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컨텍스트 엔지니어링 개념 정리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컨텍스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컨텍스트 엔지니어링의 한 구성 요소입니다. 9월 30일 Anthropic은 프롬프트/컨텍스트 엔지니어링의 개념과 향후 방향을 정리한 글을 공개했습니다. 핵심은 LLM 성능은 "문장을 어떻게 쓰느냐"보다 어떤 토큰을 언제 얼마나 넣느냐 에 달려 있다는 점입니다. ❓ 개념 정리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LLM의 역할·규칙·출력 형식을 간결하게 정의하고, 대표 예시로 행동 휴리스틱을 제공해 원하는 출력을 이끌어내는 기법. 초기에는 시스템 프롬프트와 소수 예시로 단발성 작업의 성능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습니다. ✅ 컨텍스트 엔지니어링 모델이 추론할 때 사용하는 전체 토큰 집합(시스템 지시문, 도구/툴, 외부 데이터, 대화 히스토리 등)을 언제·무엇을·얼마나 넣을지 설계·관리하는 기법. 목표 행동을 가장 잘 유도하는 최소의 캠팩트한 컨텍스트를 지속적으로 선별·주입하는 일입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자연스러운 진화로 제시됩니다. ❓ 컨텍스트가 중요한 이유 트랜스포머 아키텍처 특성: 모든 토큰이 서로에 어텐션을 하므로 쌍대(pairwise) 관계가 n²로 늘어나 길어질수록 초점이 분산됩니다. 컨텍스트 rot: 컨텍스트가 길어질수록 해당 정보의 정확한 recall 이 떨어지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Lost in the Middle: 관련 정보가 컨텍스트의 중앙에 위치할 때 답변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에이전트(및 멀티에이전트)에서는 유한한 컨텍스트를 효율적으로 주입하는(채우는) 설계가 필수입니다. 불필요한 토큰은 비용과 지연(latency) 을 키우고 오류 가능성을 높입니다.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그럼 어떻게 될까? 단순히 질문만 잘 하는 프롬프트는 역할은 축소됩니다. 역할 재정의: "문장 잘 쓰기" 중심의 프롬프트 튜닝 비중은 줄고, 컨텍스트·툴·메모리·검색 흐름을 설계하는 상위 운영 설계 역량이 중심이 됩니다.
- Sujin_Kang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