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nA

프롬프트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관련 질문을 위한 공간입니다.
- 패스트 캠퍼스 온/오프라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강의
- 책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업무일지>
자유롭게 물어봐주시고 의견 나누어 주세요 : )
G
Google
안녕하세요 패캠 수강생 입니다

논문 요약본 열람링크를 클릭하니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비공개 채널입니다.
사이트 관리자에게 문의해주세요.
맴버 추가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이현철
안녕하세요 패캠 수강생 입니다
논문 요약본 열람이 가능하도록 맴버 추가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DONGHEE LEE
안녕하세요 박사님 오프라인 수업 4기 수강생 이동희 입니다.
5/6에 접근 권한 부여받았지만, 자료 공유 4기 페이지에 조회 및 접근이 되지 않습니다.
시간 되실때 접근 권한 부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
🍀
1
S
soonji jung
@Sujin_Kang 박사님 안녕하세요!
내부 프로젝트에서 thought 시리즈 중 ToT, GoT 적용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과제 해결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제 구현 사례나 적용 예시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혹시 박사님께서 관련 사례나 구현 예시(github, gitlab 등)를 알고 계신다면 공유해주실 수 있을까요?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바쁘시겠지만,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1
🍀
1
이재원
접근 권한 승인 부탁드립니다!
1
🍀
1
aisamhottman
박사님 접근 권한 승인 부탁드립니다! (과거에 구독을 해놨었는데 밑에 깔린 것 같아 구독을 2번 눌렀습니다)
1
👍
최재웅
접근 권한 승인 부탁드립니다.
🍀
1
A
Alex Cho
안녕하세요 ~ 4기 조영균입니다. 이제야 슬래시 구독 완료입니다. 멤버 추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
🍀
1
S
seo banjang
저번 강의 하실 때 글자 수를 맞출 때 "어절"로 맞추라 하셨는데 "<어절수>-long-word" 이렇게 들었는데 맞나요? 이렇게 넣었는데도 글자수가 맞춰지지 않고, chat gpt 1 pro는 더 못 맞추는 거 같아요. 글자수 팁 좀 알려주세요^^
3
🍀
2
흐르는강물처럼
안녕하세요. <국내 공채 1호 프롬프트 엔지니어 강수진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 to Z>를 듣고 있는데, 권한 좀 부탁드립니다.

현재는 아래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논문 요약본은 슬래시페이지의 “private page”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only member)

3
👍
Sujin_Kang
[패스트 캠퍼스 4기 오프라인 수강생 분들 멤버 신청란]

안녕하세요 4기 수강생분들,
슬래시 페이지 멤버 등록을 위해 이 글 아래로 "실명" 으로 댓글 하나씩 주시겠어요? 함께 구독을 먼저 해주셔야, 멤버를 드릴 수 있습니다.
빠르게 확인 후 멤버로 등록해 두겠습니다. 그러면 보이지 않던 페이지가 보일거예요.


58
👍
7
😀
4
❤️
1
이상호
안녕하세요. 저도 <국내 공채 1호 프롬프트 엔지니어 강수진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 to Z>를 듣고 있는데, 권한 좀 부탁드립니다.
1
👍
N
NPNP PNPN
프롬프트 패캠 강의 수강하고 있습니다!
논문 권한을 얻을 수 있는지 여쭤보려구합니다!
1
🍀
1
이상화
패스트캠퍼스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있는 이상화 입니다.
논문요약본에 대한 권한 받을 수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
1
이창근
패스트캠퍼스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이창근 입니다.
강의 내용 중에 프롬프트 작성 예시 등이 노션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노션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 정보에 어디에 있는 지 문의 드립니다.
그리고, 논문요약본에 대한 권한도 받을 수 있는 지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
🍀
1
A
Ah Ra Lee
강수진박사님, 안녕하세요.
패스트캠퍼스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이아라입니다.

<논문요약본> 권한 부탁드려도 될까요~?

항상 감사합니다.
1
🍀
1
윌리
안녕하세요. 작년 9월, 온라인 패스트캠퍼스 수강생입니다. <논문요약본> 권한요청을 이제서야 드리네요. 여기에서 하는게 맞을까요?

