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Home
Micromeritics Educational Programs
Tech Workshop 일정
Tech Talk & Insights
Application Note
Application Note
Subscribe

Application Note

당사의 어플리케이션 팀이 발행하는 Application Note를 소개합니다. 기술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접목시켜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All
배터리
BET
비표면적
표면적
리튬이온
물리흡착
음극재
양극재
수율
전기차
CCUS
탄소포집
탄소활용
탄소저장
파과
흡착
탈착
breakthrough
dkswjdtjd
안정성
유연성
[Application Note 3] Breakthrough 분석기에서 다양한 압력 옵션들이 탄소 포집 분석에 미치는 영향
등온선은 일반적으로 정적 흡착 측정을 사용하여 수집하는데, 이는 파과 시스템에서 등온선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보다 쉽고 빠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적 측정은 흐름이나 가스 불순물을 모방할 수 없으므로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압력에서 획기적인 데이터를 수집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이 어플리케이션 노트에서는 압력 변화가 물질에 흡착되는 양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압력에서 파과 곡선을 측정하여 등온선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파과 분석을 통해 결정된 등온선은 정적 흡착 측정을 통해 생성된 등온선과 정확한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흐름의 영향은 특히, 압력 강하 또는 질량 전달 제한이 관련된 경우에 흡착 등온선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완전 흡착: 파과 컬럼의 유출구에서 아무것도 검출되지 않도록 흡착제가 흡착 기체를 완전히 흡착한 단계 파과: 흡착 기체가 파과 칼럼의 유출구에서 먼저 검출, 기체가 계속 흡착되지만 흡착제가 파과 컬럼으로 들어가는 기체를 전부 흡착하지는 못하는 단계 포화: 흡착제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더 이상 흡착 기체를 흡착할 수 없는 단계, 기체가 컬럼을 자유롭게 통과함 https://micromeritics.com/resources/high-pressure-breakthrough-analysis-influence-of-pressure-on-carbon-capture
  1. CCUS
  2. 탄소포집
  3. 탄소활용
  4. 탄소저장
  5. 파과
  6. 흡착
  7. 탈착
  8. breakthrough
  9. 안정성
[Application Note 2] 리튬 이온 배터리 전극 제조의 최적화 과정 - 음극 분말 특성화 사례 연구
리튬이온 배터리는 재생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산업 전기화 솔루션으로 향하는 흐름 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첨단 기술입니다.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전력 밀도, 긴 사이클 수명으로 인해 리튬이온 배터리의 채택이 증가했으며 자동차, 그리드 에너지 저장 장치, 가전제품에 적용되어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이크로메리틱스의 FT4 분말 레오미터 ®는 습식 및 고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전체 전극 제조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기기입니다. 제공되는 종합적인 분말 흐름 분석은 배터리 효율을 개선하고, 전극 패킹 밀도를 최적화하며,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습식 공정에서 슬러리 응집 및 분산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어플리케이션 노트에서는 활성 물질 슬러리를 사용하는 습식 공정에서 전극 수율을 개선하기 위한 사양 개발 시, FT4 분말 레오미터 ®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그림 1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을 보여줍니다.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은 코팅, 캘린더링 및 건조 단계에 앞서 슬러리로 처리됩니다. 이러한 후속 단계는 공정 시작 시 생산된 슬러리의 품질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슬러리 특성은 혼합 과정에서 활성 재료, 바인더, 용매의 거동에 따라 달라집니다. 높은 수율을 보장하기 위한 몇 가지 주요 특성은 입자의 미세도, 점도, 고체 함량입니다. 최종 고품질 제품을 위해서는 응집을 최소화하면서 고체 함량(활성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어플리케이션 노트는 FT4 분말 레오미터 ®가 배터리 전극 재료의 주요 특성을 측정하여 강력한 분말 사양을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https://micromeritics.com/resources/optimizing-li-ion-battery-electrode-manufacturing-yield-case-study
  1. 배터리
  2. BET
  3. 비표면적
  4. 표면적
  5. 리튬이온
  6. 물리흡착
  7. 음극재
  8. 양극재
  9. 수율
  10. 전기차
[Application Note 1] 첨단 배터리 음극 특성 분석-가스 흡착 BET 표면적 및 DFT 표면 에너지 활용
리튬이온 배터리는 재생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으로, 에너지 전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첨단 기술입니다.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수명, 안전성 향상으로 인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그리드 에너지 저장, 가전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이 향후 몇 년 동안 계속해서 성장을 주도할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음극은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로, 흑연은 저렴한 비용, 풍부함, 무독성,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해 여전히 주요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그래핀과 산화 그래핀과 같은 대체 소재가 연구되고 있습니다.​ 해당 Application Note 안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마이크로메리틱스 물리흡착 장치를 사용하여 이 세 가지 소재를 분석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극 소재인 흑연의 BET 표면적과 DFT 표면 에너지 분포를 특성화하고 다른 대체 음극 소재와 비교했습니다.​ 연구들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 및 결과는 하기 Application Note를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micromeritics.com/resources/characterizing-advanced-battery-anodes-with-gas-adsorption-bet-surface-area-and-dft-surface-energy-2
  1. 배터리
  2. BET
  3. 비표면적
  4. 표면적
  5. 리튬이온
  6. 물리흡착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