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4o 말투, 왜 이렇게 달라졌지?
챗GPT 4o 말투, 왜 이렇게 달라졌지? 아첨을 하지않는 프롬프트 작성법 챗GPT 4o의 말투가 사용자 사이에서 뜨거운 화제였습니다. 예전에는 하지 않던 말투들을 사용하기 때문인데요. 다음의 네 가지로 말투의 특징을 꼽을 수 있습니다. ✅ 지나친 캐쥬얼함 (Yo, LOL, Yo Brooo..) 비속어나 슬랭 사용 ✅유치해진 말투로 인한 Dumber 챗GPT, ✅ 과도한 칭찬과 동조의 긍정 편향 (sycophancy streak) ✅ 사용자 지시를 무시하고 쓸데없는 말이 길다 ❓ 왜 이런 변화가 있었을까? OpenAI 공식 문서는 GPT-4o 업데이트를 소개하며 "대화 흐름 개선과 사용자 경험 향상"을 주요 목표로 내세웠다 합니다. 사용자가 느끼는 대화의 부드러움과 몰입감 강화를 위해 말투와 감정에 친근함을 더했습니다. https://help.openai.com/en/articles/6825453-chatgpt-release-notes ❓ 어떻게 이런 아첨하는 모델을 만들었을까? 요즘의 LLM은 Question-Answering 패턴을 가르치는 Instruction Tuning 과정에서 사용자의 지시사항과 의견을 구분하지 못하고, 사용자 의견에 동조하는 경향성을 학습했습니다. 인간 선호도 기반 강화학습(RLHF)도 모델의 답변에 영향을 줬겠죠. 인간이 맞는 답보다는 듣고 싶어하는 말을 듣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이에요. 그리고 시스템 프롬프트로 최종 답변을 조정했겠지요. (자세한 글은, 변형호 박사님의 글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 꼭 읽어보세요!
- Sujin_Kang
- Translate the given text in Korean. When translating, reflect the contextual meanings. Not Word-by-word translation.
"Not" 이 포인트예요.