티타임즈 영상을 요즘 자주 봅니다. 유튜브 채널도 빨리 오픈해주세요! 감사합니다!
2
🍀
1
J
JaeHun_Choi__Ash
안녕하세요, 박사님.
박사님의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신청하여 듣고있는 최재훈입니다.
오프라인 행사에서도 한번 만나뵌적이 있는데요, 논문 요약본 자료는 private page에 등록되어있는데 only memeber라고 하여서요, 멤버추가를 요청드려도 될까요?
박사님의 강의에는 항상 많은 인사이트 얻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
🍀
1
서민탁
안녕하세요? 강수진 박사님.
패스트캠퍼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 to Z'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는 서민탁입니다.
논문 요약본 자료를 볼 수 있도록 슬러시페이지 멤버 추가, 저도 부탁 드려 봅니다.
제가 너무 늦게 멤버 추가를 요청했네요.
늘~ 유투브며 강의며 열렬히 듣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1
🍀
1
Y
Yeonjin
박사님, 안녕하세요! 패스트캠퍼스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 to Z'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혹시 논문 요약본 자료를 볼 수 있도록 슬래시페이지 멤버로 추가해 주실 수 있을까요?
슬래시페이지 구독은 완료했습니다.
슬래시페이지를 살펴보다 보니 제가 너무 뒤늦게 멤버 추가를 요청한 것 같네요ㅠㅠ
귀중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1
🍀
1
Y
YeongRo_Yun
안녕하세요, AI Agent에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정보를 장단기 맥락(Context)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찾던 중,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업무일지"에서 single turn, pair, multi turn, 그리고 topic의 개념을 보았습니다. 각 개념이 아래와 같은 관계를 갖는게 맞을까요?
single turn: 하나의 HumanMessage나 AIMessage
Ex) human: 맛집 찾아줘
pair: 2개의 single turn의 조합으로, 주고 받은 메시지
Ex) human: 맛집 찾아줘 / ai: 두끼를 추천 드립니다.
multi turn: 하나 이상의 pair와 부가적인 single turn의 조합으로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대화
Ex) pair1 - [human: 맛집 찾아줘 / ai: 두끼를 추천 드립니다.]; pair2 - [human: 다른 곳은? / ai: 탭 퍼블릭은 어때요?]; single turn - [human: 좋아.]
topic: multi turn에 나타난 주제
Ex) 위의 multi turn의 topic은 "맛집 탐색"입니다.
만약 맞다면, 아래의 문장들이 상호 대치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용자의 multi turn을 유도한다" ↔ "사용자가 단일 주제로 여러 번의 pairs를 이어가도록 유도한다"
"사용자와의 대화를 요약한다" ↔ "대화를 multi turn의 나열로 구분하고, 각각의 topic들을 찾는다."
"이전 대화 목록에서 유사한 내용을 찾는다" ↔ "이전의 topic들 중, 현재의 topic과 유사한 것을 찾는다"
See more...
1
👍🏻
1
N
Noel
안녕하세요! 논문 요약이 보고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4
👍
좌성훈
강의에서 전반적으로 프롬프팅에 다양한 기호들이 아래와 같이 사용되는데요.
[ ], {{$ }}, >>, ''', #, ##, ###, <tag> </tag> 등등
어떤 경우에 위와 같은 기호들이 사용되는지 정확하게 알고싶어요.
혹시 정확한 규칙이 없다면 강수진 박사님께서 프롬프팅 할때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혹은 각 openai, anthropic, google 등에 사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
1
장찬모
4주차 강의 듣고
Token 최적화에서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여쭈어봅니다.

- Simplicity : 불필요한 단어나 문구 제거, 핵심 내용만 담기 by Word Substitution 에서

불필요한 단어나 문구 제거에서
Chain of Density Prompting 에서 나온 핵심 단어, 구문을 재조합 또는 MoE (mixtral-of-experts) 에서 추출된 프롬프트로 재설계하는 경우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4
👍
성현석
안녕하세요. 박사님.
이번주부터 패스트캠퍼스 온라인으로 강의를 듣고 있는 수강입니다.
[Intro.] - [페이지 사용법] 보고
구독하였고 그 다음 단계인 "멤버" 추가에서 막혀서
다른 댓글 보니 여기에 신청하는 것으로 보여
혹시, 저도 멤버 추가 가능할지 문의 드려보아요.
감사합니다.
1
👍
1
장찬모
안녕하세요. 박사님,

