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생각의숲 in Boin High School

관심을 가져주신 분들을 위한 상세한 설명!
꼼꼼히 읽다보면 좋은 일이 생길지도??!
추가로 궁금한 점들은 바로 입력해주세요!
📚
프로그램 진행 기간
2025년 1월 3일 ~ 2025년 2월 28일
주 4회, 총 33회 진행
연휴 기간(1월 28일 ~ 30일)에는 비대면 과제 제출로 대체 예정
📚
회차별 지문
📚
교재 디자인
📚
Event
1.
아래의 지문을 읽고 제시된 서술형 답안을 생각해보세요!
2.
인스타그램 @literable_official을 팔로우한 뒤 DM으로 답안을 보내주세요!
3.
보내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보내드립니다!
고2_학력평가_2004_6_인문_[조한욱, 「역사학은 문학인가 과학인가」]
19세기의 역사가 매콜리는 역사학이 이성과 상상력이라는 대립되는 두 지도자의 지배를 번갈아 가며 받고 있기 때문에 진정 위대한 역사가가 되는 일이야말로 성취하기 어려운 이상이라고 설파(說破)하였다. 매콜리의 이러한 언급은 역사학에 내재하는 문학성과 과학성이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과학의 시대였던 17세기의 대표적 사상가 데카르트는 역사학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데카르트의 견해에 따르면, 인간의 기억은 시간이 지날수록 희미해질 수밖에 없으며 역사 서술은 이러한 인간의 기억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역사가들 또한 자신의 민족사를 위대하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채색하고 과장하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역사 서술의 사실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언제 어느 곳에서나 변함이 없는, ‘명백하고 확실한’ 지식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았던 데카르트에게, 특정의 시간과 장소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는 역사학은 시공(時空)을 초월하는 진리가 될 수 없기 때문에 근거가 의심스러운 학문이었다.
고대 그리스의 위대한 역사가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에 대한 후대의 평가가 바뀌게 된 과정은 역사 서술에서의 문학성과 과학성의 대립상을 잘 보여 준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전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설명하면서 신화와 전설 같은 요인을 배제하려고 노력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헤로도토스를 흔히 ‘역사학의 아버지’라고 일컫는다. 그런 한편 헤로도토스에게는 ‘거짓말쟁이의 아버지’라는 명예롭지 못한 명칭이 붙기도 했다. 이야기체 역사에 재능을 보였던 그의 글에는 여전히 허무맹랑하게 보이는 기록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 평가를 내리는 사람들은 투키디데스야말로 ‘과학적 역사학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한다. 투키디데스는 인간의 본성과 정확한 사료(史料)를 근거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분석함으로써 역사에서의 일반적 법칙을 세우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투키디데스의 역사 서술 방식은 곧 전범(典範)이 되어 많은 역사가들이 그를 모방하여 역사를 서술했다. 당시의 역사가들은 이러한 역사 서술을 통해 역사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황이 전개되었다. 전쟁의 복잡하고 미묘한 원인을 분석하고 정확하게 서술하는 일은 당시 일반 대중의 의식과는 유리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도 그런 일은 벌어지고 있다. 역사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역사학을 전공으로 연구하는 학자들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이 그러한 대중들의 관심을 충족시켜 주고 있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역사의 문학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과학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역사학 자체가 ‘지식을 위한 지식’을 추구하는 학문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괴테는 ‘나의 행동의 폭을 넓혀 주거나 직접적으로 생기를 불어넣어 주지 못하면서 단지 지식만 전달하는 모든 것’을 증오한다고 말했다. 숨결과 혈기를 지닌 개인들이 역사를 구성하는 최소의 단위라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역사가 우리의 삶 자체를 고양시켜 주기 위해서는 문학적 수사법이 특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데카르트가 역사학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이유를 설명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