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Predicting Depression in Screening Interviews from Interactive Multi-Theme Collabor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Xianbing Zhao, Yiqing Lyu, Di Wang, Buzhou Tang

개요

본 논문은 우울증 조기 진단을 위한 상호작용적 우울증 탐지 프레임워크(PDIMC)를 제안한다. 기존의 우울증 탐지 연구는 다층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임상 면접 대화의 계층적 구조를 포착하지만, 주제 간/내 상관관계를 명시적으로 모델링하지 못하고 임상의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PDIMC는 컨텍스트 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임상 면접의 주제를 식별하고, 주제 간/내 상관관계를 모델링한다. 또한, AI 기반 피드백을 통해 임상의의 관심사를 반영하여 주제 중요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DAIC-WOZ 데이터셋에서 기존 최고 성능 모델 대비 35% 및 12%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여 주제 상관관계 모델링과 상호작용적 외부 피드백 통합의 효과를 보여준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임상 면접 대화의 주제 간/내 상관관계를 명시적으로 모델링하여 우울증 탐지 성능을 향상시켰다.
AI 기반 피드백을 통해 임상의의 관심사를 반영하여 상호작용적인 우울증 탐지가 가능해졌다.
DAIC-WOZ 데이터셋에서 기존 최고 성능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였다.
한계점: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일반화 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다양한 임상 환경 및 데이터셋에 대한 적용성 연구가 필요하다.
AI 기반 피드백의 신뢰성 및 해석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