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가 더 나은 삶을 구상하고 이를 향한 목표를 세우지 못한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 무력감을 불러일으켰다. 자살의 매력에 대항하는 살만한 삶에 대한 목표가 없다면 치료에서 매우 큰 아군을 잃은 것이나 다름없다.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미래 상태를 그릴 수 있는 기술, 그 미래로 이끌어 줄 수 있는 현실적인 목표들을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은 결국 집행 기능(excutive functions)으로 알려진 더 큰 능력군에 포함되는 기술들과 유사한 것들이다. 실제로 원하는 미래 상태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가능하다면 시각적으로)은 무언가를 해내는 과정에서 다른 모든 집행 기능들을 징집하는 집행 기능이다(그 이 후의 다른 집행 기능에는 목표를 위해 자원을 모으고, 목표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방해가 될 수 있는 다른 일들을 금하고, 다양한 장애물을 마주할 때 문제 해결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인지적 유연성을 유지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긍정적이고 동기부여가 되는 미래상을 그릴 수 없고 그런 미래상을 향한 목표들을 수립할 수 없는 상태를 능력 부족 상태로 개념화할 때 능력 향상 또는 기술 훈련이라는 친숙한 DBT 과제를 중심으로 우리의 생각과 개입을 정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