3주차 과제 중 하나인 영어학습 챗봇 만들기에서 궁금한 항목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Chain-of-Thought, few-shot prompting에서 경우 예시 혹은 사전 질문 및 사전 답을 작성하게 되는데,
저는 예시 혹은 사전 질문, 사전 답을 상세하게 작성하다보니 다음과 같이 Token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혹시 CoT 혹은 few-shot Prompting에서 현재 쓰는 방식보다는 Token을 줄이면서, 답변 퀄리티를 높게 유지하는 방법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6
👍
자쿠55
안녕하세요.
패캠 온라인 수강자입니다. 지난 번 공지에 댓글을 달아서 멤버추가 되었다고 알려주셨는데, 지금보니 권한페이지가 보이지 않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2
👍
이선아
안녕하세요. 패캠 온라인수강자입니다. 프롬프트영상을 잘 보았습니다.
논문 요약을 확인할수 있게 승인 부탁드립니다.
슬래시페이지 구독도 완료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
👍
손인석
안녕하세요. 패캠 온라인 수강자입니다. 제가 멤버 초대 기한을 이제서야 봤는데요 ㅠㅠ 혹시 늦었지만 멤버 초대가 가능할까요??
3
👍
T
Taezo Cha
안녕하세요, 박사님~ 패스트캠퍼스 수강생입니다. 멤버 권한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
👍
DongDouze
패스트캠퍼스 수강생입니다. "논문요약", "프롬프트" 권한 요청 드립니다.
1
🍀
1
김준성
안녕하세요.

패스트 캠퍼스 수강생입니다.

에이전트 활용을 위해 프롬프팅의 중요성을 여실히 느끼는 중입니다..!
구독했습니다. 멤버로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
1
늑대와춤을
안녕하세요.
Prompt Testbed 회원가입을 진행하면 '인증코드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문구만 뜨네요.
노션에 나와있은 회원가입코드를 입력하는거 아닌가요?
2
👍
Joon-hee
박사님! 공사다망하신데 송구합니다. 질문있습니다.
현재 o3-mini-high 모듈을 지속적으로 테스트 중입니다. 해외 VC 투자자의 관점에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존 프롬프트는 대괄호, 중괄호, 꺽쇠괄호, 일반 괄호 등을 활용하여 구조화하였는데, o3-mini-high 모듈은 이러한 복잡한 형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박사님의 경험을 바탕으로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업 아이템 요약

• [사업아이템명]: {사업아이템명}
(이 항목에는 제품의 이름 또는 서비스의 이름을 간략하게 입력하세요)
<예: "Green Health 앱">
• [분야]: {분야} (사업이 속하는 산업 분야를 명시합니다)
<예: 헬스케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엘리베이터 피치]:
- 문제 설명: {기존 제품/서비스가 직면한 문제점 요약}
(주요 문제점을 2~3문장으로 설명하세요) <예: 기존 건강 관리 앱의 낮은 사용자 참여율과 피드백 부재>
- 솔루션: {신제품 개발 의도 및 솔루션 방향}
(제시할 해결방안이나 신제품의 차별점을 간략하게 기술하세요) <예: 맞춤형 건강 관리와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기능 도입>
문제인식 (Problem) [선택적 섹션]
1. 외적 동기 (시장 상황 및 기회) (최근 시장 동향과 기술 발전에 따른 기회를 기술합니다)
• {시장 트렌드, 경쟁 상황, 기술 혁신 등} (필요한 시장 분석 내용을 입력) <예: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기술 발전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수요 확대>
2. 내적 동기 (회사 내부 역량 및 가치) (회사 내부의 강점 및 역량을 기술하세요)
• {경영진의 역량, 기술, 네트워크, 가치관 등} (핵심 역량과 조직의 가치를 서술) <예: R&D 역량 강화, 의료 전문가와의 협업 네트워크 보유>
3. 매출 한계점 및 신제품 개발 필요성 (현재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필요성을 명시합니다)
• {매출 정체, 시장 점유율 하락, 보완해야 할 기능 등} (구체적 지표와 문제점을 기록) <예: 기존 제품 매출 성장률 정체, 경쟁 제품 대비 서비스 기능 부족>
키워드
• {문제 인식, 외적 동기, 내적 동기, 매출 한계점, 신제품 개발 필요성}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세요) <예: "혁신, 참여, 성장, 개선">
4
🍀
1
Share
김지민
안녕하세요 대표님, 오늘 좋은 북콘서트를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하고 많이 배웠습니다!

<프롬프트 구성 순서 관련>
1. 동일한 내용(시스템 프롬프트, 검색된 문서, 질문)이라도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더라구요.
혹시 프롬프트의 구성 순서가 프롬프트를 설계할때 중요한 요소일까요?

