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시, CIT에 접속 하셨나요? 
CIT 웹사이트 바로가기

Spotlight

지식은 나누고
인사이트는 교감하고
이야기는 듣는 것.

컴패노이드 랩스는 창업자가 끊임 없이 지식을 습득하고 인사이트를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무엇보다 이야기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실행에 필요한 지식과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창업자들과 함께 실행 속에서 다시 지식을 창출하고 인사이트를 교감합니다.
All
Notice
Column
Field
Insight
Think
Talk
샘 알트만의 AI Singularity에 대한 생각을 공유합니다.
안녕하세요. UX 혁신 지주회사 Companoid Labs 의장 장진규 입니다. 지난 Spotlight에서 능동적인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이끄는 프로덕트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뒤, 많은 분들이 앞으로 변할 미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물어봐 주셨습니다. 어쩌면 모두가 현재를 살면서 포스트 모바일 시대에 대한 이야기는 미래를 이야기 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의 전유물처럼 여겼는데, AI가 진정 이러한 미래를 고민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기를 기하급수적으로 당기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샘 알트만의 이야기는 흥미롭습니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에 작성한 The Gentle Singularity에서 AI의 성능 수준이 이미 특이점에 도달했으며, 인간보다 뛰어난 지적 능력을 갖춘 최초의 존재로서 인정하고 그것을 사회적, 경제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최소한 전세계적으로 가장 센세이션한 AI 기업이자 foundation model을 개발하는 Open AI의 CEO라는 측면에서 그가 말하는 특이점이 지능 자체의 특이점인지, 아니면 이로 인한 변화의 특이점인지에 대해서는 관점에 따라 그 해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저는 샘 알트만의 특이점에 대한 관점에서 빠진 것에 주목합니다. 바로 직전 Insight Letter에서도 언급했지만, 모든 지능(intelligence)은 그에 준하는 인터페이스를 갖춘 vehicle (한국어로 적절한 표현을 찾지 못했습니다)을 필요로 합니다. 인간의 뇌가 거대한 AI 모델을 상징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몸(body)으로 감싸고 적합한 인터페이스로써 얼굴과 눈, 코, 입, 귀, 그리고 신체 부위를 활용한 인터랙션을 타인과 합니다. 즉, 우리 몸은 지능을 발현하는 하나의 vehicle인 셈입니다. 우리는 수십년동안 컴퓨터를 디자인 해왔고, 컴퓨팅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며 UX를 고민해 왔습니다. 사용자로써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관점에서 UX를 설계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그리 혁신적이지 않은 일이 되었습니다. 모바일 시대 15년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체계화하고 안정적으로 만드는데 집중했고, 사용성은 극대화 되었으며 더이상 새로움이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AI는 이 모든 것을 바꾸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AI가 인터페이스와 이를 포괄하는 vehicle의 변화 없이는 특이점을 가져다줄 수 없으며, 사용자 혹은 공존하는 동반자로서 AI와 상호작용 하는 방식을 새롭게 디자인 하는 것으로부터 특이점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모바일 시대의 UX 지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거나 생각할 수 없는 문제와 기회들이 산재한 지금, 우리가 과연 이러한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PO, PM, UX 디자이너, UI 디자이너, 기획자, 개발자 등 대부분의 직업인으로 살아가는 여러분들에게 지금의 시대적 변화는 엄청난 기회가 되기도, 혹은 직업을 잃게 되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 빈 말은 아닌 이유입니다. 지난번에도 언급하였듯, 자동차가 발명되어 소위 자동차 시대가 열릴 때 마차를 끌던 마부처럼 관성대로 일하고 있다면,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업무와 커리어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을 것입니다. HCI 칼리지 제8기가 다른 기수, 다른 HCI 개론 대비 크게 바뀌는 이유는 바로 이 것 때문입니다. 저는 진심으로, 위기와 기회의 순간인 지금 여러분들과 함께 미래의 UX와 HCI에 대해 논하고 훌륭한 UX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Chairman at Companoid Labs Dean at CIT
Jun 18, 2025
  1. Think
장진규 의장
