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 공부 기록 / 미분류
구성주의중심 개념기반교육과정기반 에듀테크 실행 경험 나눔
taesangeom
👍
2022 개정 교육과정
상-중-하
2022는 성취기준만 나옴
이정도의 구성주의로 가려면
분석적 루브릭
멀티 포인트가 나와야 합니다
IBEC 과정
전라권에서는 전주교대가 최초
개념기반교육과정 교수법 CBCI UbD의 이해
빅아이디어와 전이가능한 개념과 실천에 중점을 둔다.
2022개정의 주요 아이디어/핵심아이디어(Key Idea)
학습 목표가 중심이었다가
목표진술이 중요한 게 아니라
왜 해야하지? 어떻게 해야하지?
모든 상황이 다 다른데?
개념화가 중요하다.
이해와 지도가 있어야 빅 아이디어가 나온다.
각론을 보면 중심 아이디어를 어떻게 하라는 절차적인 안내가 없다.
전국적으로 엄청난 관심
빅 아이디어가 이해 가능한 전이 가능한 개념으로 간다.
전이 가능하다는 이해에 깊이, 영속적 이해, 전이 가능한 이해
배웠으면 내 몸에서 체화되는 과정이다.
존 듀이는 100년 전에 what is learning? learng is by doing
체화되게끔 해야 한다.
평가
논-구술
개념기반은 무엇인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평가에 집중을 해야 합니다.
역량을 잘 잴 수 있는 루브릭이 중요
에듀테크의 쓸모.
각론과 일치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이걸 사람들이 했다.
ISTE 2024
KeyWord : AI
AI를 응용하자. 가공범위를 높이자는게 아젠다.
질적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앱 하나에 관심 가지기보다 플랫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플랫폼에 잘 맞는 앱을 찾는 게 좋다.
플랫폼 위주로 가기
개념기반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평가
형성적 평가
Formative Assessment
학습성과
학습 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학생들의 이해도와 학습 진행 상황을 체크하며 총괄평가와 정렬화(alignment)되어야 합니다.
피드백 제공 :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는 파악하고, 오해를 바로잡거나 추가적인 지식을 서면이나 구두로 제공합다.
발달평가, 연습평가로서 성적에는 포함시켜선 안 됩니다.
기대된 예측된 학습 성과를 모니터링해가는 과정이 학습 과정의 평가
형성평가를 다른 말로 Feedback
형성적 평가 도구
Kahoot Quizlet GoogleForms Nearpod Socrative Edpuzzle Seesaw Padlet
이건 플랫폼이 아니라 도구이다.
이것들은 모두 공유하는 도구
공유하고 협업하는 도구들
총괄적 평가 Summative Assessment
종합적 깊은 이해 평가
차시의 덩어리 : unit
학기말이나 unit 마지막에 학생들이 개념을 얼마나 잘 이해 적용할 수 있는지 평가
총괄평가는 학생들이 다양한 맥락에서 개념을 사용하여... 루브릭이 정한 기준에 따라 역량 측정하여 학습성과를 이루도록 역량계발시킵니다.
Criteria
루브릭을 만들 수 있는 전문성이 교사 전문성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평가의 전문성입니다.
중간/기말은 OMR카드가 수행평가는 교사가!
Google Classroom
Moodle
Blackboard
Schoology
Canvas
Edmodo
Turnitin
ExamSoft
LMS가 플랫폼이다.
AIDT
Pearson
Cognify
IB 교과서를 만드는 회사
완벽한 LMS를 만들어서 배부
프로토타입은 LMS기반이 아니라 빌트인된 코스웨어...
이는 특정 시험을 숙달시키는 데 특화됨
알고 시키자...
선다형 문항은
학생의 형성을 위한 문항.
어렵게 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한국 수행평가가 낮아서 생기는 문제
역량평가를 통한 학생 성장(발달적 평가관)
평가를 위한 학습
Learning for Assessment
지금까지는
Learning of Assessment
개별성장(personal growth)
IB + Technology project
평가를 중심으로
ICT school manager
학교 안의 전문가
LTI?
Subscribe to 'taesangeom'
Welcome to 'taesangeom'!
By subscribing to my site, you'll be the first to receive notifications and emails about the latest updates, including new posts.
Join SlashPage and subscribe to 'taesangeom'!
