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관련 함수 - current
데이터베이스 속성 > 수식 > 리스트 관련 함수 > current current가 뭐지? current는 노션에서 수식을 입력할 때 수식 목록에는 나오지 않는 형태의 값입니다. 직관적으로 설명하자면 수식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이죠. 보통 리스트(목록)에 있는 값에 특정한 조건을 부여해주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 잠깐! 노션의 속성에서 리스트가 될 수 있는 항목은 대표적으로 관계형 속성과 롤업 속성이 있습니다. filter라는 함수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filter는 리스트의 항목에서 부여한 조건이 참인 값을 모두 반환합니다. 간단한 함수를 봅시다. filter([1, 2, 3], current > 1) 위 함수는 "1, 2, 3를 보유하고 있는 리스트에서 1보다 큰 값을 반환한다."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위 함수는 1보다 큰 숫자인 [2, 3]을 반환하게 됩니다. current는 이처럼 부등호를 사용하여 숫자와 관련된 조건을 부여할 수도 있지만, 그 외에도 텍스트, 날짜, 체크박스 등 다양한 형식의 조건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current는 다른 방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함수를 사용할 때 관계형 속성으로 연결된 페이지의 다른 속성값을 불러오려면 속성에서 롤업 속성을 추가한 다음, 그 롤업 속성을 수식에서 선택해주어야 하는데요. 만약 리스트와 관련된 함수를 사용할 때에만 롤업 속성의 값이 필요하다면 속성을 추가하는 대신, current를 사용해도 된답니다. 이건 예제에서 좀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current를 사용할 수 있는 노션 속성 함수 리스트 내의 항목 반환 find(list, condition) 조건이 TRUE를 반환하는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를 반환합니다. find(["a", "b", "c"], current == "b") = "b" filter(list, condition) 조건이 TRUE인 리스트의 값을 반환합니다. filter([1, 2, 3], current > 1) = [2, 3] 숫자 반환 findIndex(list, condition) 조건이 TRUE로 평가되는 리스트에서 첫 번째 항목의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findIndex(["a", "b", "c"], current == "b") = 1 count(list, condition) 조건이 TRUE인 목록의 요소 수를 반환합니다.
- 예제로 익히는 노션
- 알아두면 쓸모있는 노션 잡학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