AI와 상호작용 하는 프로덕트 디자인, 여러분은 어떻게 고민하고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UX 혁신 지주회사 Companoid Labs 의장 장진규 입니다. 최근 MCP, A2A와 같은 기술 키워드를 들어보셨나요? 쉽게 설명하자면, MCP나 A2A와 같은 기술은 AI와 상호작용 하는 방식에 있어 유연함을 더해줄 수 있는 연결성 높은 UX를 설계하는데 중요한 프로토콜 기술입니다. 그런데 사실 현재 AI Agent 혹은 AI Service의 대부분은 conversational interface 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화형 이라는 것 자체가 주는 의미가 몇 가지 있는데, 무엇보다 인간이 가진 대화를 LLM이 비교적 사용자 수용도가 높은 수준으로 생성해줄 수 있게 되면서 conversational interface 의 존재 가치를 극대화 시켜주었다는 점이 가장 큰 의미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interface 만으로는 매우 제한적인 정보 재생산 만이 가능하고 결국 상호작용 접근이 가능한 대상으로서의 AI Agent 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one (or two?) more thing 이 필요합니다. 지난 15년 동안 지배했던 모바일 시대의 디자인이 종말을 고하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정보 재생산을 통해 드러나는 인터페이스가 대화형에만 머물러서는 지능을 가진 에이전트의 존재 가치를 높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보다 유연하고, 능동적인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이끄는 프로덕트 디자인이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여러분들은 무엇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아직도 모바일 시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UX 설계, 기획, 창업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이제 모바일 앱, 모바일의 시대는 끝이 나고 있습니다. 자동차 시대가 열릴 때 마차를 끌던 마부처럼 남아계신다면, 미래 커리어를 보장할 수 없습니다. 변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앞으로 HCI 칼리지에서, 그 미래를 펼쳐보세요. 고맙습니다. Chairman at Companoid Labs Dean at CIT Dr. Alan Jinkyu Jang
Jun 10, 2025
  1. Think
장진규 의장
UX를 다루는 모든 이가 Project Ownership을 갖게 되는 시대
안녕하세요. UX 혁신 지주회사 Companoid Labs 의장 장진규 입니다. 최근 MS가 7,000여명 수준의 감원을 발표했고, Salseforce 역시 1,000여명을 감축한다고 밝혔습니다. 두 회사 모두 최고의 실적을 올리고 있음에도 그만한 인원이 감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이러한 의사 결정에서 중요한 키워드는 '생산성'과 '업무 다각화' 입니다. Global Big-Tech의 이야기 이지만 스타트업 뿐만 아니라 대기업도 AI를 활용해 많은 측면에서 효율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점조직처럼 수 많은 사람들이 일을 나누어 효율화를 추구해 온 대기업들이, 이제는 한 사람이 여러 업무를 전문성 있게 소화할 수 있게 되면서 조직 효율화의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사람들 간의 연결성과 화합(harmonize)적 업무 방식에서 드는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이고 한 사람이 일의 연속성을 가져가면서 전문성을 놓치지 않는데 AI를 활용하는 차원으로 갈 수 있게 되자, 10명이 하던 일을 5명, 3명으로 줄이고 조직을 작게 만들어 커뮤니케이션 밀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운영하는 것이죠. UX와 유관한 대부분의 직무 분야에서 우리는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더이상 UX 리서처, UI 디자이너가 각각의 업무를 하지 않습니다. UI 디자이너는 UX 리서처의 역할을 충분히 전문성 있고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는 코워커(co-worker)로서 AI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UX 리서처는 UI 디자이너나 기획자가 디자인 하는 프로토타입을 직접 디자인 할 수 있는 역량을 AI를 통해 발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working prototype의 경우 바이브 코딩을 베이스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졌습니다. 이것은 정말 큰 변화 입니다. UX를 다루는 유관 직군은 vertical talent가 매우 중요했습니다. 잘하는 영역이 확실하게 있는 직무로 포지션이 구성되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 모두가 Project Ownership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UX 리서처가 UX 리서치를 하고 여기서 얻은 인사이트로 UI 디자인을 할 수 있으며, 개발도 가능해 졌습니다. 개발자가 UX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저들에게 보다 친화적인 UX를 설계한다면 AI가 역시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말 그대로 문제 해결 어젠다를 누가 가지느냐에 따라, UX를 디자인 하기 위한 모든 일을 바로 그 사람이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들에게 정말 도전적인 일이 될 것입니다. 끊임 없이 학습하고 소통하는 자세를 가져야만, 하다 못해 AI가 여러분들의 능력을 증강해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UI 디자이너니까 UI 디자인만 잘하면 되지 라는 생각이 더이상 통하지 않는 현재,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계신가요? Chairman at Companoid Labs Dean at CIT Dr. Alan Jinkyu Jang
