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우리가 어떻게 놀고 있을까요?

모임 활동 간 우리가 어떻게 놀고 있는지 알려 드려요!
2025년 04월 19일 코나 한 달 간의 활동 회고록
안녕하세요? 저는 모임에서 디자인 파트로 활동 중인 코나입니다! 한 달 간 모임 활동을 하며, 어떻게 모임에서 컴퓨터와 놀았는지 작성해보겠습니다. 1. 한달간 받은 과업 과업 1: [초기과업] 레드마인 사용법 파악 과업 2: [사용법 숙지] 내부 서비스 메뉴얼 번역 Penpot User Guid 번역 2. 완료한 과업 [초기과업] 레드마인 사용법 파악 이전 작성글 확인 후 및 리뷰 댓글 달기 일정 관리 시스템 사용법 파악 3. 어려웠던 점 정해진 목표를 위해 세세하게 일을 가장 어려웠던 거 같습니다. 일을 정하고 하기는 했지만, 세세하게 나누어서 관리를 했던 경험은 없었기 때문에 낯설고, 불편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어려운 점은 처음 접하는 개념에 대해 읽고, 리뷰를 해주는것 이었습니다. 리뷰를 한다는 것은 어떤 점이 좋았고, 보완했으면 좋겠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하는 것인데, 게시글이 이해가 안 되니 어떤 내용을 적어야 할지 막막했습니다. 가장 어려웠던 것은 역시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하루에 단 1시간이더라도 과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모임을 하기 전에는 항상 여러 핑계를 대면서 몸이 편한 방향으로 오늘의 할 일을 정했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 정도만 해도 되지 라고 생각을 하곤 했는데, 하루의 과업이 밀리고 쌓이게 되면 점점 더 감당이 안 되는 일이 되기 때문에 한 시간이라도 과업을 진행하는 것을 습관화하는 게 가장 어려웠습니다. 4. 배운점 서로가 공부한 내용에 대해 리뷰를 하며, 개발자들이 공부했던 내용에 대해 꾸준히 보았습니다. 공부한 내용을 전부 이해하지는 못해도 대략의 기초적인 개념이나 과정에 대해서는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고 나니 서비스에 어떠한 문제가 생겼다는 내용을 듣고 내가 조심해야 할 점이나, 이런 행동을 하면 오류가 생길 수도 있겠구나 등을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항상 오류가 생기면 디자이너인 내가 할 수 있는 행동이 없을 거라고만 생각했는데 나도 어떤 행동을 해야겠다는 것을 떠올리게 해주었습니다. 또 그렇다면 어떤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선하면 좋을지에 대해서도 더 넓게 사고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문제가 생겼을 때 효율적으로 소통하는 법에 대해서도 배웠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저는 어떤 오류에 대해 "디자이너인 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없다"라고 생각했기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떤 오류가 있는지 결과에 대해서만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우선 서칭을 통해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고, 비슷한 문제가 있는 사람의 대처법에 대해 공유하면서 같이 고민하는 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 잔 실수에 대해 관대해지는 경향이 있었는데, 운영진의 꼼꼼한 관리로 이러한 실수를 줄이고자 한 번 더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고 있습니다. 모임에서는 받은 과업을 보고하는 과정에서 오타가 생기는 등의 실수가 생기게 되면 운영진은 다시 확인해달라는 요청을 합니다. 처음에는 별거 아닌 실수라 생각했지만, 이 일로 다른 일이 밀리게 되니 낭비하는 시간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게 팀 활동이 된다면 다른 사람의 일이 미뤄지는 일이 생길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내가 조금 귀찮아서 안 했던 검토 과정을 확실하게 해야 큰 문제가 생기지 않겠구나! 깨닫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하루에 어떤 일을 했고, 일주일간은 어떤 일을 했는지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로 어느 정도의 일을 하루에 끝낼 수 있는지, 허투루 시간을 쓰는 부분은 어디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하루의 일정, 한 달의 일정을 짜는 일을 하여도 이것을 되돌아보는 일은 잘하지 못하는 데 이 과정을 매일매일 하다 보니 나에 대한 객관화를 잘할 수 있게 된 거 같습니다. 5. 다음 달 예정 과정
