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날개 아랫면엔 기다란 은색 무늬가 많다. 또한 윗면은 표범을 닮았는데, 영명에 표범나비(Fritillary)가 들어간 것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이 나비는 독나비아과(Heliconiinae=표범나비아과)에 속하는 나비이므로 포괄적인 의미에서 독나비라는 이름을 지었다. 실제로 독이 있다.
해설: ‘푸른’이라는 뜻은 파랗거나 녹색임을 뜻하는데, 영명에는 녹색(Green)을, 실제 날개 무늬의 색은 파란색(Blue)이기에 이 두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단어로 푸른이라는 뜻을 골랐다. 제비나비속(Papilio=호랑나비속)에 속하는 나비이기에 위와 같이 이름지었다.
황제붉은점모시나비 Parnassius imperator <Imperial apollo> Wingspan: 71mm
해설: 학명과 속명모두 황제(Imperial)이 들어간다. 또한 붉은점이 있는 모시나비이므로 위와 같이 이름을 지었다.
해설: 학명과 영명에 모두 다이애나(Diana)가 들어가는데, 이는 달의 여신(Arthemis)의 또다른 이름이다. 또한 암컷의 날개의 빛깔이 달빛을 연상시킨다. 풀표범나비속(Speyeria)에 속하지만 풀표범나비(S. aglaja)의 특징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그냥 표범나비로 했다. 이러한 이유로 위와 같이 이름지었다.
해설: 은줄표범나비(A. paphia)보다 크고, 윗날개 아랫면이 붉은색을 띄며 전체적으로 은줄표범나비와 닮아서 위와 같이 이름지었다.
남색무늬남방공작나비 Junonia oenone <Dark blue pansy> Wingspan: 46mm
해설: 영명 Dark blue는 남색이라는 뜻인데, 의미가 겹칠 수 있는 남방남색공작나비(J. orithya)는 밑날개 전체가 남색인 반면에, 이 나비는 일부분만 남색 무늬가 있어서 위와 같이 이름지었다. 이 나비가 속한 Junonia속에서 영명에 pansy가 들어가면 남방을 넣고, argus, Buckeye가 들어가면 남방을 넣지 않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