Subscribe
👍
taesangeom
The Power of Feedback
피드백 피드백은 학습과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보이다. 교사, 동료, 책, 부모, 자기 자신, 경험 등 다양한 제공자로부터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피드백은 수행이나 이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피드백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수와 피드백의 연속체를 고려해야 하며, 피드백은 학습 목표와 현재 성취 간의 격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피드백의 효과는 제공 방식과 내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효과적인 피드백은 학생들의 동기부여와 참여를 높일 수 있다. 피드백의 효과 피드백은 학생 성취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Hattie의 연구에 따르면, 피드백은 교육적 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 피드백의 효과 크기는 평균 0.79로, 이는 다른 교육적 요인들보다 두 배 이상의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피드백의 효과는 유형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과제에 대한 정보 피드백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반면 칭찬, 보상, 처벌 등의 피드백은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았다. 피드백은 학생이 과제 수행 중 잘못된 해석을 수정하는 데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하며, 효과적인 피드백은 학생의 학습 전략을 개선하고 자기 규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드백 모델 피드백 모델은 현재 이해와 목표 간의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과적인 피드백은 세 가지 주요 질문에 답해야 한다: '어디로 가고 있는가?' (목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진행 상황), '다음은 무엇인가?' (향후 활동). 이 질문들은 각각 피드업, 피드백, 피드포워드 개념과 연결된다. 피드백의 네 가지 수준은 과제 수준, 과정 수준, 자기 규제 수준, 자아 수준으로 나뉜다. 과제 수준 피드백은 수행의 정확성에 관한 것이며, 과정 수준 피드백은 학습 과정을 개선하는 정보이다. 자기 규제 수준 피드백은 자기 평가와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며, 자아 수준 피드백은 개인에 대한 칭찬이나 평가를 포함하지만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효과적인 피드백은 적절한 수준에서 주어져야 하며, 학생들의 동기부여와 학습 참여를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주요 피드백 문제 해결 피드백의 타이밍은 피드백의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즉각적인 피드백은 과제 수준에서 효과적이며, 지연된 피드백은 과정 수준에서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려운 항목에서는 지연된 피드백이 더 큰 효과를 보였지만, 쉬운 항목에서는 즉각적인 피드백이 더 효과적이었다.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 모두 학습에 유익할 수 있지만, 피드백의 수준과 학습자의 자아 효능감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 긍정적 피드백은 과제 수행 의지와 지속성을 높이는 반면, 부정적 피드백은 자기 효능감이 낮은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교실에서는 피드백이 자주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피드백이 제공되더라도 주로 자기 수준 또는 교정적 과제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으며, 학생들의 필요에 따라 차별적으로 제공된다. 특히, '열등한' 학생에게는 칭찬이 많이 주어지며, '우수한' 학생에게는 자기 규제 피드백이 더 많이 제공된다. 피드백은 교사의 판단과 학생의 수용 방식에 따라 달라지므로, 교사는 적절한 타이밍과 수준에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교실의 기후 역시 피드백의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이 피드백을 학습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가 또한 피드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피드백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평가가 명확하고 일관되게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 및 제안 피드백은 학습과 성취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효과적인 피드백은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피드백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과 타이밍에서 제공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이해와 성취 간의 격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피드백은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동기부여와 자기 효능감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피드백의 목적과 내용을 명확히 하고, 학생들이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피드백은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학생들은 피드백을 통해 자기 평가와 자기 규제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taesangeom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서론 이 논문은 최소한의 지도가 이루어지는 학습 방법이 왜 효과적이지 않은지를 분석한다. 인간의 인지 구조와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 그리고 인지 부하를 고려하여 지도 학습의 우수성을 설명한다. 비지도 학습 방식은 직관적으로 매력적일 수 있지만, 지난 반세기 동안의 경험적 연구 결과는 지도 학습이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임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다. 학습자가 충분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지도가 없는 학습은 비효율적이고 효과적이지 않다. 최신 연구와 지도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 설계 모델도 간단히 설명한다. 인간 인지 구조의 결과 인간 인지 구조는 작업 기억과 장기 기억으로 나뉘며, 이 두 기억 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의 핵심이다. 작업 기억은 의식적 처리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새로운 정보를 처리할 때 매우 제한적이다. 작업 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30초 이내에 잊혀지기 쉽고,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도 매우 적다. 반면, 장기 기억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저장하며, 우리의 모든 인지 활동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효과적인 학습은 장기 기억에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지도 학습은 이러한 장기 기억의 저장과 인출을 돕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최소한의 지도가 이루어지는 학습의 기원과 현재 이 챕터에서는 최소한의 지도가 이루어지는 학습 방법의 기원과 현재 상태를 다룬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은 지식이 학습자에 의해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목표와 최소한의 정보만 제공하는 학습 환경을 지지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학습이 개인적이고 독특하다는 관찰에서 비롯되었으며, 공통된 학습 형식이나 전략이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구성주의 학습 이론은 학습자가 완전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보다 부분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때 더 효과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는 근거가 부족하다. 오히려 완전한 정보가 주어질 때 더 정확하고 쉽게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지도 학습 방법은 이론적으로는 타당할 수 있으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연구 비교: 지도와 비지도 학습 이 챕터에서는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다양한 경험적 연구에서 지도 학습이 비지도 학습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나왔다. 특히 새로운 정보를 다루는 경우, 학습자에게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더 나은 학습 결과를 가져온다. 반면, 비지도 학습은 학습자들이 혼란스러워하거나 잘못된 개념을 형성하게 만들 수 있다. 지도 학습은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학습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인지 부하를 줄여준다. 이러한 방식은 학습자가 더 깊이 있고 오래 지속되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비지도 학습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높이지만, 학습 효과가 낮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비지도 학습의 비효율성을 강조하며, 지도 학습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다. 다양한 환경에서 최소한의 지도를 선호하는 교육 모델 연구 이 챕터에서는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최소한의 지도 방식을 사용하는 모델을 연구한다. 체험 학습은 학습자가 직접 행동을 통해 학습하는 방식으로, 최소한의 지도 방식을 대표하는 사례이다. Kolb의 체험 학습 모델은 학습자가 행동을 통해 결과를 관찰하고 이를 이해하는 과정을 강조하지만, 경험적 연구에서 이러한 방법이 항상 성공적이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개별 학습자의 차이와 학습 방법의 상호작용도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과 능력에 따라 학습 방법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학습 지원이 적은 경우 학습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낮은 능력의 학습자에게는 강한 학습 지원이 필요하다. 반면, 고능력 학습자는 자율적인 학습을 통해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최소한의 지도 방식은 특정 상황에서 효과적일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학습자에게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최소한의 지도가 이루어지는 교육 모델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여러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학습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결론
taesangeom
AI generated assessment and MYP rub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