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반성이 없는 삶은 파국이다
대학원에 다녀본 적은 없지만 대학원생 조크를 몹시 좋아한다. 대부분은 기저에 자학이 깔려있는 블랙코미디이기 때문인데,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학사: 전공에 아는 게 좀 생겼다 자부함 석사: 공부를 더 해보니 모르는 게 많다는 걸 발견함 박사: 내 전공에 모르는 것만 있음 교수: 나도 내가 뭘 연구하는지 모르는 상태 게으른 학생이래도 넉넉하게 대학교를 졸업했을 만큼의 시절을 직장인으로 살아왔다. 이쯤 되면 하고 있는 일엔 정통해 있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다. 일을 하면 할수록 모르는 것만 잔뜩 있을 뿐이지, 당장 다음 주에 하게 될 업무도 자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딱 석사 정도의 마인드랄까. 이제야 내가 이 일에 대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훨씬 많다는 사실을 제대로 깨닫고 있다. 요즘엔 맞닥뜨리는 대부분의 일을 두곤 ‘내가 과연 해낼 수 있을까’를 의심부터 한다. 책상에 앉은 채 입을 다물고 있지만, 코어 감정이 ‘불안’인 나의 뇌는 바쁘게 요동친다. ‘아마 제때 해내지 못하고 손을 빌리진 않을까. 그렇게 나의 무능을 또다시 증명해 보이진 않을까. 이 일이 내게 맞는 옷인지 주말엔 시간을 들여 고민해 봐야지…’ 그런 고민들을 하다가 밀린 업무를 간신히 해치우고 만다. 나는 어째서 매번 스스로를 과소평가하며 박해하는 걸까. 그런 반성을 몇 차례 시도해 보기도 했지만 이내 본인을 과대평가하는 것보단 이 편이 낫다고 결론을 내린다. ‘어라? 일이 쉽네?’라는 생각을 품을 때면 여지없이 실패했으니까. 방심은 금물이다. 물론 늘 해왔던 대로만 해도 충분한 일이 있겠지만, 적어도 내가 하는 일은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관성처럼 지난 업무와 같은 흐름으로 적어냈다간 촌스러운 기획이 되고 마니까. 적어도 지난달의 나보다는 조금 나아진 아이디어를 내밀어야만, 옅게나마 회사에서 나의 존재 이유를 증명해낼 수 있다. 최근에서야 자각한 사실은 서른이 넘으면 남에게 아쉬운 소리를 들을 일이 없어진단 거다. 몹시 공포스러운 일이다. 몇 년 차가 되었으니 알아서 이 정도는 해내겠지, 하는 기대감이 서려있을 테고. 당장 나조차도 그렇다. 요즘엔 구태여 타인에게 쓴소리를 건네지도 않는다. 관계를 껄끄럽게 하고 싶지도 않고 불편함을 감수해 피드백을 주더라도 쓸모가 있을까 싶어서다. 수십 년은 족히 쌓아왔을 고집을 몇 마디 말로 뚫어낼 리 만무하단, 차라리 내가 하고 말지란 생각에 체념하게 된다. 오히려 가망이 없을 때 침묵하게 된다는 사실이 나를 더욱 무섭게 만든다. 내일 업무에 대해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면? 그 이유는 아마도... 이제는 나이를 적잖게 먹고도 스스로를 ‘능력자’라 자칭하는 사람을 만나게 되면 뭐랄까. 사기꾼이거나 메타인지 체계가 박살 났거나 둘 중 하나가 아닐까 의심부터 하게 된다. 이 나쁜 예감은 틀린 적이 없었다. 자기에 도취돼 반성이 없는 삶은 사람을 구리게 만들기 마련이다. 적어도 나는 무능한 동시에 못난 인간이고 싶진 않다. 자기반성이 없는 삶은 파국이다. 최악보다는 차악을 선택하겠다 다짐하며 오늘도 자신감이 박살 난 채로 출근한다. 못해 먹겠다며 한참 엄살을 떨었지만. 뭐, 늘 그래왔듯 어떻게든 해내고 말겠지. 물론 이게 최선일 리는 없겠지만, 자기반성이 있는 한 적어도 최악은 아닐 것이다. 발행일 2024년 10월 23일 글 파주
- 풀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