Jun 5, 2025
  1. Think
장진규 의장
[HCI Companion Day #1] AI,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AI로 인한 변화를 어떻게 체감하고 계신가요? AI 기술이 빠르게 일과 삶을 바꾸고 있는 지금, 우리는 어떤 변화를 체감하고 있을까요? HCI 컴패니언 데이를 준비하며, 저희는 먼저 실무자, 연구자, 학생, 교수님 등 여러분께 'AI로 인한 변화를 어떻게 체감하고 계신가요?'라는 질문을 드렸습니다. 그리고, 모아진 답변은 크게 다섯 가지 흐름으로 나눠볼 수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반복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되면서 일하는 방식이 크게 달라졌고, 이러한 변화가 산업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전환을 이끌고 있음을 체감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AI 도구가 수많은 사용자들의 일상 속 습관으로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관계가 깊어짐에 따라,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새롭게 풀어야 할 과제들이 등장하고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더 나아가, 인간에게 기대되는 가치와 역량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제는 기술 너머의 질문을 던지고 새로운 관점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는 통찰을 공유해주셨습니다. 1) 일하는 방식의 변화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작업보다는 중요한 일에 집중하면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요. PD / 디자이너 AI가 창의적 판단과 기획 영역까지 일부 대체하며 많은 디자인 업무가 빠르게 자동화되고 있는 것을 체감해요. 헬스케어 스타트업 프로덕트 디자이너 업무 시간이 단축되고, 제가 가진 표현의 폭이 확장되었다고 느낍니다. / 에이전시 프로덕트 매니저 실무에서 데이터를 다루며 LLM기술을 적극 활용하고있어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습니다. / 선임 연구원 기획자의 입장에서, 예전에는 '어떻게 만들까'가 주된 고민이었다면, 이제는 '무엇을 어떻게 물어볼까'라는 새로운 고민이 더해진 느낌입니다. 초기 아이디어 스케치부터 세부 기획까지, AI의 도움으로 작업 흐름이 훨씬 유연해지고 사고의 폭이 넓어졌어요. / 프로덕트 디자이너 AI는 저에게 '속도'와 '확장'의 변화를 가장 크게 체감하게 해주었습니다. 예전에는 하나의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면, 이제는 AI 도구를 통해 기획, 시각화, 편집 등 다양한 과정을 훨씬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공예 전공 대학생 일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바뀌고 있는 것 같고, 그로 인한 사고체계나 프로세스도 함께 변하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 파트너 컨설턴트 VP 2) 산업 구조와 생태계의 변화 생산성 증가를 체감하면서 동시에 정말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프로덕트 매니저 MidJourney, Runway, Kling 같은 도구를 통해 이미지와 영상 중심의 콘텐츠 생성이 훨씬 빠르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LLM 기반의 에이전트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창작 및 의사결정 과정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개발 측면에서는 Cursor를 활용해 AI와 협업하며 코드를 작성하고, Blender나 프리미어 같은 디자인 툴에서도 MCP(Model Control Panel)를 이용해 반복 작업과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있습니다. 반복 작업의 프로세스 자동화 흐름이 뚜렷해지며 전 산업에 걸쳐 실질적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실감합니다. / 디자인과 교수 AI 시대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찾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는 모습에 빠른 적응도 필요해요. / IT 스타트업 대표 디지털 웹에이전시 대표로서, 기존의 에이전시 모델로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판단이 듭니다. / 웹 에이전시 대표 3) 기술과의 관계와 일상에서의 습관의 변화 어느새 실제 프로덕트를 설계하고 만드는데 AI 도구를 자연스럽게 찾게 되는 저를 발견하고 있어요. / 교육 스타트업 프로덕트 디자이너
May 27, 2025
  1. Insight
박민아 파트너
역대 최대 규모의 참석자와 함께한 ACM CHI 2025에서 AI 시대 상호작용의 미래를 엿보다
