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경제- 채권 투자 Blog

💭
안녕하세요! 채권 투자에 대해서 쉽게 나누는 블로그입니다!
All
사건
이론
기초
중급
세금
신종 유가 증권
공부를 하다보니, 지난 학기에 배운 신종 유가 증권에 대한 부분이 떠올라서 나눠보려고 합니다. 신종유가증권 (신종자본증권)은 부채와 자본 사이의 독특한 특성을 가진 자산들을 지칭합니다. 특히, 실질은 부채에 가깝지만 이를 자본으로 분류해서 얻는 이점을 위해서 발행합니다. 신종유가증권 발행의 이점 부채비율(B/S)을 낮출 수 있음 자본비율이 중요한 은행, 보험사, 잠식 위기 기업은 자본을 확충할 수 있음 지분을 희석시키지 않고 자본을 조달할 수 있음 이익 증가 : 자본에게 지급한 현금은 이자비용이 아닌 배당으로 처리되므로 절세 효과 : 세법상 신종유가증권의 이자는 손금 산입되므로 신종 유가 증권의 종류 영구채 만기가 없어 자본으로 분류 대부분 5년 뒤 Step-up 조항(금리 가산)과 발행자의 상환권(call)보유로 5년이 되기 전에 콜옵션을 행사하여 조기 상환함. → 사실상 5년 만기 부채 상환우선주 발행자가 현금으로 상환하거나, 보통주로 전환해주는 주식 발행자는 상환우선주에 대한 상환권(call)을 보유하고, 보통주로 전환하는 경우 지분희석 우려로 주주들의 반대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현금 상환 → 사실상 부채
  • 이레
인플레이션과 금리
안녕하세요! 지금 이미 물가가 많이 올랐지만, 코로나 이후 한창 물가가 상승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이때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했었는데요, 이 같은 경제 정책의 이유를 살펴봅시다.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 명목 이자율 일반적으로 보는 표면적 이자율 실질 이자율 실제로 구매력의 상승을 나타내는 이자율 명목 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것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률 = 동일한 화폐의 구매력 하락 관계 /이미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플레이션 때 금리를 올리면 '물가를 억제할 수 있다'고 말하는? 금리 상승으로 인한 저축량 증가 → 소비 감소, 시중의 자금 감소 금리 상승으로 인한 대출의 어려움 → 소비, 투자 감소 금리 상승으로 인한 환율 하락 (원화 평가 절상) 기대 인플레이션 억제 → 물가 억제에 대한 정책적 의지 표현 → 사람들의 기대 인플레이션 저하
  • 이레
채권 운용 전략
적극적 채권 운용 전략 수익률 예측 전략 소극적 채권 운용전략 만기보유 사다리형만기 듀레이션면역전략 현금흐름일치전략 채권인덱싱
  • 이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