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특집 강연 멋진 신세계 AI : 질문하는 인간이 진화한다
EBS 특집 강연 멋진 신세계 AI : 질문하는 인간이 진화한다 2025년 EBS 특집 강연 멋진 신세계 AI의 2부 두 번째 강연 파트를 맡았습니다. "프롬프트, 질문의 기술"이 주제입니다. 올해는 작년보다 AI 활용이 더욱 커지며, 협업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이때, 명확한 의사 소통과 목적 설정이 필수입니다. 질문(=프롬프트)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출력물의 질을 좌우하게 됩니다. 다니엘 카너먼의 책 <Thinking, Fast, and Slow> 중에서 '빠른 사고'와 '느린 사고'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한 구절입니다. ✏️ 인간의 사고는 빠르고 직관적인 시스템 1과, 느리고 논리적인 시스템 2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대부분의 일상에서 시스템 1을 따라 직관적으로 판단하지만, 복잡하고 중요한 문제일수록 시스템 2가 주도적으로 사고해야 제대로 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 LLM의 '빠른 사고'와 '느린 사고' LLM은 빠른 사고에 탁월합니다. 풍부한 데이터를 토대로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답변을 생성합니다. 하지만, 복잡한 맥락을 다루거나 추론이 필요한 도메인에서는 느린 사고를 의도적으로 요구하면 답변의 품질이 크게 달라집니다. ✅ AI에게 '느린 사고' 유도하기 단계별 사고 (Chain-of-thought) 가장 친숙한 방법이 생각의 사슬기법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계별로 언어 모델에게 사고하게 하는 것이죠. 결과만 요청하지 않고 '왜'와 '어떻게'를 적재 적소에 요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전 글에서는 인간의 사고 과정을 반영한 여러 프롬프팅 방법도 소개드렸는데요. 그것들이 느린 사고에 해당합니다.
- Sujin_Kang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