자신감을 키웠습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기술이 교사의 교육적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교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깨달았습니다.
결론
이 논문은 예비 교사와 초기 교사가 기술을 통합하여 교육하는 방식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교육적 정체성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기술을 주인(master), 도구(servant), 파트너(partner), 자아의 확장(extension of self)의 네 가지 모드로 사용하며, 이는 시간과 교육 환경에 따라 변화했습니다.
특히, Geoff의 사례는 교사가 초기에는 기술을 단순한 보조 도구로 사용하다가, 점차 교육 과정에 통합하고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는 파트너로 발전시키며, 궁극적으로는 교육적 실천의 중요한 부분으로 기술을 완전히 통합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는 교사의 교육적 정체성이 개인적 신념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강조하며, 예비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기술 통합의 중요성을 제안합니다.
기술 사용의 네 가지 모드
주인 (Master)
기술 사용이 제한적이며, 주로 외부의 압력에 의해 사용됨.
교사가 기술에 대한 지식과 능력이 제한적이어서, 기술이 교실 활동의 본질을 바꾸지 않음.
도구 (Servant)
기술이 기존의 교수 활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함.
주로 계산이나 그래프 작성 등, 기존의 수업 활동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됨.
파트너 (Partner)
기술이 교실 활동에 적극적으로 통합됨.
기술을 통해 학생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학습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함.
자아의 확장 (Extension of Self)
기술이 교사의 교육적 실천에 완전히 통합됨.
다양한 기술 자원을 활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극대화함.
2005년에 진행된 Goos의 연구는 2024년 기술이 지원하는 교실 속 교사에게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까요? 우리 교실에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기기 등 다양한 에듀테크가 도입되면서 교사들의 반응은 여러 양상을 띕니다. 어떤 교사들은 기술을 거부하지만 어떤 교사는 기술을 자신의 교육적 실천에 통합해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모드에 해당하나요?
Subscribe to 'taesangeom'
Welcome to 'taesangeom'!
By subscribing to my site, you'll be the first to receive notifications and emails about the latest updates, including new posts.
Join SlashPage and subscribe to 'taesangeom'!
Subscribe
😄
1
taesangeom
[논문리뷰] 학습 분석 대시보드의 도입 및 사용 문제: 게임 기반 학습의 설계 및 구현
연구 배경 및 목적 학습 기술의 증가로 학습 분석(LA)을 활용하여 교수법을 변화시키고 아동의 학습을 형성적으로 개선할 기회가 제공됨. Navigo 게임을 통한 학습 분석 대시보드(LAD)의 도입과 사용을 통해 교사들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사례 연구 방법론 영국의 한 학교에서 두 명의 교사(T1, T2)가 Navigo를 사용하며 LAD를 도입. 교사들이 주간 30분씩 Navigo를 사용하고, COVID-19 봉쇄 기간 동안 가정 학습 활동을 할당. LAD는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세 달 동안 사용 가능했으며, 2020년 11월부터 2021년 5월까지의 데이터를 포함. 연구팀은 온라인 교사 교육 세션을 통해 LAD 기능을 소개하고, 교사들이 독립적으로 사용하도록 함. 사례 연구 결과 LAD 사용 데이터 분석: T1은 네 번 사용했으나, T2는 사용하지 않음. 이메일 커뮤니케이션: T1은 총괄평가 목적으로 LAD를 사용하려 했으나 데이터 해석에 어려움을 겪음. 온라인 논의: 연구팀과의 논의 후 T1은 동일한 언어 기능을 지속적으로 할당해야 총괄평가에 적합하다는 점을 이해함. 인터뷰: T1은 초기 전략 논의 부족을 아쉬워하며, 형성평가 목적으로 LAD를 사용할 가능성을 인식. T2는 시간 부족과 LAD 사용의 어려움을 언급. LAD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시사점 형성평가를 위해 설계된 LAD를 총괄평가 목적으로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명확한 가이드라인 필요. 필터링되지 않은 데이터 보기를 제거하여 오해 방지. 지속적인 교육 제공 및 실시간 조언과 경고 기능 추가. 교사들이 시각화를 형성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 도입.
taesangeom
[논문 리뷰] ACLS(적응형 협력 학습 지원)의 다른 미래
이 논문에서는 적응형 협력 학습 지원(ACLS)의 디스토피아적 미래와 연구 기반의 더 나은 기술 설계로 디스토피아적 문제를 피하고 긍정적인 미래를 그리는 유토피아적 시나리오를 대조합니다. 유토피아적 미래를 위해 중요한 연구와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한 포괄적인 교수 프레임워크가 필요함을 논의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협력 학습자에게 지능적인 ACLS를 제공할 수 있게 합니다. 서론 ACLS(Adaptive Collaborative Learning Support) 시스템의 설계자는 다양한 교육적 결정을 조율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디스토피아적 시나리오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에 기반한 포괄적인 교수 프레임워크가 필요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다차원적 지원을 고려하고, 시스템 적응성과 사용자 자유, 그리고 공유 통제를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RUWAAL은 학생들의 협력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적응형 학습 지원 시스템입니다. 특장점으로는 학생들의 학습 및 협력 능력을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능력이 있으며, 한계점으로는 일부 학생들에게 비효율적이거나 과도한 지시를 내리고 결정의 투명성이 부족하여 좌절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디스토피아적 시나리오 분석 디스토피아적 시나리오에서 ACLS 시스템은 결정의 세밀함과 유연성이 부족하여 학생들에게 좌절감을 안겨주고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립니다. 학생들은 협력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시스템의 비효율적인 결정으로 인해 학습과 협력이 저해됩니다. 이 시나리오는 포괄적인 이론적 기초의 부재와 다양한 지원 차원의 조율 부족이 문제임을 강조합니다. 학교에서 Janet은 첫 수업인 화학 수업에 5분 여유를 두고 도착. 디지털 일정표를 확인하니 오늘의 파트너는 Roxanne. 최근 두 주 동안 Roxanne과 세 번이나 짝이 되어 항상 의견 충돌을 겪음. RUWAAL 시스템의 판단 시스템은 Janet과 Roxanne의 갈등을 "건설적 갈등"으로 잘못 판단. Janet은 Carly와 협력할 때는 즐겁게 일할 수 있었지만, 시스템은 Carly 대신 Roxanne과 짝지음. 시스템의 결정을 거부할 수 없음. 수업 시작 Janet은 Roxanne과 할당된 실험 활동을 확인. RUWAAL은 계속해서 Janet에게 "이유를 설명하라"거나 "Roxanne이 한 말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등의 프롬프트를 제공. 좌절과 갈등 Janet은 다른 학생들보다 더 많은 프롬프트를 받음. 시스템은 Janet을 "협력 능력이 부족한 학생"으로 진단하고 교정 프로그램을 제안. Janet의 부모는 이에 대해 항의하지만, Janet은 혼란스러워 함. 활동 중 갈등 Roxanne이 장난을 치고, Janet이 이를 지적. 시스템은 잘못된 행동이라고 판단하고 초기 상태로 리셋. "서로에게 예의 바르게 대하라"는 메시지로 두 사람을 진정시키려 함.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