안녕하세요, 컴패노이드 랩스 윤형근 파트너입니다. 저는 이번에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의 최대 규모의 국제 컨퍼런스인 CHI 2025에 참석했습니다. 저희 컴패노이드 랩스에서는 CHI 2025에서 열린 Meta-Research in HCI 워크샵에서 페이퍼를 발표하게 되어 제가 대표로 참석하였고, 워크샵 이후에 열리는 CHI 2025의 메인 컨퍼런스에서도 다양한 연구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CHI 2025는 일본에서 열린 만큼 전체 참석자의 47%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참석하였고, 참석자도 5675명이라는 기록적인 숫자를 달성했습니다. 이 때문에 컨퍼런스 등록이 사전에 마감되는 일이 발생하였고, 그만큼 AI시대의 HC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 분야에 기여하는 연구자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 열려서 그런지 한국에서도 굉장히 많은 참석자가 오셨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고, 한국 기관과 기업의 연구자 분들께서도 페이퍼를 통해 컨퍼런스에 기여를 많이 하셨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큰 규모의 HCI 커뮤니티를 구축한 대표적인 교육 및 연구기관인 KAIST에서는 정규 논문만 46개를 발표했으며,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서강대학교 등의 종합대학, POSTECH, GIST, UNIST, DGIST 등의 과학기술원 및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서도 CHI 2025에 정규 논문, Late-Breaking Work, Interactivity, 워크샵 등으로 상당한 기여를 했습니다. 기업의 경우에는 기관에 비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기여가 있지는 않았지만, 네이버에서 총 8편의 정규 논문을 발표하고, 삼성에서도 정규 논문과 Late-Breaking Work를 발표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저희도 워크샵에서 Position Paper를 발표하면서 일부 기여를 할 수 있어서 기뻤습니다. 이처럼 한국에서도 HCI 분야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번 Spotlight에서는 제가 참여한 워크샵인 Meta-Research in HCI 워크샵에 대한 이야기와 제가 CHI에서 보았던 연구를 위주로 AI 시대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First Workshop on Meta-Research in HCI: HCI 연구를 연구하다. 제가 컴패노이드 랩스를 대표하여 참여하고, 발표했던 워크샵은 "Meta-HCI: First Workshop on Meta-Research in HCI"라는 워크샵입니다(이하 Meta-HCI 워크샵). CHI에서 꽤 많은 워크샵이 매년 주기적으로 진행되는데, Meta-HCI 워크샵은 CHI 2025에서 처음으로 열린 워크샵입니다. 해당 워크샵은 이름 그대로 HCI 분야에 대한 메타 연구를 진행하는 워크샵으로, 쉽게 말하자면 HCI 연구에 대한 연구를 의미합니다. 즉, HCI 연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등 연구 관행에 대해 연구하고, 이에 대해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연구를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워크샵의 개최 목적 중 하나는 HCI 연구에 대한 메타 연구는 아직 CHI를 비롯해 HCI 컨퍼런스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고, 특히 LLM을 비롯한 여러 생성형 AI가 연구에 스며드는 과정에서 연구 프로세스나 연구 관행에 대해 성찰하고, 논의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점에서 굉장히 목적에 공감이 되었고, 특히 컴패노이드 랩스는 HCI와 UX 리서치 프로세스를 개선하는데 관심이 있기에 해당 워크샵에 논문을 내고,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워크샵은 약 30명의 연구자가 참여했으며, 먼저 서로를 소개하는 시간과 키노트로 시작되었습니다. 워크샵답게 일반적인 세션보다 소프트한 분위기에서 2명씩 짝을 지어서 서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모두에게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후에는 ITU-Copenhagen의 Elisa Mekler 교수님께서 "Questionable Meta-Research Practices in HCI"라는 주제의 키노트가 있었습니다. 키노트에서는 메타 연구에 대해서도 수많은 연구 관행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1) 복제가능성과 투명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 2) 연구 관행을 무조건 문제로 바라봄, 3) 다른 분야의 연구 관행을 그대로 이식, 4) HCI 메타 연구에 대한 2차적 영향 무시, 5) 메타 연구의 어조와 표현 방식, 6) 메타 연구가 해결책이라는 사고 방식, 7) 논문과 연구관행이 다를 수 있다는 점 간과 등 7가지의 지점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메타 연구도 돌아볼 필요가 있고, 어쩌면 메타 연구에 대해서도 메타 연구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메타 연구에 집중하다보면, 기존의 연구 관행에 대해서 무조건 비판적으로 바라보거나, 이를 무시하는 경향이 생길 수도 있는데, 이점에 대해서 주의를 주고, 향후 논의에서도 메타 연구를 통해 더 나은 연구와 개선책을 찾는 방향에 집중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준 키노트였습니다.
May 12, 2025
  1. Field
윤형근 파트너

Media

ⓒ2021 - 2025 컴패노이드 랩스 지주회사, 모든 권리 보유.
사업자등록번호 457-86-01970
개인정보보호책임자 박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