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리 우체국 모임 소개 
Show more

노션 강의

All
예제로 익히는 노션
알아두면 쓸모있는 노션 잡학지식
리스트 관련 함수 - current
데이터베이스 속성 > 수식 > 리스트 관련 함수 > current current가 뭐지? current는 노션에서 수식을 입력할 때 수식 목록에는 나오지 않는 형태의 값입니다. 직관적으로 설명하자면 수식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이죠. 보통 리스트(목록)에 있는 값에 특정한 조건을 부여해주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 잠깐! 노션의 속성에서 리스트가 될 수 있는 항목은 대표적으로 관계형 속성과 롤업 속성이 있습니다. filter라는 함수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filter는 리스트의 항목에서 부여한 조건이 참인 값을 모두 반환합니다. 간단한 함수를 봅시다. filter([1, 2, 3], current > 1) 위 함수는 "1, 2, 3를 보유하고 있는 리스트에서 1보다 큰 값을 반환한다."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위 함수는 1보다 큰 숫자인 [2, 3]을 반환하게 됩니다. current는 이처럼 부등호를 사용하여 숫자와 관련된 조건을 부여할 수도 있지만, 그 외에도 텍스트, 날짜, 체크박스 등 다양한 형식의 조건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current는 다른 방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함수를 사용할 때 관계형 속성으로 연결된 페이지의 다른 속성값을 불러오려면 속성에서 롤업 속성을 추가한 다음, 그 롤업 속성을 수식에서 선택해주어야 하는데요. 만약 리스트와 관련된 함수를 사용할 때에만 롤업 속성의 값이 필요하다면 속성을 추가하는 대신, current를 사용해도 된답니다. 이건 예제에서 좀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current를 사용할 수 있는 노션 속성 함수 리스트 내의 항목 반환 find(list, condition) 조건이 TRUE를 반환하는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를 반환합니다. find(["a", "b", "c"], current == "b") = "b" filter(list, condition) 조건이 TRUE인 리스트의 값을 반환합니다. filter([1, 2, 3], current > 1) = [2, 3] 숫자 반환 findIndex(list, condition) 조건이 TRUE로 평가되는 리스트에서 첫 번째 항목의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findIndex(["a", "b", "c"], current == "b") = 1 count(list, condition) 조건이 TRUE인 목록의 요소 수를 반환합니다.
  1. 예제로 익히는 노션
  2. 알아두면 쓸모있는 노션 잡학지식
예제로 익히는 노션
저는 종종 트위터(현X) 검색창에 노션을 입력해보고는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노션을 어떻게 쓰고 있는지 궁금해서요. 트위터에서 노션을 검색했을 때 가장 많이 보이는 글은 자신의 노션을 소개하는 글(프로필, 자작 캐릭터 설명, 판매중인 물품이나 커미션 홍보 등)이고, 그 다음으로 많은 글이 노션을 쓰시는 분이 노션을 권유하는 멘션, 그와 비등비등하게 많은 글이라고 하면 "노션 도대체 어떻게 쓰는 거냐 너무 어렵다"라는 내용이에요. 많은 사람들이 노션을 어렵다고 말합니다. 저는 '노션이 어렵다.'라는 말이 설마하니 정말로 노션의 기능이 어렵다는 얘기일 거라고는 생각을 하지 못했어요. 노션을 어떻게 사용할지 갈피를 못 잡겠다거나, 활용 방법을 모르겠다거나 그런 얘기인줄로 알았죠. 그도 그럴 것이, 노션은 쉽습니다. 쉽다 어렵다라는 말은 다소 주관적이라고 느껴질 수 있는 표현이지만 객관적으로 그러합니다. 엑셀과 비교하면 수식은 간편하고 조작법도 간단해요. 비교적 최근에 나온 웹 문서 프로그램치고는 인터페이스가 여타 다른 문서 프로그램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기능 자체가 어렵지는 않아요. 단축키는 알면 좋지만 몰라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죠. 그렇다면 어째서 사람들이 노션을 그렇게나 어렵다고 느낄까요? 저는 이를 "각각의 기능 사용법을 알아도 어디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모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노션 사용법 기초 강의 영상을 볼 때는 아하~ 하고 이해되는 것 같았던 내용들이 막상 내가 원하는 페이지를 구성하려고 하거나 남들이 만든 템플릿을 사용해보려고 하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할지 감을 못 잡는 것이죠. 그래서 준비해보았습니다. 예제로 익히는 노션 시리즈! ⚠️이 시리즈는 꾸준히 업데이트됩니다. 밑줄이 그어진 글을 누르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 밑줄이 없는 글은 작성 예정인 글이며, 아래 적힌 내용들은 수정되거나 삭제될 수 있습니다. 글은 순서와 상관 없이 올라옵니다. 목차 데이터베이스 보기 보기 표 리스트 칸반보드 갤러리 캘린더 타임라인 피드 차트 필터 정렬 그룹화 활용 방법 데이터베이스 속성 관계형
  1. 예제로 익히는 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