  • 박홍주
2025년 04월 19일 오스틴 한 달 간의 활동 회고
안녕하세요? 저는 모임에서 백엔드 파트로 활동 중인 오스틴입니다! 한 달 간 모임 활동을 하며, 어떻게 모임에서 컴퓨터와 놀았는지 작성해보겠습니다. 1. 한 달 간 받은 과업 과업 1: [초기과업] 레드마인 사용법 파악 과업 2: 인프라 환경 구성 - Proxmox 공식 문서 번역 2. 완료한 과업 초기과업인 레드마인 사용법 파악 이전 작성글 확인 후 및 리뷰 댓글 달기 3. 어려웠던 점 처음 모임 활동을 시작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어려움은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는 것이었습니다. 레드마인과 Proxmox 같은 도구나 개념은 처음 접하는 것들이었기에, 초기에는 용어 하나하나가 낯설고 방향을 잡기 어려웠습니다. 또한, 혼자 공부하며 정보를 정리하고 글을 쓰는 과정에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압박감도 있었습니다. 특히 공식 문서를 단순히 번역하는 게 아니라, "이걸 내가 이해했는가?"를 자문하며 공부해야 했기에 압박감이 컸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얕은 지식이 아닌, 진짜 내 것으로 만드는 공부가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어려웠던 건 '꾸준함'이었습니다. 회사 업무와 병행하다 보니 체력적으로도 힘들었고,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도 큰 도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모임의 시스템과 운영진의 피드백, 동료들의 노력은 저를 다시 붙잡아주었습니다. 절대 혼자가 아니었습니다. 4. 배운점 이번 한 달 동안 가장 크게 얻은 것은 단순한 기술 지식이 아니라, ‘개발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였습니다. 처음 Proxmox 문서를 접했을 때는 영어라는 장벽도 있었고, 인프라라는 주제가 낯설어 부담감이 컸습니다. 하지만 문서를 단순히 번역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내가 정말 이 내용을 이해했는가?’를 끊임없이 되묻고, 직접 정리하고 설명하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내용이 내 것이 되어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공식 문서를 해석하면서 느낀 점은, 모든 개념은 단편적으로 이해하면 결국 금세 잊힌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문맥 속에서 흐름을 따라가며, 개념과 개념이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이해하게 되면, 그 지식은 오래 남고 실제로도 써먹을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체감했습니다.
  • O
    Ostin
2025년 03월 15일 오묘오 한 달 간의 활동 회고록
안녕하세요? 저는 모임에서 백엔드 파트로 활동 중인 오묘오입니다! 한 달 간 모임 활동을 하며, 어떻게 모임에서 컴퓨터와 놀았는지 작성해보겠습니다. 1. 한 달 간 받은 과업 과업 1: [초기과업] 레드마인 사용법 파악 과업 2: 인프라 환경 구성 - Proxmox 공식 문서 번역 2. 완료한 과업 초기과업인 레드마인 사용법 파악 과업 관리 시스템에 익숙해지기 이전 작성을 확인 및 리뷰 댓글 달기 3. 어려웠던 점 처음 접하는 시스템과 생소한 개념들에 지레 겁을 먹었습니다. 저는 개발자도 아니고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자신감도 많이 없었고 매순간 접하게 되는 에러에 당황한 적도 한 두번이 아닙니다. 그래도 일감을 하나하나 끝낼 때마다 하면 되는구나를 느끼고, 속도는 좀 더디더라도 하나씩 쌓여나가는 글에 점차 힘을 얻어나가는 중입니다. 우리 모임의 과업은 전부 마감 기한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한을 꼭 지켜야 하며 그러기 위해선 매일 단 1시간이라도 집중해서 공부할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런데 제 건강 상의 문제와 회사의 갑작스런 이슈로 아무 것도 못하는 나날이 많아졌습니다. 