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AI 이해하기

"AI가 뭔데? 왜 써야 해?"라고 생각되신다면, 이 단계부터 시작하세요.
AI는 어렵지 않습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부터, 일상 속 활용 예시까지 함께 알아봅니다.
All
AI
chatgpt
llm
생성형AI
gpt
프롬프트
API
머신러닝
딥러닝
Rag
알고있으면 도움되는 개념, RAG
RAG란?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는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하기 위해 외부 정보를 검색하여 LLM(Large Language Model)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 LLM의 할루시네이션(환각) 문제를 해결하고 최신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RAG가 중요한 이유? RAG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정확히 하기 위해 참조 정보를 사용하여, 더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ChatGPT와 같은 챗봇에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RAG를 사용하지 않으면 GPT가 사전에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답변을 하게 되지만, RAG를 사용하게 되면 최신 정보, 사용자가 제공한 문맥(context)을 기반으로 답변을 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AI의 이름에 대한 질문은 RAG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참조하여 정확하게 응답할 수 있게 된다 . RAG 사용 방법 가장 쉽게 일반인도 RAG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ChatGPT의 나만의 GPTs 기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ChatGPT 유료 구독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 자체가 사용자가 제공하는 파일을 기반으로 답변을 생성하는 RAG의 일종입니다. 나만의 GPTs(Custom GPTs) 구축 과정 ChatGPT 접속 후 GPT 탐색하기(Explore GPTs) 선택 GPT만들기(Create a GPT) 클릭 만들기(Create) 탭 : 만들고 싶은 챗봇의 기능과 목적을 대화 형식으로 입력하면 GPT가 자동으로 설정해 줍니다. 구성(Configure) 탭 : 지식(Knowledge) : 업로드(Upload files) 버튼을 눌러 RAG의 기반이 될 문서를 첨부합니다. 이 파일을 기반으로 답변하도록 설정하면, 코딩 없이 간단하게 나만의 RAG챗봇이 완성됩니다.
  1. Rag
  • toolly
초보자를 위한 AI 용어 사전 20선
📚 AI 용어 기초 사전 (처음 배우는 사람용) 1.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만든 컴퓨터 기술을 말해요. 예를 들어, 사진을 보고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구분하거나, 말을 알아듣고 답해주는 것도 AI가 해주는 일이에요. 우리가 흔히 쓰는 챗봇, 자동 번역기, 추천 시스템도 AI입니다. 2. 생성형 AI (Generative AI)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AI입니다. 글, 그림, 음악, 영상, 코드 등 창작을 도와주는 AI에요. ChatGPT(챗지피티)는 글쓰기, 답변하기 등 글 창작을 도와주는 AI인데요, 이미지 생성도 가능해요. 3.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ChatGPT에서 ‘GPT’는 AI의 뇌라고 할 수 있어요. GPT는 많은 글을 미리 학습해두기 때문에, 문맥에 맞게 글을 이어 쓰는 데 강점이 있어요. ‘ChatGPT’는 GPT를 기반으로 대화가 가능하게 만든 서비스랍니다. 4. LLM (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 아주 많은 글(책, 뉴스, 인터넷 글 등)을 학습한 초거대 AI 모델이에요. GPT도 LLM의 일종이에요. Gemini, Claude, Perplexity 등이 모두 LLM이에요.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말하고 글을 쓰게 해주는 핵심 기술입니다. 5. 프롬프트 (Prompt) AI에게 주는 명령어(지시문) 또는 질문입니다.
  1. AI
  2. llm
  3. 생성형AI
  4. gpt
  5. 프롬프트
  6. API
  7. 머신러닝
  8. 딥러닝
  • too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