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커리큘럼 소개

2기 때 진행될 커리큘럼에 대해 소개하는 페이지입니다.

PART 2. 비즈니스 및 창업

Created by
  • 이기혁
Created at
주차
내용
미니 과제
0
OT(1/11) - 오프라인
1
최신 창업 트렌드 및 창업 사례 소개(1/16) - 오프라인
최근 2년 이내 창업 성공 사례를 3가지 조사하여 성공 요인 분석 보고서 작성
2
문제 정의와 아이디어 발굴(1/23) - 오프라인
일상 속에서 발견한 3가지 문제를 정의하고, 각 문제에 대한 간단한 해결 아이디어 제안
3
시장 조사와 고객 분석(2/6) - 온라인
목표 시장의 크기와 성장률 데이터를 조사하여 보고서 작성
4
경쟁사 분석과 기회 탐색(2/13) - 온라인
경쟁사 3곳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우리 서비스/제품의 기회 요소 3가지를 제안
5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MC) 구축(2/20) - 온라인
BMC 각 항목에 들어갈 내용을 작성하고, 팀원 간 피드백을 받아 수정안 작성
6
린 스타트업 방법론(2/27) - 온라인
"가설-실험-피드백" 루프를 사용하여 현재 아이디어 중 하나에 대해 실험 계획서 작성
7
고객 검증(Customer Validation) (3/6) - 온라인
가설 검증을 위한 질문 리스트를 작성하고, 최소 5명의 잠재 고객과 인터뷰 후 결과 요약
8
마케팅 전략 설계 (3/13), - 온라인
IA 및 기능명세서 작성 (3/13) - 온라인
타겟 고객층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메시지 3가지를 제안하고, 각 메시지에 따른 마케팅 채널 선정
IA(Information Architecture) 다이어그램 제작 후, 각 기능의 명세서를 작성하고 팀원과 공유
9
중간 보고회 (3/20) - 오프라인
중간 보고 자료 제작
10
MAKE 자동화 특강(3/27) - 온라인
11
MVP 도출 (4/3) - 오프라인
핵심 기능 3개를 우선순위로 정하고, 이를 구현한 MVP 프로토타입 제작
12
UI/UX 설계 (4/10) - 오프라인
사용자 여정 지도(User Journey Map)를 작성하고, 사용자 2명 이상의 피드백 반영한 수정안 제출
13
최종 프로젝트 준비(1) (5/1) - 오프라인
서비스/제품 프로토타입의 주요 흐름을 1분 내 설명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 연습. 대본 작성 포함
14
최종 프로젝트 준비(2) (5/8) - 온라인
경쟁사와의 차별화 포인트를 3가지 이상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 방향 도출
15
최종 프로젝트 준비(3) (5/15) - 온라인
사용자 피드백 설문지를 작성하고, 최소 5명의 테스트 사용자에게 배포 후 결과 분석 보고서 작성
16
2차 중간 점검 (5/22) - 오프라인
중간 점검 회의 자료 제작(프로젝트 진행 상황, 문제점, 해결 방안, 다음 단계 포함). 피드백 사항 반영 계획 수립
17
최종 프로젝트 준비(4) (5/29) - 온라인
최종 프로젝트의 주요 KPI 3개를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구체적인 방법과 도구를 문서화
18
최종 프로젝트 준비(5) (6/5) - 온라인
최종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정리하고 시각화하여 주요 인사이트 3가지 도출
19
모락모락 IR 피칭데이 (6/26) - 오프라인
자신의 창업 아이디어를 10분 발표 자료로 요약하여 PT 제작 , 예상 질문 리스트 작성 및 답변 준비
20
최종 보고회 (7/3) - 오프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