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NAVER

NAVER / 브랜드 커넥트, 외부 크리에이터도 가입 가능
네이버가 브랜드 커넥트를 개편.. 브랜드 커넥트는 크리에이터와 캠페인사 간의 제휴 · 협업을 지원하는 플랫폼.. 네이버는 브랜드 커넥트에 가입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를 네이버 인플루언서에서 유튜버 · 인스타그래머 등 외부 크리에이터까지 확대! 또 크리에이터와 캠페인사가 제휴 활동을 관리할 수 있는 공간인 스페이스를 도입.. 하나의 캠페인사 내 다수 팀 또는 브랜드가 스페이스를 만들고 여러 담당자를 스페이스 매니저로 지정해 효율적으로 제휴 업무를 관리할 수 있다고.. 2분기에는 결제 및 정산 시스템도 도입할 예정.. 브랜드 커넥트는 2021년 10월에 출시.. 제휴건수는 누적 2만건이고, 제휴 수익은 누적 103억원 기록.. 현재 11,000명의 네이버 인플루언서와 2,300여개의 캠페인사가 이용 중.. (서울경제)
  • 주식하는_토니
NAVER / 일본에서 글로벌 평균 매출의 1.5배 달성
제페토 일본은 2023년 매출이 전년대비 33% 증가.. 글로벌 평균 매출의 1.5배 이상을 기록.. 특히 캐릭터 꾸미기 횟수 1위, 유료 아이템 구매 수 1위 국가로 등극! 또 팔로우 수, 선물 전송횟수, 메시지 수 등 커뮤니케이션 수치에서도 글로벌 1위 기록! 2023년에 제페토는 산리오 · 진격의 거인 등 일본 내 인기 콘텐츠와 IP 제휴를 맺음.. 메타버스의 아바타는 3차원으로 제공되지만, 제휴 캐릭터는 2D로 제공.. 산리오 제휴 아이템은 144만개 판매, 진격의 거인 아이템 판매량은 2만개 돌파.. 제페토는 2023년에 최대 월간활성이용자수 2,500만명을 기록.. 제페토는 인공지능과 확장현실 등의 기술을 적용하고, 이용자 자체 콘텐츠 제작 환경을 구축할 계획.. (전자신문)
  • 주식하는_토니
NAVER / 치지직, 유료 구독 서비스 시작
치지직이 스트리머 채널 구독 서비스를 시작.. 팬 요금제는 월 4,900원.. 형광팬 요금제는 월 14,900원.. 구독하면 광고없이 방송을 볼 수 있고, 구독 전용 이모티콘 배지 등을 제공.. 또 영상 후원과 카테고리 탐색 페이지 등 신규 기능도 추가.. 2월 26일 기준, 치지직의 최고 시청자 수는 203,399명으로 전월 26일 대비 38,361명 증가.. 채널 수는 4,365개로 전월 대비 3,169개 증가.. (전자신문)
  • 주식하는_토니
NAVER / 빅크와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대를 위해 MOU 체결
빅크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대를 위해 MOU 체결.. 빅크는 빅크 모먼트 · 빅크 스튜디오 등을 운영하는 회사.. 두 회사는 ▪︎ 글로벌 엔터테인먼티 IP 디지털 수익화 사업 협력 ▪︎ 네이버클라우드의 생성형 AI 기술 기반 협력 ▪︎ 빅크 K팝 콘서트 글로벌 라이브 및 영상 기술 고도화 ▪︎ 빅크 스튜디오 생성형 AI 기술 고도화 등을 협력할 예정.. 2023년에는 MBC 가요대제전을 글로벌로 생중계 하는 등 대규모 온라인 콘서트를 진행.. 2024년 상반기에는 MBC 아이돌라디오 요코하마 콘서트 등 해외 K팝 콘서트와 국내 오디션 방송 등 방송 · 엔터 IP의 디지털 수익화를 위해 협업할 예정.. 또 2024년에 빅크는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를 라이브 채팅 및 빅크 스튜디오에 접목할 계획.. (이코노믹리뷰)
  • 주식하는_토니
NAVER / 차량용 웹 서비스를 위해 르노코리아와 MOU 체결
네이버클라우드 · 르노코리아 · 드림에이스는 자동차용 웹 플랫폼 생태계 구축을 위해 MOU를 체결.. 르노코리아의 전기차 등 전동화 차량에 특화된 서비스와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 (전자신문)
  • 주식하는_토니
NAVER / 치지직 vs 아프리카TV
치지직 vs 아프리카TV 일 평균 시청자 수 : 75,497명 vs 148,798명 일 평균 시청자 수 전주 대비 : +30,000명 vs +19,000명 최고 시청자 수 : 171,953명 vs 376,142명 최고 시청자 수 전주 대비 : +56,000명 vs +59,000명 (2024.02.22. 아주경제) 치지직과 아프리카TV는 격차가 많이 나는구나... 반대로, 치지직이 2023년 12월에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거지! 네이버니깐! 최근 스트리밍 플랫폼은 커머스로 확장하고 있는 중...