<RAG 시스템 - 프롬프트 평가>
2. rag의 프롬프트 결과를 만족도로 평가하기에는 한계(시간, 인력)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자는 도메인(법, 금융, 의학) 지식이 부족하니, 프롬프트 설계는 물론 평가할때 (할루시네이션 유무, intent를 잘 파악, context 활용)기준을 다 체크하기엔 힘듭니다.대표님께서는 어떤 기준과 방법으로 프롬프트 성능을 평가하시나요?

<테스트 케이스 생성>
3. 저는 문서내용 기반으로
사용자 의도를 예측한 질문, 정답 답변(GT), 모델 답변 이렇게 하고 나온 결과를 평가합니다.
프롬프트를 평가할 도메인 (법, 의학)
질문(테스트케이스)을 만드는 것도 일이더라구요.. 저는 llm의 도움을 받지만,, 대표님께서는 테스트 케이스를 직접 만들어서 평가하시나요? 어떻게 하시나요?
위의 질문들은 제가 직접 사내 rag 시스템의 프롬프트를 테스트 하고 평가하면서 겪고 고민하고 있었던 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

2
👍🏻
1
Sujin_Kang
안녕하세요, 지민님
북콘서트에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의 답변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는데요, 저도 고민을 하고 있는 부분인지라, 경험한 것만 말씀드려요.
<프롬프트 구성 순서 관련>
동일한 내용(시스템 프롬프트, 검색된 문서, 질문)이라도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더라구요.
순서가 프롬프트를 설계할때 중요한 요소일까요?
네~ 순서 중요하고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어떤 요소를 어떤 순서에 따라 놓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져요. 예를들어, 번역 같은 경우는 "명령문" -"문서" 의 순서가 정확한 번역의 결과를 얻으니까요. 하려는 과제에 따라, 순서가 참 중요합니다. 그래서, 프롬프트를 어느 정도 제작했다면 요소별 구조테스트를 진행합니다.
<RAG 시스템 - 프롬프트 평가>
2. rag의 프롬프트 결과를 만족도로 평가하기에는 한계(시간, 인력)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자는 도메인(법, 금융, 의학) 지식이 부족하니, 프롬프트 설계는 물론 평가할때 (할루시네이션 유무, intent를 잘 파악, context 활용)기준을 다 체크하기엔 힘듭니다.대표님께서는 어떤 기준과 방법으로 프롬프트 성능을 평가하시나요?
말씀하신대로, 일일이 . 다 체크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이 것도 어떤 task냐에 따라서 평가 기준과 테스트 기준이 다를텐데요. 할루시네이션 유무는, 정답지를 어느정도 만들어두고 생성한 결과와 대조하고 → 도메인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의 검증을 두번 거쳐요. intent-checking 은 llm에 의해 하고 있고, 메트릭스를 그때그때 만들어서 평가하고 있어요. 우선, rag한정하여 말씀드리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최대한 제가 만든 기준에 맞도록 처리했더니 평가가 조금 수월해지더라구요.
<테스트 케이스 생성>
3. 저는 문서내용 기반으로 사용자 의도를 예측한 질문, 정답 답변(GT), 모델 답변 이렇게 하고 나온 결과를 평가합니다.
프롬프트를 평가할 도메인 (법, 의학) 질문(테스트케이스)을 만드는 것도 일이더라구요.. 저는 llm의 도움을 받지만,, 대표님께서는 테스트 케이스를 직접 만들어서 평가하시나요? 어떻게 하시나요?
위의 질문들은 제가 직접 사내 rag 시스템의 프롬프트를 테스트 하고 평가하면서 겪고 고민하고 있었던 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
테스트케이스는 정성적으로 수집한 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좀 고생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테스트 결과를 보는데 작위적인 것을 쓸 수는 없겠더라구요. 여러 케이스별로 수집해두었습니다.
김지민
박사님 답변 감사합니다.
<순서>
역시 순서가 중요하군요
요소별 구조테스트를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평가>
intent-checking 할때 메트릭스를 그때그때 만들어서 한다고 하셨는데, 어떤 메트릭스를 말씀하는 건지 예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테스트케이스>
테스트케이스를 정성적으로 수집하시군요
역시 계속 하면서 느끼는건데 아직까지는 사람의 터치가 많이 필요한것같아요
박사님 덕분에 가려운 곳이 조금 해소되었네요. 물어볼 곳이 없어 막막했거든요.. 감사합니다!
<추가질문>
아 추가적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할때 이런 경험? 팁?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나 유튜브는 없을까요? 북콘서트에서 박사님은 프롬프트 아이디어를 얻는 곳이 논문이라고만 대답 하셨는데, 따로 더 추천해주실 곳은 없을까요? :)
See late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