스케줄 관리가 점차 안 되기 시작하니까 어떻게 현명하게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지 고민입니다. 욕심은 크고 하고싶은 건 많으나 시간과 체력은 객관적으로 턱없이 부족합니다. 공부하는 내용은 재미있습니다. 서적을 참고하고 구글링을 해가며 하나하나 나의 글, 지식을 채워나가는 일이 참 즐겁습니다. 회사 일을 최대한 줄여나갈 생각입니다. 동기와 사수님께 말씀을 드리고 양해를 구한 상태이며 곧 인력 충원이 이뤄지고나면 일단 회사 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4. 배운점 체계적 관리 시스템을 간접 경험해볼 수 있었습니다. 우리 모임 시스템이 처음에는 구조도 파악이 어렵고 생소하고 낮설었는데 사용을 하며 익숙해지고 나니 협업에 최적화된 시스템이라 느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진척도를 확인할 수 있고 매일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각자 공부하는 내용도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가 있습니다. 지금은 적응 기간이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는 적어도 제도적으로 소통이 잘 안 돼서 답답할 일은 없을 거 같습니다. 과거 프로그래밍 언어나 프레임워크를 공부하면서 늘 각각의 분야가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궁금했었고, 특히나 서버 단은 아예 지식이 전무하여 어디서부터 검색을 해보아야 할 지, 어떤 내용부터 공부를 해봐야할 지, 게다가 과연 나의 분야에서 이 내용을 공부해야 하는 것인지 혼란스러웠고 늘 고민이 많았습니다. 그 고민을 여기와서 덜어낼 수가 있었습니다. 개발자라면 어떤 내용이든 연구, 공부하여 판단하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마인드셋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공식 문서를 통해서 공부하는 게 비록 진입장벽이 좀 높고 어렵다고 하더라고 제일 정직하고 정확한 방법이라 느꼈습니다. 이전에는 보통 제일 많은 사람들이 듣은 강의를 구매하여 강의 수강하는 식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그 편이 가장 빠를 수는 있어도 어떤 내용이 빠졌는지, 이게 정말 맞는 부분인지는 스스로 판단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공식 문서는 말 그대로 정식 내용이고 기준이 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단어와 개념을 공부하면 조금 복잡하고 어렵더라도 명확하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가 있습니다.
  • 오묘오
2025년 02월 15일 EPIG 한 달간의 활동 회고록
안녕하세요? 저는 모임에서 프론트엔드 파트로 활동 중인 EPIG입니다. 한달간 모임 활동을 하며, 어떻게 모임에서 컴퓨터와 놀았는지 작성해 보겠습니다. 1. 한 달간 받은 과업 과업1: 실습용 Proxmox에서 Disk 구성 분석 Package Repository 설정 분석 Storage 정보 분석 Network 정보 분석 과업2: SSH Tool을 이용하여 Proxmox에 SSH 접속 과업3: CLI를 이용하여 초기 구성 분석하기 과업4: Proxmox 알아가기 Proxmox의 ACME란? Proxmox의 메트릭 서버란? Proxmox의 리소스 매핑이란? Proxmox의 권한 설정 Proxmox의 통지 기능이란? Proxmox의 SDN이란? Proxmox의 방화벽이란? 과업5: 가상 시스템 구성 준비 Virtual Machine 기술에 대한 공부 Proxmox의 VM 생성과 방법
  • Y
    YM
2025년 02월 15일 한 달간의 활동 회고록
안녕하세요? 저는 모임에서 웹 프론트엔드 파트로 활동 중 입니다. 지난 한달 간 , 어떻게 활동을 했는지 작성해 보겠습니다! 2. 완료한 과업 Proxmox 각 항목 분석 완료 Disk, Storage, Repository, Network 분석 1. 한 달간 받은 과업 인프라 환경 구성 과업 1 : Proxmox 톺아보기 과업 1-1 : Proxmox 분석 Disk Package Repository Storage Network 과업 1-2 : Proxmox 운영 준비 권한 설정 SDN ACME 방화벽 설정 매트릭 서버
  • W
    wk7530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