  • 주식하는_토니
NAVER / 일본 라인앱에 AI 비서 탑재
네이버의 일본 관계사인 일본 라인야후가 라인앱에 '라인 AI 어시스턴트' 기능을 도입했다. 이 기능은 라인 채팅방에서 AI에게 질문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사용자는 라인 AI 어시스턴트를 통해 ▪︎ 작업 및 숙제에 대한 아이디어 얻기 ▪︎ 이미지와 파일을 번역 및 요약 ▪︎ 이미지 분석 통한 칼로리 계산 ▪︎ 레시피 검색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라인 AI 어시스턴트는 AI로부터 하루에 최대 5회까지 무료 답장을 받을 수 있는 무료 플랜과 월 990엔으로 모든 기능을 원하는 만큼 이용하는 유료 플랜으로 구성된다. 무료 플랜에서는 채팅만 할 수 있고, 이미지와 파일을 번역 또는 요약하거나 분석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라인 AI 어시스턴트와 유사한 서비스인 Cue를 2023년 11월에 PC 통합 검색에 적용했고, 2024년에는 모바일 검색 환경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2024.02.22. 디지털데일리)
  • 주식하는_토니
NAVER / 일본 시장, 카카오픽코마 vs 라인망가
2022년 국내 웹툰 산업의 총매출액은 1조 8,290억원으로 전년대비 16.8% 증가. 2017년의 3,799억원 대비 4.8배 가량 증가. 2023년에는 2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 글로벌 웹툰 플랫폼 매출 1위는 카카오픽코마 > 2위 라인망가 > 3위 네이버웹툰 > 4위 카카오페이지 순. 국내 웹툰의 해외 수출 중 45.6%가 일본에서 발생. 일본에서는 카카오픽코마와 라인망가가 누적 다운로드 수 4,000만회 돌파! 카카오픽코마는 2016년 4월에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 2020년 7월부터 1위를 유지! 출시 이후 누적 매출은 26억달러 수준. 2023년에는 연간 거래액 1,000억엔 돌파! 네이버웹툰의 일본어 서비스인 라인망가와 전자책 플랫폼인 이북재팬은 2023년에 일본에서 연간 거래액 9,000억원 돌파! 라인망가의 웹툰인 신혈의 구세주는 일본에서 한 달 만에 10억원의 매출을 올리면서 현지 웹툰 매출 1위 기록! 입학 용병은 연간 거래액 90억원 돌파! 라인망가는 2023년 4분기부터 2024년 1월까지 일본 웹툰 월간 이용자수 1위 기록!
  • 주식하는_토니
NAVER / 네이버페이 3% 적립
네이버페이 머니카드는 결제금액의 3%를 적립해준다. 그것도 연회비도 없고, 전월실적 조건도 없고, 한도도 없다. 단지 가맹점에서 결제했을 때만 적립해주는 것이다. (2024.02.21. 서울경제) 토스는 가맹점이 아닌 곳에서 결재해도 1%를 현금으로 입금해준다. 가맹점에서는 더 높은 캐시백을 해준다. 네이버 주주라는 이유만으로 네이버페이로 갈아타야 될까?
  • 주식하는_토니
NAVER / 맞춤형 광고 규제 영향은 제한적?
네이버의 디스플레이 광고(DA) 부문의 매출은 2022년 9,400억원 → 2023년 8,460억원으로 감소했다. 이는 유럽에서 온라인 플랫폼이 유저의 행태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등 맞춤형 광고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구글이 서드 파티 쿠키를 중단하면서 국내에서도 행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DA의 선호도가 감소한 결과로 보인다. *서드 파티 쿠키는 웹사이트 소유주가 아닌 제3자가 수집한 쿠키를 말한다. 광고업계에서는 서드 파티 쿠키를 통해 얻는 유저의 행태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배너를 띄우는 등 디스플레이 광고를 진행한다. 네이버는 웨일 브라우저 등 자체 플랫폼에서 퍼스트 파티 쿠키를 수집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이슈는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구글 크롬에서 더 이상 맞춤형 광고를 할 수 없는 광고주들이 네이버 DA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퍼스트 파티 쿠키는 웹사이트 소유자가 직접 수집하는 쿠키로 유저가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면 더 이상 추적하지 않는다. (2024.02.21. 머니투데이) PC나 모바일에서 쇼핑을 한 후에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웹서핑을 하다 보면 내가 봤던 상품이나 서비스가 디스플레이 광고로 보일 때가 여전히 많다. 결국 네이버나 구글도 퍼스트 파티 쿠키를 수집하지만, 각 종 쇼핑몰이나 자사 홈페이지에서도 직접 쿠키를 수집하고 있다. 결국 네이버나 구글은 이미 많은 광고주를 확보했기 때문에 여전히 타겟 광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유저의 입장에서는 쿠키 수집을 허용하지 않으면 해당 서비스를 온전하게 이용하지 못 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인 듯 하다.
  • 주식하는_토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